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지질도 및 수치지형도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of Field Geological Information System (야외 지질정보시스템 설계)

  • 김대진;류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45-147
    • /
    • 2001
  • 지질도 매핑 시스템이 국내외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 환경에 적합한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활용되지 못하고 현재까지 현장에서 매핑될 지질 정보를 수기로 입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전적인 방식은 작업 데이터 공유, 데이터 유실 및 프로젝트 관리문제를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의 야외지질정보 매핑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노트북과 GPS와 상호 통합된 시스템으로 기 제작된 수피지형도를 배경으로 현위치의 노두 정보가 입력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GPS 좌표와 TM좌표간 좌표 변환모듈을 통하여 현 좌표를 실시간으로 입력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 작성된 수치지질/지형도를 오버레이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밀 수치지질도 생산 및 지질도를 통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velopment on Location Analysis Model of GIS in Torrential Stream (GIS기법을 이용한 야계사방 입지해석 모델 개발)

  • Kim, Ki-Heung;Jung, Hea-Reyn;Park, Sang-Heyn;Ma, Ho-Seop;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22-1826
    • /
    • 2010
  • 본 연구의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야계의 입지해석모델 개발은 사방댐 하류 야계에 대한 야계사방사업의 위치 선정, 하도계획 및 구조물 계획 등을 기 구축되어 있는 국가 DB와 강우 강도 산정, 홍수유출해석 및 수리계산 소프트웨어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표준화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 지형 지질 토지이용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유출해석을 통해 기본 홍수량을 산정하고, 홍수량과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으로부터 추출한 야계의 종단, 평면 및 횡단지형정보를 기본자료로 HEC-RAS의 지형자료(geometry data) 및 흐름자료(flow data)를 구축하여 수리계산을 수행하였다. 수리계산 결과를 토대로 종단, 평면, 횡단의 하도계획과 호안, 수제 및 하상유지공 등 구조물 계획 등에 필요한 야계입지해석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강우, 지형 지질 토지이용, 항공사진 자료 등 국가 DB자료만을 이용하여 야계입지를 해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1 : 5000의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으로부터 야계부분에 대한 지형도를 분리하여 1m 간격의 등고선으로 된 수치지형도에서 야계의 종단, 평면 및 횡단지형정보를 기본자료로 수리계산을 위한 HEC-RAS의 지형자료(geometry data)를 구축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리계산 결과를 토대로 최심하상고, 수위, 수심, 유속, 소류력, Froude수 등 종단, 평면, 횡단의 하도계획과 호안, 수제 및 하상유지공 등 야계 구조물 계획 등에 필요한 수리학적 인자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시험유역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야계사방사업의 입지선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를 제시하였다.

  • PDF

Survey and Research of Geographic and geologic centers in South Korea using GIS (GIS를 이용한 남한의 지질 및 지리적 중심에 관한 연구와 조사)

  • Hwang, Jae-Hong;Jeong, Won-Seok;Na, Gi-Cha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437-445
    • /
    • 2005
  • 지리 중심에 대해서 확실하게 정립된 정의와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지리 중심을 산출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지표면은 굴곡이 심하고 다양한 암상으로 구성되어 밀도 분포가 매우 불균질하고 그 경계 또한 불규칙한 굴곡이기 때문에 중심점을 구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한 지역에 중심의 정의와 산출 방식에 따라서 여러 중심점이 존재 할 수 있는 것이다. 지리중심결정에 대한 유일한 해법은 없으며 어떤 과학자도 단정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 분석을 통하여 남한내륙의 지리적, 지질학적 중심지를 정확히 밝히고 학술적으로 정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된 사료 수집은 물론 자료 처리를 위한 수치 지형도, 수치 지질도 등의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지질 및 지리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으로 한국에서 적용된 사례 및 외국의 적용 사례를 파악하고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과정을 적용해 보았다. 그리고 지리정보 시스템의 분석 개념을 설명함으로써 이 분석방법이 얼마나 타당한 분석방법인지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중심을 구하기 위해 적용된 조건은 지각이 등밀도 평면일 경우와 암상에 따라 불균질한 평면일 경우로 가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남한 내륙의 무게중심점 및 기하학적인 중심점은 매우 다양하게 산출되었다. 그 결과 단순 남한내륙의 해안선 경계를 이용한 여러 중심점들은 대체적으로 충청북도 남부의 반경 20km 이내의 버퍼영역에 밀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real Distribution Ratio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by GIS in the Gyeongsangbug-Do and Daegu Areas (GIS에 의한 경북-대구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종별 분포율)

