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치 소양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재래오골계의 혈액상 및 혈액화학치에 관한 연구 - 1. 오골계의 혈액상에 관하여 (Studies on the Hematologic Values and Blood Chemistry Values of Korean Native Ogolgye 1. Hematologic Values for Korean Native Ogolgye)

  • 이한기;박옥윤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3-238
    • /
    • 1984
  • 본 시험은 천연기념물 제265호인 182일령 한국재래종 오골계 20수(남 ; 10, 여 ; 10수)를 대상으로 정상혈액상을 구명하고 성별로 비교하여 유의성을 검정했던 바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적혈구치, 혈색소치 및 적혈구용적은 각각평균 $3.23\pm0.29\times10^6/{\mu}{\iota}$, 11.75$\pm$2.27g/100m1 및 33.41$\pm$4.85ml/100m1를 나타냈으며 이들은 공히 수컷이 암컷에 비해 그 수치가 다소 높았으나 성별 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2. 평균적혈구용적, 평균적혈구혈색소양 및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의 평균치는 각각 102.65$\pm$17.45f1, 36.36$\pm$6.20pg, 및 34.44$\pm$0.63g/100m1을 나타냈으며 성별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3. 백혈구수는 평균 $16.33\pm4.75\times10^3/{\mu}{\iota}$ 이고 성별간의 유의성은 없었으며 동요범위는 매우 넓었다. 4. 혈소판수의 평균치는 $2.85\pm0.43\times10^5/{\mu}{\iota}$ 이고 남; 2.79$\pm$0.55, 여 $2.95\pm0.37\times10^5/{\mu}{\iota}$ 으로서 남이 여에 비하여 다소 높았으나 성별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백혈구감별계수의 평균치는 Neutrophile $25.8\pm5.32\%$, Lymphocyte $59.1\pm6.48\%$, Eosinophile $3.0\pm1.50\%$, Basophile $2.6\pm1.14\%$ 및 Monocyte $9.5\pm2.95\%$로 성별간에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6. 적혈구의 크기는 장경$\times$단경$\times$두께가 남 $13.06\pm0.53{\mu}{\times}8.66\pm0.22{\mu}{\times}3.49\pm0.07{\mu}$, 여 $12.71\pm0.51{\mu}{\times}8.55\pm0.24{\mu}{\times}3.44\pm0.06{\mu}$을 나타내었다. 7. 각 측정치에 있어서 성별간에 대체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Tank 모형의 기저유출 매개변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seflow Parameters Estimation of Tank Model)

  • 구보영;정일원;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70-1974
    • /
    • 2006
  • Tank 모형은 유역을 임의의 저류탱크로 가정하여, 유출공의 높이를 초과하는 저류고를 방출함으로써 유출량을 모의한다. 유출분석의 목적에 따라 직렬 3단 혹은 4단의 탱크로 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국내의 일 단위 장기유출분석 연구에서는 직렬 4단 Tank 모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Tank 모형은 유역의 강우-유출관계를 모의하는 과정에 black box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각 저류탱크와 관련된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들의 물리적인 의미를 이해하여야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일본의 Sugawara는 경험적으로 매개변수들이 결정되는 범위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기저유출을 모의하는 Tank 모형의 최하단 탱크에서 이러한 매개변수 범위에서는 적합한 값을 갖으나 장기적인 모의시에 저류고 및 유출고가 계속 증가하여 물리적인 유출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장기간의 자료가 구축된 소양강댐을 적용 유역으로 선정하여 최하단탱크의 유출공계수의 변화에 따른 유출량과 저류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매개변수가 $0.0001{\sim}0.001$의 범위에서 장기간의 지속적인 저류고와 유출량의 증가가 나타났다. 그리고 유출공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저류고는 감소하고, 저류고가 증가하는 지속기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치 변화분석에서는 상관계수, 평균제곱근오차, 모형효율성계수에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출용적오차에서도 최대 약 6% 정도 유출용적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ber)과 동일한 위치의 수온자료를 기초로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수온추출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분석데이터의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수온, 클로로필, 투명도 등을 위성원격탐사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실시하고, 공간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대상해역의 해양환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분석된 위성자료가 현장조사에 의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상자료분석을 통한 표층수온 추출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에어로졸에 의한 계산치의 오차가 반영되기 때문에 실측치 보다 낮게 평가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

  • PDF

비만 환자에 대한 조위승청탕의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Observation on Effects and Adverse Effects of Choweseuncheng-tang on Obesity Patients)

  • 서동민;이상훈;이재동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45-153
    • /
    • 2005
  • 비만이 질병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으며, 한방 치료에 대한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의정부 한방병원에 비만 치료를 위해 내원한 20명을 대상으로 조위승청탕 가미방 치료 후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만 환자 20명에 대한 전기침 치료 및 약물 요법 치료 후 체중감소 결과는 치료 1주 후 평균 $1.33{\pm}0.85kg$, 2주 후에 평균 $2.45{\pm}1.64kg$, 3주 후에 평균 $3.25{\pm}2.09kg$, 4주 후에 평균 $4.15{\pm}2.38kg$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BMI는 치료 4주 후 $1.62{\pm}1.05$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 BMI 기준으로 4주 치료 후 위험체중에서 평균 $3.15{\pm}1.74kg$ 감소하였고, 비만 Class I에서 평균 $3.57{\pm}1.62kg$ 감소하였으며, 비만 Class II에서 평균 $6.98{\pm}2.88kg$ 감소하였다. 3. 태음인에서 $4.47{\pm}2.51kg$가 감소되었으며, 소음인에서 $3.20{\pm}0kg$ 감소되었으며, 소양인에서 $2.50{\pm}1.93kg$ 감소되었다. 4. 복약이후 식욕의 감소에 따른 체중감소량은 식욕의 저하군에서 평균 $4.94{\pm}2.64kg$ 감소하였고, 보통에서는 $3.35{\pm}1.25kg$ 식욕 증가 군에서는 $2.25{\pm}2.62kg$ 감소하였다. 5. 치료 후 체지방율은 평균 $3.16{\pm}1.25%$ 감소되었다. 6. 치료 전 후에 혈압과 맥박 모두 증가나 감소는 없었으며, 정상적으로 나타났으며, 치료 전 측정한 수치와 치료 4주 후에 재측정한 BUN, Cr, GOT, GPT는 모두 참고치 이하에서 변화를 보여 정상 소견으로 나타났으며, 각종 호소 증상으로 자율신경계 항진 증상은 11명이 호소하였으며, 불면이 1례, 발한이 9례, 심계 항진이 1례였다. 위장관 증상은 7명이 호소하였으며, 오심이 3례, 복통이 4례였으며 기타 증상으로 3명이 호소하였으며 두통이 2례 현훈이 1례였다.

