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사교육

Search Result 1,38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의 이상과 현실

  • Kim, Yeong-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453-468
    • /
    • 2001
  • 수학교육의 발전을 위해서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고 재교육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교육과의 수학교사 양성 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 사항을 논하였다. 1.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을 토대로 해서 이상적인 수학교사를 정의하기 위한 준거를 찾아보았으며 이로부터 이상적인 수학교사의 조건을 논의하였다. 2.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의 운용 현황과 수학교사 양성 제도로부터 이상적인 수학교사의 양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3. 이들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수학교사 양성 교육에 대하여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 PDF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조사

  • Jo, Jeong-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371-394
    • /
    • 2001
  • 교사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예비 수학교사들의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은 주로 초, 중,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수학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경험에 의해서 형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신념은 결국 사범대학에서의 교육을 받으면서 지식의 습득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예비수학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수학의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을 조사하는 것은 이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신념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어 바람직한 신념형성 및 장차 교사가 되었을 때 수학교실에서의 교수-학습의 새로운 전환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신념을 조사, 연구하는 것은 현재 수학과 교사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와 학습에 대한 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무엇이 유능한 수학교사를 만드는가 -예비 초등교사의 관점을 중심으로-

  • Park, Man-G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27-128
    • /
    • 2003
  • 본 고에서는 교육대학의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초등교사들이 학생으로, 교생으로의 자신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그들의 관점에서 본 수학에 대한 생각과 유능한 수학교사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보면 유능한 수학교사는 수학교과에 대한 수학 지식은 물론이고 수학교수에 대한 열정과 함께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 PDF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 O, Yeong-Yeo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317-323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함으로써 예비 교사를 위한 수학 교육프로그램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기존의 문헌 분석에 의하면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은 수업 수행 능력과 학생들의 학습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가 지향하고 있는 교사들에 대한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으로의 개선과 변화된 수업 방식의 지속성에 매우 유효한 요인이 된다. 예비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보통의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특히 상당수의 예비 교사들은 자신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들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현재 교육대학교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제공하는 수학 교육과 관련된 과목을 수강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적인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수학 교육 프로그램의 초점이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 능력의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그들이 이해하고 있는 수학 교수법적 지식과 매우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s of Foundations and Creativity in Mathematics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인식)

  • Park, Mangoo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52 no.3
    • /
    • pp.399-422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수 학습에서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한국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분석해 보는 것이다. 모든 국가의 경제나 교육에 있어서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그 동안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한국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이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11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수학에 대한 기본 및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고,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필요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이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하여 중요한 것으로 강조를 하고 있으나 수학과의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이를 적절하게 강화시키는 데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 교사들이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하여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이를 적절하게 지도하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의 교육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기본 및 창의성을 신장을 돕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풍부한 자료의 제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Performing an Instructional Simulation Using a Socrates' Method by the Connection of In-Service Teachers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현직교사 교육과 예비교사 교육의 연계를 통한 산파법 관점에서의 모의수업 실행 사례)

  • Kim, Nam Hee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6 no.3
    • /
    • pp.509-525
    • /
    • 2016
  •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the previous research for teacher education(Kim Nam Hee, 2006, 2009, 2013, 2014).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ird grade student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in 2016. In this study, we guided to allow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their teaching research ability and teaching practical skills us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in-service teachers training courses. Processes mainly perform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learning the theory on Socrates' method, case study for thought experiment activities, instructional simulation using a Socrates' method, class analysis, textbook analysis, peer evaluation, self-assessment. Observing tutorial examples by in-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were expanding their limited knowledge and experience. By analyz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processes, we checked the points to put more attention in futur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중등교사 임용고사와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

  • Kim, In-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527-537
    • /
    • 2001
  • 중등교사 임용고사는 현실적으로 수요를 초과하는 다수의 교사 자격증 소지자 가운데에서 우수한 교사를 선발하여 공립 중등학교에 임용하기 위한 공개 경쟁 시험제도이지만, 그 영향력은 중등교육의 발전과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결정적일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지대하다. 여기서는 “좋은 수학교사”의 양성과 선발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임용고사가 수학교육의 발전에 순기능적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개선을 위한 몇 가지 드러난 문제점들에 대하여 논의하고, 필연적으로 임용고사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는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과의 관계에서 상호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과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논의하였다.

  • PDF

수학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 Bang, J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31-347
    • /
    • 2001
  • 수학교육 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실 문화의 변화는 교사가 그 개혁 방향을 이해하고 자신들이 지향하는 가치와 우선 순위를 수업에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 (교사의 학습 및 교수 경험, 지식, 신념, 개별인성특징) 및 사회문화적 변인 (문화적 ${\cdot}$ 교육적 규준,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교사교육, 전문적 모델과 교사공동체)을 찾아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수학 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발면담 질문을 제시한다.

  • PDF

A Comparison Study of Curricular of Teacher Educ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Opportunities to Learn Teaching Mathematics (한미 초등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비교: 수학 교수의 학습 기회를 중심으로)

  • Kim, Ye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4 no.4
    • /
    • pp.555-572
    • /
    • 2014
  •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re responsible for preparing teachers to be able to perform their work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What opportunities to learn such knowledge and skills the programs intentionally develop for prospective teachers can be discerned by looking at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 South Korea, especially as that pertains to opportunities to learn teaching mathematics. This paper compares the curricula of 21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teachers in South Korea and in the United States. It finds that the programs in both countries emphasize teacher preparation to teach subject matter and to help elementary students improve their academic knowledge. The overall structures of the curriculums outlined in the programs of both countries are relatively comparable. In terms of the opportunities to learn teaching mathematics, however, they are quite different in what authentic contents they offer. This paper discusses the need for more emphasis o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 PDF

A Study on Possibility of Research Community for Mathematics Classroom of Expert-Inservice Teacher-Preservice Teacher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

  • Kang, Hyun Young;Tak, Byungjoo;Ko, Eun-Sung
    • School Mathematics
    • /
    • v.18 no.4
    • /
    • pp.857-880
    • /
    • 2016
  •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teacher education is a key element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th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Korea do not provide given enough opportunities for the classroom experience dur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eriod. For development of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develops a research community for mathematics classroom consisting of experts,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nd the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the model as an educational space for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y participating in a series of courses such as task development and revision, and observation and analysis of classes. As results,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enhance the practical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necessary for the class, and they were also positively influenced in teacher efficacy and view of teaching on the model. Based on this, we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model as a teacher edu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