  • Yun, Hyun-Soo;Lee, Jin-Young;Yang, Dong-Yoon;Hong, Sei-Sun;Kim, Ju-Yong;Yi, Sang-Heo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1
    • /
    • pp.1-18
    • /
    • 2010
  • On the ArcGIS 9.2 program in Gyeongsangbug-Do and Daegu areas, distribution ratios of rock types and geologic ages were obtained from the 1 : 250,000 scaled digital geologic and geomorphic maps. The obtained distribution ratios here will be used the geologic information data for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planning of rock resources. The Gyeongsangbug-Do area consists of 86 rock types that can be divided into 10 large groups in geologic age. Their geologic distribution ratios show the decreasing in the order of Cretaceous, Precambrian, Jurassic, Quaternary, Age-unknown and Tertiary, all of which occupy the prevailing ratio of 96.30% in the area. Of which, sixteen rock types are somewhat dominant ones (64.04%). They are of Precambrian Yulri group and granite gneiss of the Yeongnam metamorphic complex and biotite gneiss of the Sobaegsan metamorphic complex, Age-unknown granite, Jurassic granite, Cretaceous Gasongdong and Dogyedong formations of the Yeongyang sub-basin, Nagdong and Chunsan formations and intermediate-basic volcanics of Euiseong sub-basin, Jinju and Jindong formations and andesite-andesitic tuff of Milyang sub-basin, and hornblende granite, and Quaternary alluvium. They show relatively narrow ranges of 2.07-6.53% in geologic distribution in exception of Jurassic granite showing 13.14%. And the rest 70 rock types appear to very narrow range between 0.01 and 1.94 %. On the other hand, twelve rock types are developed in the Daegu area. Their geologic ages appear to be classified into Cretaceous and Quaternary occupying 86.05% and 11.39%, respectively. Seven rock types take possession of 94.04% among the all rocks. The major rock types are Jinju formation of the Sindong group, Chilgog, Haman and Jindong formations of the Hayang group, andesite and andesitic tuff, hornblende granite and Quaternary alluvium. With exception of andesite and andesitic tuff of 37.40%, the types show slightly wide range of 3.25-17.39%, which apparently differ trends from that of Gyeongsangbug-Do area. And the rest of rock types have narrow ranges of 0.22-1.81% in the Daegu area.

A Case Study of GIS-Based Site Classification in the Gyeongsang Province Constrained by Geologic and Topographic Information (GIS기반의 지질·지형 자료를 활용한 경상도지역의 지반분류 사례)

  • Kang, Su-Young;Kim, Kw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4
    • /
    • pp.136-145
    • /
    • 2009
  • Site characteristic is an important input parameter in the geologic hazard assessmen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earthquakes, liquefaction and landslides. Although it is a routine to use data collected by boreholes or seismic prospecting for site classifications, we used indirect methods using the geologic and the topographic maps. A site classification map in the Gyeongsang Province has been produced by GIS tools based on geologic age, rock types, and elevations from the geologic map and the topographic map of Korea. Site B (rock site) is dominant in the study area, although softer soils are observed along rivers and in reclaimed lands. We have found that 73% of the site classification results in the study are in concordance with those obtained from borehole data. Observed discrepancies are attributed to errors in the geologic and the topographic maps. For some sites, the origin of the differences is not clear, which requires a further field study or a drilling. Site classification from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for reliable hazard assessments of earthquakes, floods, landslides and liquefaction.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also play a crucial role in land use planning for developing areas.

  • PDF

Construction of VGIS Using Digital Map and GIS (수치지도와 지형정보를 이용한 VGIS구축에 관한 연구)

  • Kang, In-Joon;Choi, Hyun;Park, Chang-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9 no.4
    • /
    • pp.327-335
    • /
    • 2001
  • This paper present to how to make VGIS(Virtu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and digital map. Because the development of the GIS has been 2-dimension in the last few years, viewpoint of the high-resolution image estimate was difficult. The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has lots of errors in the policy decision and the principal decision making because it was displayed as 2 dimension map that the digital map and topographical map, geological map. agronomical map, cadastral map and underground facility map are expressed as a symbol practically in spite that it is spatial topography data. It is utilized as effective administration analyzing, all kinds of discussion, transportation and environmental effect evaluation, various kinds of building discussion and policy decision thorough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 of region as 3 dimension map using digital map and GIS when drafting and deciding all kinds of urban plaining so it is considered that errors of policy decision will be minimized.