  • PDF

태음인(太陰人)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과 조위속명탕(調胃續命湯)이 자연발증(自然發證) 고혈압(高血壓) 백서(白鼠)의 혈압(血壓)과 신장(腎臟) 기능(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Yuldahansotang and Jowisokmyungtang on the Blood Pressure and Renal Funct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윤홍식;이호섭;김경요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65-588
    • /
    • 1998
  • 1. 연구배경 및 목적 태음인(太陰人) 처방(處方) 중 열다한소탕(熱多寒少楊)과 조위속명탕(調胃續命湯)이 고혈압(高血壓)과 신장기능(腎臟機能)에 미치는 효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이들 질환에 대한 사상의학적(四象醫學的) 접근(接近)을 도모하고자 한다. 2. 방법 정상백서(正常白鼠)와 자연발증(自然發證) 고혈압(高血壓) 백서(白鼠) 두 집단을 같은 환경에 2주 이상 적응시킨 후 각각의 집단에 10첩 분량의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과 조위속명탕(調胃續命湯) 전탕액(煎湯液)을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혈압(血壓)을 측정하고 소사(小使)중 creatinine, electrolytes, osmolarity, renin, atrial natriuretic peptide와 혈액(血液)중 aldosterone, triglyceride, phospholipid, cholesterol을 측정하여 이들 수치들의 유의성있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3. 결과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과 조위속명탕(調胃續命湯)은 자연발증(自然發證) 고혈압(高血壓) 백서(白鼠)의 혈압(血壓) 상승(上升)을 억제하였으며, 이 중 열다한소양(熱多寒少楊)은 혈장 atrial natriuretic peptide 농도 증가 및 aldosterone 농도 감소에 의한 것이며, 조위속명탕(調胃續命湯)은 혈장 aldosterone 농도 감소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과 조위속명탕(調胃續命湯)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우리나라 다목적댐 인공호들의 규모에 따른 연별.계절별 수질변이 및 상.하류간 종적구배 특성 (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Terms of Size Dimension on Multi-Purpose Korean Dam Reservoir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Gradients)

  • 한정호;이지연;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319-337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공호들에서 연별 계절별 수질변이 특성 및 상 하류 간 수질의 종적구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2007년의 자료(물환경정보시스템)의 월별, 연별, 공간별(유수대, 전이대, 정수대)의 수질자료를 비교 평가하였다. 10개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수질 변수를 이용하였으며, 인공호들의 일반 수질 특성, 수리수문학적 수질 특성, 시간적 수질변이 특성, 공간적 수질 변이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수면적, 유역면적, 유입량, 방류량을 기준으로 9개의 인공호에 대하여 유사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대형인공호(충주호, 대청호, 소양호), 중형인공호(안동호, 용담호, 주암호, 합천호), 소형인공호(횡성호, 부안호)로 크게 3개 그룹으로 나누어졌고, 유역 크기별로 비슷한 수질 양상을 나타냈다. 홍수의 해(2003년)와 가뭄의 해(2005년)로 대별하여 수질 자료를 분석한 결과, pH, DO, BOD, SS, TN, TP, CHL, EC는 Rz에서 Lz으로 갈수록 값이 감소하였고, SD는 LZ으로 갈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호내의 영양물질과 부유물질의 침강작용 및 광제한으로 인한 CHL의 감소가 SD 값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각 지점별 pH, DO, SS, SD, EC는 가뭄의 해인 2005년에 컸고, BOD, COD, TN, TP, CHL은 홍수의 해인 2003년에 높게 나타났다. 공간적인 수질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9개 인공호의 Rz, Tz, Lz에서의 TN, TP, CHL, SD의 수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TN, TP, CHL은 Rz에서 Lz으로 갈수록 침강작용에 의해 그 값이 감소하였고, SD는 반대 양상을 보였다. TN과 TP 사이에서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수질 변수 사이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인공호의 CHL-SD 모델에서 Rz, Lz의 경우를 제외하고, TP-CHL, CHL-SD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P-CHL의 상관관계는 중형인공호의 Rz ($R^2$=0.2401, p<0.0001, N=239)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CHL-SD의 상관관계에서도 중형인공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TP-CHL의 상관관계와는 반대되는 역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대청호, 안동호, 횡성호를 Rz, Tz, Lz에서 수질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청호에서 수질자료의 값이 구간별로 큰 변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청호가 대형인공호로서 구간 간 거리가 멀고, 수심이 깊어 Rz, Tz, Lz의 구간 간 특성이 뚜렷하게 구분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