• 제목/요약/키워드: 수화활성도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초

C-S-H(I)의 분자구조변형을 통한 기계적 거동의 변화 (Influence on mechanical property of C-S-H(I) due to its structural modification)

  • 오재은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473-474
    • /
    • 2010
  • C-S-H(I)은 활성슬래그시멘트의 강도생성의 핵심물질이며 시멘트 수화물의 강도원천물질인 C-S-H의 구조모델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나노 수준의 콘크리트 연구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아주 중요한 물질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C-S-H(I)에서 발생되는 Si에 대한 Al 치환은 C-S-H(I)의 분자구조변경을 인위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어 왔고, C-S-H(I)의 기계적 물성치 (예, bulk modulus)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되어 왔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Al 치환이 실제로는 C-S-H(I)의 bulk modulus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함이 밝혀졌다.

  • PDF

화학 활성화제에 의한 플라이애쉬-생석회계의 수화반응 (hydration of the Fly Ash-CaO System in the Presence of Various Chemical Activators)

  • 송종택;김재영;류동우;고상렬;한경섭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5-195
    • /
    • 1998
  • This experiment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emical activators for acceleration of hydration the system of Fly ash-Cao The paste was consisted of 80wt% Fly ash and 20wt% CaO with 1. 3. 5wt% of 4 activators(N{{{{ alpha _2 }}S{{{{ OMICRON _4 }}, CaC{{{{ {l }_{2 } }}, NaOH, Ca(N{{{{ OMICRON _3 {)}_{2 } }} and W/S ratio of 0.42 After curing for 1, 3, 7, 14, 28 days the paste hydration was characterized by the measurement of compressive strength XRD analysis SEM observation the combined water and the reaction amount of Ca(OH)2 determination.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all of the system which involved Na2SO4 or NaOH had a god compressive strength. In the case of 7 days curing a system which added CaCl2 showed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among all especially NaOH system showed a high increase in strength as a dosage of it increased. Hydration produc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ctivatores added. Only C-S-H was observed in NaOH system. As the reaction amount of Ca(OH)2 and combined water were increased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the comparision of strength between ignited loss 3.1% and loss 9.3% of fly ash.

  • PDF

콩 품종별 청국장의 가공적성 연구 (Study on the Processing Adaptability of Soybean Cultivars for Korean Traditional Chonggugjang Preparation)

  • 장창문;유선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91-98
    • /
    • 1999
  • 단엽콩, 단백콩, 광안콩, 푸른콩, 만리콩, 신팔달콩 2호, 진품콩, 황금콩 등 콩 8품종의 청국장 가공적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원료 콩과 콩 품종별 제조 청국장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료 콩의 이화학적 특성중 콩의 증자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종피율과 수화팽윤력, 발효관여 균주인 Bacillus subtilis의 생육에 유리한 fructose, glucose, sucrose 등의 유리당 함량, 그리고 청국장 제품의 경도, 청국장 특유의 점질물 생성과 관련이 있는 ${\gamma}-glutamyltranspeptidase({\gamma}-GTP)$의 활성 및 청국장의 맛을 좌우하는 유리아미노산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을 고려하였을 때 신팔달콩 2호와 단엽콩이 청국장 제조용 원료콩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폐자원의 분류/선별을 통한 지오폴리머 특성 개선 연구 (Property enhancement of geopolymer by means of separation/classification of spent-resources)

  • 김유택;김현정;장창섭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99-30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비산회를 자력선별한 후 알칼리 활성화제인 수산화나트륨과 물유리를 사용하여 지오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자력 선별전의 원료, 자력 선별된 두 가지 종류의 자력 및 비자력 원료를 사용한 지오폴리머 시편에 대한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비자력 비산회 원료를 사용한 지오폴리머 시편에서 가장 좋은 압축강도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실제로는 자력선별하지 않은 원재료 비산회와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경우에 재령 28일차 압축강도가 27.54 MPa로 가장 우수하였다. 이 결과에서, 자력선별 후 CaO 성분 농축으로 수화반응 증진에 의한 강도발현 증진 효과 보다는 자력선별에 의해 지오폴리머 형성반응에 필요한 실리카와 알루미나 성분이 오히려 줄어들어 지오폴리머 축합반응이 감소하여 오히려 압축강도 측면에서는 물성 개선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당귀로부터 분리한 decursinol angelate의 밀 붉은녹병에 대한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Decursinol Angelate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Roots Against Puccinia recondita)

