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영재선발시험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A Case Study of the Result Analysis of Selection Test Items of Gifted Children in mathematics (초등수학영재 선발시험 문항의 결과 분석에 관한 사례 연구)

  • Ryu, Sung-Ri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3 no.2
    • /
    • pp.349-38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ssues in selecting gifted children in mathematics by in-depth analysis of the selection process and item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rate of right and wrong answers were examined based on the reaction of the students by 1st, 2nd and 3rd selection test. Also, the types of the errors were identified for the 2nd and 3rd selection test.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rate of right answers was low in short response questions and essay questions rather than in multiple-choice questions. In addition, the academic achievements were lower in the fields other than number & operations and logic.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following studies regarding selection of gifted children are required linked with the project tasks and programs.

  • PDF

과학영재 선발과정의 분석 및 개선안 제안 - 과학영재교육원 학생 선발과정 중심으로 -

  • Gang, Hyeon-A;Jo, Gyu-Seong;Kim, Ja-H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2a
    • /
    • pp.239-248
    • /
    • 2005
  • 이 논문은 과학영재교육원의 학생 선발과정을 중심으로 과학영재아 판별과정을 분석해보고, 과학영재교육원의 학생 선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점검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과학, 수학과 관련된 창의적 문제의 지필평가 성적이 선발의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다. 지필평가 단계에서 지망분야에 관계없이 과학, 수학 및 창의력검사를 모두 치러야 하는 교육원에 초점을 맞추어 그 점수 활용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점검하였다. A 교육원의 경우 학생 선발은 다단계 평가를 원칙으로 하고 있었으며, 1단계 지필평가에서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라는 세 과목 시험의 합산점수로서 선발하고 있었다. 이 교육원의 ○○년도 중등과정 응시자 276명을 대상으로 합격자와 불합격자의 지필평가 점수를 분석하여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의 시행에 오류가 없었는지 점검하였다. 또 이들의 합산에 의한 선발이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의 상관도분석에서 과학은 수학 및 창의력검사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수학과 창의력검사는 독립적으로 분석되었다. 또 이들의 합산에 지원분야별 배점으로 계산한 선발은 본래의 취지, 즉 과학, 수학, 창의력에서 모두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의도대로 진행되었으나, 판별분석 결과 합격과 불합격자 판별에서 88.1%의 정확도를 보여 다소 오류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해당년도에 출제된 문제의 난이도 및 시험 과목별 평균점수 차를 고려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파악되어져 원점수 대신 표준점수로 변환하여 오류를 보완할 것을 제안한다. 자체와 직접 관련되는 영역으로는 좌반구의 측두엽과 전두엽 부분이 관찰되었다. 특히 한국어 어말어미 산출시 나타나는 형태점화 양상과 관련된 대뇌영역으로 발견된 브로카 영역에서의 활성화는 어미 변환과 관련된 영역이라기보다는 산출시 관련되는 articulation, motor coordinate관련 영역으로 추정되고, 측두엽의 활성화는 형태소, 의미 관련 지식의 data base로 추정된다. 또한 우반구 전두엽 부분에서 관찰된 활성화는 억제관련 영역으로 짐작된다.러한 동물실험이 그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동성향 및 기억의 종류에 따른 약물효과의 차이는 기억과 관련된 질병인 알츠하이머 환자에 있어 개개인에게 맞는 적절한 특징적인 치료약물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력 증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

  • PDF

A Case Study on the 4-high Skeleton Tower Problem Solutions by the 3rd and 4th Graders in a Gifted Children in Math Selection Test (초등수학영재 선발시험에 응시한 3, 4학년생들의 4층 Skeleton Tower 문제해결에 대한 사례 연구)

  • Kim, Hae-Gy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1
    • /
    • pp.123-143
    • /
    • 2010
  • The Skeleton Tower problem is an example of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algebra and geometry. Finding the number of the cubes in the tower can be approached in more than one way, such as counting arithmetically, drawing geometric diagrams, enumerating various possibilities or rules, or using algebraic equations, which makes the tasks accessible to students with varied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So, it will be a good topic which can be used in the elementary grades if we exclude the method of using algebraic equa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some points which can be considered with attention by gifted children education teachers by analyzing the 4th Skeleton Tower problem solutions made by 3rd and 4th graders in their selection test who applied for the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in math at J University for the year of 2010.

