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항공사진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위치기반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요소 기술 개발

  • Yu, G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83-183
    • /
    • 2010
  •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는 갈수록 고도화 되어 가고 있다. 특히 최근의 대형 포털을 중심으로 지오웹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 있고 이를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이용기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제공하려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정부와 민간에서 구축 중이거나 보유 중인 전국적 규모의 데이터 간 상호 연동과 융합을 도모하려는 시도 또한 불가결하다. 이는 고도화된 LBS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몇 가지 주요한 전국 데이터를 대상으로 상호 연동과 융합을 위한 기술개발을 시도하였다. 우선 도로명주소기본도와 수치지형도 간 POI의 연계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두도면 내의 POI를 대상으로 다양한 매칭과 이에 기반 한 의사결정 방법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호 인식 및 연계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적도와 수치지형도 간의 객체 매칭에 관한 연구이다. 수치지형도와 지적도의 불부합으로 인하여 그 동안 지적도를 수치지형도에 맞춘 형태의 편집지적도를 지속적으로 생산하여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문제는 여기에 필요한 많은 예산이다. 만일 수치지형도와 지적도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편집지적도를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면 많은 예산 절감과 함께 편집지적도의 현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항공사진과 도로망도의 매칭이다. 현재 주요 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는 항공사진 기반의 도로망도는 기복변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시각적으로 많은 위치오차를 보이고 있다. 만일 항공사진의 도로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벡터 도로망도와 매칭을 할 수 있다면 보다 시각적으로 안정된 항공사진 상의 도로망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이는 차량이나 보행자 네비게이션에 매우 요긴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서로 LOD가 다른 도로망도의 매칭 문제이다. 많은 기관에서 독자적으로 생산한 도로망도는 LOD의 상이에 기인한 문제가 많아 서로 연계 활용되지 않는다. 이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서로 연계할 수 있다면 두 도로망도가 보유하고 있는 속성정보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익을 얻게 된다. 다음으로 지도 일반화 기술이다. 지도일반화는 지적도내 수치지형도와 같은 대규모 데이터를 스마트폰과 같은 저용량 사양의 기기에 서비스 할 때 불가결한 기술이다. 지도상 객체들의 기하학적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메모리 측면에서 경량의 지도를 자동으로 만들어 낸다면 이는 매우 요긴하게 이용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행자 네트워크의 생성기술이다. 보행자 네트워크는 그 상세함과 정보용량에 있어서 차량용 네트워크에 견줄 수 없다. 이를 현행의 차량용 네트워크와 같이 수동으로 생성하는 데에는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기존의 공간정보들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해 낼 수 있다면 그 파급효과는 매우 크리라 판단된다. 본 발표에서는 위와 같은 주제에 관하여 그간의 연구 성과를 개략적으로 소개해본다.

  • PDF

River Landscape Change Detection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Combined with Visual Interpretation (시각판독 및 수치사진측량을 이용한 하천경관 변화 파악)

  • Ahn, Seung-Mahn;Kim, Jae-Cheol;Lee, Kyoo-Seo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0 no.6
    • /
    • pp.81-87
    • /
    • 2007
  • 1960년대 이후 빠른 도시화는 도시 자연환경, 그중에서도 도시 하천을 많이 변화 또는 훼손시켰다. 한강은 서울의 중심을 흐르는 강으로서 60년대 이후 도시화로 인해 유로변경, 천변백사장 망실 등 자연경관이 급격히 변화하였다. 오늘날 하천은 도시의 생태통로로서 뿐만 아니라 천변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로서 그 가치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변화된 하천자연경관은 환경복원의 주요 대상이며 이를 위해서는 훼손되기 전 하천경관의 원형파악이 필수적이다. 경관의 원형파악을 위해서는 촬영당시의 지형, 지물의 구체적인 정보들을 보유하고 있는 항공사진과 고해상도 위성영상 등의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 대상지의 지형, 지질, 식생, 토괴 등을 판독하여 자연경관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항공사진 외에도 IKONOS 위성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영상을 판독한 후 이를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하여 경관변화의 계량적 파악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을 대상으로 1966년부터 2002년까지의 변화를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천 자연경관변화를 파악하였다. 판독결과 대부분의 하천 변화는 모래사장과 곡류하천이 소멸돼 다른 용도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래사장은 하천 직강화로 인해 하천으로 변했으며 하천은 단지 및 택지개발에 따른 천변도로 개설로 인해 소멸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각각 나타났다.