  • 윤미영;김영섭;최경자;장경수;최용호;차병진;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25-31
    • /
    • 2011
  • 녹병은 다양한 작물의 품질과 수확량에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이들을 방제하기 위하여 효과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살균제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로부터 항균 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당귀 메탄올 추출물이 Puccinia recondita에 의해 발생하는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활성을 보이는 한 개의 항균물질을 silica gel chromatography, alumina column chromatography와 $C_{18}$ preparative HPLC를 통해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한 항균물질은 EI-MS와 $^1H$-NMR의 기기 분석 결과 decursinol angelate로 동정되었다. 이 물질은 시험한 6개의 식물병 중에서 밀 붉은녹병과 고추 탄저병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당귀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수화제도 밀 붉은녹병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이 보였다. 따라서 decursinol angelate와 이를 포함한 당귀 추출물을 이용할 경우 밀 붉은녹병을 방제할 수 있는 새로운 살균제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 decursinol angelate에 의한 밀 붉은녹병 방제 효과를 처음 보고하는 바이다.

석고 존재 및 탄산칼슘 첨가에 따른 활성 슬래그의 역학적 성능 및 반응생성물 (Mechanical Properties and Reaction Products of Activated Slag System Depending on Gypsum Presence and Calcium Carbonate Addition)

  • 정연웅;임귀환;박수현;김주형;김태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55-63
    • /
    • 2020
  • 본 연구는 석고의 존재 유무 및 탄산칼슘의 첨가에 따른 활성 슬래그 페이스트의 역학적 성능과 반응생성물을 연구한다. 활성 슬래그 페이스트의 자극제는 CaO 및 NaOH가 사용되었으며 자극제의 함량을 두 수준으로 결정하여 그 특성을 압축강도 실험과 방사광가속기 X-선 회절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CaO-활성 슬래그의 경우 석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탄산칼슘의 첨가는 초기 수화를 촉진하는 충진효과만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령 28일에는 역학적 성능 향상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석고가 존재하는 경우 에트린자이트의 상안정성에 기여하며 높은 수준의 강도향상을 보였다. NaOH를 자극제로 사용하는 경우 석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역학적 성능변화는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석고가 존재하는 경우 SO32- 이온과 CO32- 이온의 이온경쟁으로 반응생성물의 결정화도는 낮추며 역학적 성능을 저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알칼리 활성화제 종류별 페로니켈슬래그를 사용한 3성분계 시멘트 경화체의 내구특성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Ternary Cement Matrix Using Ferronickel Slag According to the Alkali-Activators)