  • PDF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 SVM Application of Spatial Databases Considering Clay Mineral Index Values Extracted from an ASTER Satellite Image (산사태 취약성 분석: ASTER 위성영상을 이용한 점토광물인자 추출 및 공간데이터베이스의 SVM 통계기법 적용)

  • Nam, Koung-Hoon;Lee, Moung-Jin;Jeong, Gyo-Cheo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6 no.1
    • /
    • pp.23-32
    • /
    • 2016
  • This study evaluates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statistical analysis by SVM (support vector machine) and the illite index of clay minerals extracted from ASTER(advanced spaceborne thermal emission and reflection radiometer) imagery which can be use to create mineralogical mapping. Landslide locations in the study area were identified from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surveys. A GIS spatial database was compiled containing topographic maps (slope, aspect, curvature, distance to stream, and distance to road), maps of soil properties (thickness, material, topography, and drainage), maps of timber properties (diameter, age, and density), and an ASTER satellite imagery (illite index).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map was constructed through factor correlation using SVM to analyze the spatial database. Comparison of area under the curve values showed that using the illite index model provided landslide susceptibility maps that were 76.46% accurate, which compared favorably with 74.09% accuracy achieved without them.

Simulation Analysis of Mt.Umyeon Landslide Using Deb2D (Deb2D 모형을 이용한 우면산 산사태 모의분석)

  • Lee, Seung Jun;An, Hyun Uk;Kim, Mi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2-262
    • /
    • 2019
  • 2011년 7월 27일 서울 지역에 내린 시간당 100mm가 넘는 집중호우로 우면산 일대에 산사태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야기되었다. 이러한 토석류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연행작용에 대해서 고려하지 못하고 있거나, 인명과 재산 피해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물은 모의 분석에 제외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행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Deb2D 모형을 이용하여 하류부에서 토석류의 유동을 건물의 유/무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우면산 북측사면의 산사태 전 후의 항공 LiDAR DEM을 활용하여 DB를 확보하였고, 추가적으로 수치지형도를 통해 얻은 피해지역 건물들의 형상을 Deb2D 모형에 적용하여 실제 환경과 가까운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Deb2D 모형을 이용한 토석류 유동의 분석 및 모의실험을 진행하였고, 발생 지역의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지질특성에 따른 매개변수를 다양한 값으로 산정하여 토석류의 유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물의 유/무에 따른 토석류 유동의 차이는 유역 하류부인 피해지역에서 모의실험을 통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연행작용과 건물의 정보를 분석 모형에 추가함으로써 실질적인 인명과 재산 피해를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IS-based Areal Distribution Ratios and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in Jeonnam and Gwangju Areas (전남과 광주지역 구성암류의 GIS에 의한 지질시대별 암층별 분포율 및 분포특성)

  • Yun, Hyun-Soo;Lee, Jin-Young;Hong, Sei-Sun;Yang, Dong-Yoon;Kim, Ju-Yong;Cho, Deung-Lyong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2
    • /
    • pp.153-177
    • /
    • 2013
  • To get the various data on geological information, distributional ratios and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were obtained by ArcGIS 10.1 program, digital geologic and geomorphic maps of 1:250,000 scale in Jeonnam and Gwangju areas. In the Jeonnam area, geologic ag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7, in which their distribution ratios show decreasing trends in the order of Cretaceous, Precambrian, Jurassic, Quaternary, Age-unknown, Carbonifeorus-Triassic and Triassic, and the former fours make the most prevailing ratios of 94.80%. Rock types in the area can be assorted into 57 ones, in which major 7 ones occupy the dominant ratio of 71.68%. Among them, Kav (acidic volcanics+rhyolite and rhyolitic tuff) show much more distribution ratios than the others. It shows more aspects distributed in north, west, middle, east and south parts, especially in Sinan-Mogpo-Yeongam of west and Haenam of south parts in the area,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geological ages in Gwangju are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5, in which their distribution ratios show decreasing trends in the order of Jurassic, Quaternary, Cretaceous, Precambrian and Age-unknown, and the former fours occupy almost the whole ratio of 98.95%. Rock types in the area are 12 ones, in which major four ones make up the dominant value of 91.30%. Among them, Jurassic granites of the most dominant value are mostly occupied in the southwest-northeast part of the area. Next dominative Quaternary alluvium is mostly developed along the Yeongsan river, the Hwangryong river and their channel junction. And Yongdu and Donggye plains are well developed around the Yeongsan riverline, and channel junction of the Yeongsan and Hwangryong rivers in the area,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