Generation of Digital Orthoimage using Direct Georeferencing (외부표정요소 직접결정에 의한 수치정사영상 생성)

  • Song Youn-Ky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3 no.1 s.32
    • /
    • pp.55-63
    • /
    • 2005
  • Direct Georeferencing(DG) Is based on the direct measurement of the projection centers and rotation angle of sensor through loading the GPS and INS in aircraft. The methods can offer us to acquire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with only minimum GCPs, even the ground control process could be completely skipped. Hence, as long as securing Digital Elevation Model (DEM), it is feasible to generate digital orthophotos without performing the aerial triangulation with Ground Control Point (GCP) surveying. In this study, the DEM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using a image matching technique based on aerial photos and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This is followed by producing an orthophoto from these results. Finally, accuracy analysis of the georeferencing technique for generating orthoimage indicates that RMS errors of 62cm and 76cm occurred at the X and the Y axis,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results fulfill the demanding accuracy of the 1:5000 digital map. Hence, it is possible to conclude from this study that the direct georeferencing based orthoimage generation method is able to effectively digital map update.

  • PDF

Acquisit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UAV Photogrammetric Method (무인항공 사진측량을 이용한 3D 공간정보 취득)

  • Jung, Sung-Heuk;Lim, Hyeong-Min;Lee, Jae-K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1
    • /
    • pp.161-168
    • /
    • 2010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that shall rapidly acquire 3D information of the fast and frequently changing city areas by using the images taken by the UAV photogrammetric method, and to develop the process of the acquired data. For this study's proposed UAV photogrammetric method, low-cost UAV and non-metric digital camera were used. The elements of interior orientation were acquired through camera calibration. The artificial 3D model of the artificial structures was constructed using the image data photographed at the target area and the results of the ground control point survey. The digital surface model was created for areas that were changed due to a number of civil works.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proposed method's application possibility by comparing a 1/1,000 scale digital map and the results of the ground control point survey. Through the above studies, the possibilities of constructing a 3D virtual city model renewal of 3D GIS database, abstraction of changed information in geographic features and on-demand updating of the digital map were suggested.

Extraction of Building Height Using Digital Map and Single Imagery (수치지도와 단영상을 이용한 건물의 고도값 추출)

  • Yun K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1
    • /
    • pp.57-64
    • /
    • 2006
  • Recently the extraction of building height information has been investigated using remotely sensed image and digital maps. In this study, based on the digital photogrammetry principle and mono imagery method the building height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by using relationship between ground coordinates and image coordinates. To evaluate the result the comparison was done with building height from 1:5000 aerial photo. The experiment shows that extraction of building height could be performed using IKONOS single imagery and digital map and it is proved that the building height could be reconstructed within some extent.

A study for implementation of the 3D virtual city (3D 가상도시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Sung-Su;Kim, Byung-Gu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59-64
    • /
    • 2002
  •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과 H/W의 발달로 3D GI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3D GIS에 대한 활발한 연구 중 3D 가상도시의 구축이 중요한 연구로 떠오르고 있다. 3D 가상도시는 국방, 교통, 통신, 지적, 지하시설물, 관광, 도시계획, 도시모델링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3D 가상도시의 구축은 미약하지만 앞으로 그 수요는 더욱 더 많아질 것이다. 3D 가상도시의 구축에는 GIS, 컴퓨터 그래픽스, Database, 자료구조, 3D 모델링 등의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 3D 가상도시의 구축의 방법은 크게 1/1,000수치지도+실제측량, 1/1,000수치지도+입체 인공위성 영상+수치사진측량, 1/1,000수치지도+항공사진측량 도화원도, 1/1,000수치지도+항공레이저스캐닝의 방법을 적용해 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여건상 첫 번째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이 되나 도화원도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여 세 번째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3D 가상도시는 인터넷 기술과 접목이 되어 3D Web GIS의 형태로 앞으로의 GIS 주류를 이룰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3D 가상도시의 구축에 관한 연구는 미약한 수준이다. 3D 자료취득, 자료처리, 모델링 부문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 PDF