Item Analysis for Selecting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t Physics Class (과학영재교육원 중학교 물리 전공 선발 문항 분석)

  • Lim, Chun-Woo;Park, Yune-Ba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0 no.1
    • /
    • pp.61-7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tems that were used in entrance examination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using content analysis and classical item analysis. In content analysis, objective type items exhibited mathematics and physics were dominant. Science giftedness & creativity items were dominant. And essay type items consisted of physics items, have evaluate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index, on the whole, were appropriate. Comparing with objective type, essay type has higher discrimination index. I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otal score and score of each type of items, total scor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essay type items and science giftedness & creativity. It was recommended that mathematics, physics and chemistry items with focusing giftedness & creativity could give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selection method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이국행;이영환;김현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1-166
    • /
    • 2003
  •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영재아의 개념정의와 판별도구 개발, 영재발굴, 선발 및 그들의 교육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영재아들의 적응, 자기지각, 또래관계등 사회정서발달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영재아동의 개인 및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수준 및 성별에 따른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파악하며, 그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 영재아의 사회적 성취나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적응(개인적응, 사회적응, 부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ulcorner, 셋째, 과학영재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수준은 어떠한가\ulcorner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100명의 아동이며, 이들은 교사추천 및 전북대학교 과학영재연구소의 과학과 수학시험을 통해 선발된 과학 영재아동이다. 설문결과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39명(남아 59명, 여아 30명)이 최종 연구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아동의 적응능력검사도구는 한국교육평가센터(KETC)에서 1998년 개발하여 표준화과정을 마친 종합적응능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응영역(자아개념 12문항, 성취동기 10문항, 자기기획 15문항), 사회적응영역(사교성 15문항, 애착 9문항, 사회적 긍정성 10문항), 부적응영역(스트레스 20문항, 욕구좌절 10문항, 편견 12문항) 총 1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자기지각검사도구는 Harter(1985)의 Self-Perception Profile이며, 학업역량, 사회적역량, 운동역량, 신체외모역량, 행동품행역량, 자기가치감 각각 6문항씩 총3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사회적 지지검사도구는 한미현(1996)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교친구지지, 친한 친구지지 각각 6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Analyses of the Test Problems for Admission at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Youth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선발문항 분석 및 선발방법에 대한 제언)

  • Lee, Sang-Bub;Lee, Kwang-Pill;Choi, Sang-Don;Hwang, Suk-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9 no.4
    • /
    • pp.604-621
    • /
    • 1999
  • We analyze the admission test problems used in 1998 at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Youth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ECGY, KNU). The test consists of two parts, an evaluation of the scientific thinking skills and an evaluation of the achievement for Mathematics and Sciences, the former of which includes evaluations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logical thinking skills. The problems for the tes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were developed and standardized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Center, while those of the achievement for Mathematics and Sciences were made at SECGY. We calculate the indices of the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for each problem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est is appropriate to apply for selecting number of gifted students among the recommended students from 389 middle schools in Taegu-city and Kyungsang-pook-do Province. We find that both indices of most problems for the tes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were out range of the appropriate level and. moreover, even those problems which fall into the appropriate range showed very low efficiencies for distractors. We, thus, conclude that the problems of the tes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are inappropriate to use as a test for admission to SECGY.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s of the achievement test showed extreme results; the Mathematics problems appeared to be too difficult, whereas the Physics problems appeared too easy. However, overall scores showed a normal distribution, indicating that those problems played crucial role in selecting gifted students. We finally propose several suggestions in developing the test problems and in selecting students at the SEC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