  • 조원정;박언상;정호섭;안기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90-19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페로니켈의 제련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업부산물인 페로니켈슬래그 미분말과 광물질혼화재료를 사용한 시멘트 경화체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능을 평가하였다. 3성분계 시멘트 경화체의 수화열, 공극구조, 압축강도, 길이변화, 급속염화물 침투시험(RCPT), 동결융해 저항성을 평가하여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 및 광물질 혼화재료를 사용한 3성분계 시멘트 경화체의 압축강도는 기준콘크리트에 비하여 낮은 강도발현을 하였으나, 알칼리 활성화제를 사용함에 따라 어느 정도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페로니켈 슬래그를 사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길이변화는 기준 시편보다 수축이 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경우 알칼리활성화제 사용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ASTM C 1202에서 제시한 '매우 낮은' 영역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동결융해저항성 평가에서도 기준콘크리트에 비하여 아주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MWCNT 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압축강도 향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Improving Compressive Strength of MWCNT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 강수태;박순홍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63-70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multi-walled CNT 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효과적인 압축강도 향상을 위하여 섬유 분산을 위한 초음파처리 정도, 계면활성제의 사용량, 실리카퓸 치환율 등을 실험변수로 하여, 그 영향을 실험적으로 살펴보았다. 초음파 처리 시간에 따른 CNT 분산성 변화는 광학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CNT 시멘트 복합체의 압축강도가 초음파 처리 정도에 따라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면활성제로 사용된 고성능감수제 사용량의 영향은 SP/CNT비가 4~6일 때 강도향상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리카퓸 치환율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에서는 실리카퓸을 10 % 치환했을 때 강도에 대한 CNT 보강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CNT 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미세구조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는데, XRD와 SEM 분석 결과에서는 CNT 혼입으로 인한 수화생성물 및 미세구조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IP 분석을 통해서는 공극률 감소와 함께, $10{\mu}m$ 및 100 nm 크기 전후의 공극분포가 줄어드는 대신 수 십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공극들의 분포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CNT의 혼입에 따른 압축강도 증가는 화학적 영향보다는 물리적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이소프로판올의 탈수반응에서 지르코니아 촉매의 결정상에 따른 영향 (The Effect of the Crystalline Phase of Zirconia for the Dehydration of Iso-propanol)

  • 심혜인;박정현;조준희;안지혜;최민석;신채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2호
    • /
    • pp.208-213
    • /
    • 2013
  • 염화 지르코니움산화물을 수용액상하에 $100^{\circ}C$에서 다양한 숙성 시간 동안 환류시켜 지르코니움 수화물을 제조하였고 결정성 $ZrO_2$를 얻기 위하여 $700^{\circ}C$에서 6시간 소성하였다. 제조된 물질의 특성분석을 위하여 시차 열분석, X-선회절 분석, 비표면적과 세공분포 측정, 투과 전자 현미경 분석, 암모니아 승온 탈착 분석, 이산화탄소 승온 탈착 분석 그리고 이소프로판올 승온 탈착 분석을 수행하였다. 24시간 숙성시키고 $700^{\circ}C$에서 소성 후 순수한 정방형계 지르코니아만을 얻을 수 있었다. 숙성시간 증가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입자, 고비표면적 및 고 기공부피의 지르코니아를 제조할 수 있었다. 지르코니아의 숙성 시간이 길어질수록 흡착된 암모니아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흡착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감소하였다. 지르코니아 촉매상에서 프로필렌을 생성하는 이소프로판올 탈수 반응에서 촉매 활성은 168시간 동안 숙성하여 제조한 지르코니아 촉매가 가장 좋은 활성이 나타냈다. 이러한 촉매활성은 촉매의 비표면적, 산점, 상대적으로 용이한 프로판올의 탈착과 연관시킬 수 있었다.

양생 방법에 따른 알칼리활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Cement Mortar by Curing Method)

  • 김지훈;이재규;형원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17-124
    • /
    • 2014
  •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시멘트 산업의 $CO_2$ 배출 비중은 매우 큰 실정이고 앞으로도 시멘트의 지속적인 수요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시멘트 생산에 의한 $CO_2$ 배출과 환경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를 활용하여 소성을 거치지 않은 알칼리활성 시멘트의 개발을 위한 기초 물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2차 제품으로의 활용 등 양생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압 증기 양생 등 양생 조건을 다르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르타르 경화체를 통한 휨 압축강도 측정으로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내산성 내염화물 침투성 등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XRD, SEM 실험을 통해 수화 반응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이 실험 결과로부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우수한 역학적 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뛰어난 내구성을 요구하는 지하구조물이나 수중 및 해중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증기 양생을 통한 우수한 장기강도를 바탕으로 콘크리트 2차 제품에 시멘트 대체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하여 우수한 경제성 및 환경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