Applications of Digital Orthophoto in Cadastre (지적분야에서의 수치정사사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박병욱;김상수;최윤수;차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7 no.3
    • /
    • pp.233-243
    • /
    • 1999
  • In this study, sample sites are chosen where digitalized cadastral maps are available, and boundaries of forestry, farming lands, and residence are clearly distinguishable. Digital orthophotos, produced from aerial photographs, are overlaid with digitalized cadastral maps to grope for applications of digital orthophoto in cadastre. The conclusions and applicable fiel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digital orthophoto is applica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discordance and duplication of boundary produced in the process of digitizing cadastral maps. The second, using digital orthophoto, it is possible to extract regions where a trouble of ownership would exist and so the necessity of cadastral resurveying can be brought. The third, by overlaying digital orthophoto and cadastral map, it can be used effectively for the present situation maintenance of buildings. The fourth, because it is possible to examine current land use of each lot, digital orthophoto may contribute to decide the validity of land category on cadastral map.

  • PDF

On-site Demonstration of Topographic Surveying Techniques at Open-pit Mines using a Fixed-wing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고정익 무인항공기(드론)를 이용한 노천광산 지형측량 기술의 현장실증)

  • Lee, Sungjae;Choi, Yosoo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5 no.6
    • /
    • pp.527-533
    • /
    • 2015
  • This study performed an on-site demonstration of the topographic surveying technique at a large-scale open-pit limestone mine in Korea using a fixed-wing unmanned aerial vehicle (UAV, Drone, SenseFly eBee). 288 sheets of aerial photos were taken by an automatic flight for 30 minutes under conditions of 300 m altitude and 12 m/s speed. Except for 37 aerial photos in which no keypoint was detected, 251 aerial photos were utilized for data processing including correction and matching, then an orthomosaic image and digital surface model with 7 cm grid spacing could be generated. A comparison of the X, Y, Z-coordinates of 4 ground control points measured by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those determined by fixed-wing UAV photogrammetry revealed that the root mean squared errors were around 15 cm. Because the fixed-wing UAV has relatively longer flight time and larger coverage area than rotary-wing UAVs, i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large-scale open-pit mines as a topographic surveying tool.

Efficiency Evaluation of Contour Generation from Airborne LiDAR Data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등고선 제작의 효율성 평가)

  • Wie, Gwang-Jae;Lee, Im-Pyeong;Kang, In-Gu;Cho, Jae-M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2 s.40
    • /
    • pp.59-66
    • /
    • 2007
  • The digital working environment and its related technology have been rapidly expanding. In the surveying field, we have changed from using optical film cameras and plotters to digital cameras, multi sensors like GPS/INS etc,. The old analog work flow is replaced by a new digital work flow. Accurate data of the l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efficient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land, urban planning, disaster and environment management. It is important because it is an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this study, LiDAR surveying was used to get points clouds in the study area. It has a high vegetation penetrating advantage and we used a digital process from planning to the final products. Contour lines were made from LiDAR data and compared with national digital base maps (scale 1/1,000 and 1/5,000). As a result, the accuracy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were evaluated. The accuracy of LiDAR contour data was average $0.089m{\pm}0.062\;m$ and showed high ground detail in complex areas. Compared with 1/1,000 scale contour line production when surveying an area over $100\;km^2$, approximately 48% of the cost was reduced. Therefore we prepose LiDAR surveying as an alternative to modify and update national base maps.

  • PDF

Comparison of Methodology and Accuracy of Digital Mapping of Forest Roads (수치임도망도 제작방법 및 정확도 비교)

  • Kim Tae-Geun;Yoon Jong-Suk;Woo Choong-Shik;Lee Kyu-Sung;Hong Chang-He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3 no.3 s.34
    • /
    • pp.195-209
    • /
    • 2005
  • Forest road has been an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various forestry practices as well as for recreational use, disaster management, and local economics promotion. Since 1980s, extensive network of forest roads has been constructed as an national project in Korea. However, due to the minimal-budget of the project, accurate maps of forest road are not usually available. Although forest road map is a main thematic layer for the fores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GIS), its locational accuracy has not been sufficient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s and, therefore, the update of digital forest road maps is urg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e methodology of generating and updating digital forest road maps from the aspects of the map accuracy and the efficiency of methods. Four mapping methods (GPS surveying, satellite imagery, ortho aerial photograph, and digital photogrammetry) were applied to generate the forest road maps over the study area of Mt. Oseo in Chungchungnam-do, which has a 35km forest roads distributed in national, public and private forests. The forest road Imp produced by digital photogrammetric method is the most accurate and comparable to GPS surveying although it required the greatest amount of labor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