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방법

Search Result 7,12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1/10,000 Scale Digital Mapping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축척 1/10,000 수치지도 제작)

  • Lee, Byung-Hwan;Kim, Jeong-Hee;Park, Kyung-Hwan;Chung, Il-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3 no.2
    • /
    • pp.11-23
    • /
    • 2000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and to apply the methods of making 1 : 10,000 scale digital maps using Russian's 2 m resolution satellite images of Alternative and 8 m resolution stereo satellite images of MK-4 for the Kyoha area of Paju-city where aerial-photo surveying is not possible.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was calculated from MK-4 images. With this DEM, the Alternative images were orthorectified. Ground control points (GCP) were acquired from GPS surveyings and were used to perform geometric corrections on Alternative images. From field investigation, thematic attributes are digitized on the monitor. RMS errors of the planar and vertical positions are estimated to ${\pm}0.4$ m and ${\pm}15$ m, respectively. The planar accuracy is better than an accuracy required by NGIS (national GIS) programs. Local information from field investigation was added and the resulting maps should be good as base maps for, such as, regional and urban plannings.

  • PDF

Numerical Approach for Determination of Shut-in Pressure in Hydrofracturing Test (수압파쇄 균열폐쇄압력 산정을 위한 수치해석 연구)

  • Choi, Sung-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1 no.2
    • /
    • pp.128-137
    • /
    • 2011
  • The shut-in pressure calculated in common hydrofracturing test for vertical borehole equals generally to the minimum horizontal principal stress, so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parameter for determining the in-situ stress regime around the rock mass. It shows usually an ambiguous value in pressure-time history curves, however, becau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 of hydraulic fractures and the condition of remote stress regime. In this study, a series of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carried out to compare several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hut-in pressure during hydrofracturing. The hydraulic-mechanical coupling has been applied to numerical analysis for simulating the fracture propagation by hydraulic pressure, and the different discontinuity geometry has been considered in numerical models to examine the effect of numerical element shape on fracture propagation pattern.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s with the four different discontinuity geometries, it was revealed that the shut-in pressure obtained from graphical methods rather than statistical method was relatively small. Consequently a care should be taken in selec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shut-in pressure when a stress anomaly around borehole and a fracture propagation with complicate mechanism are considered.

Linking Toponym Database with Digital Map Database (지명 활용을 위한 지명 DB와 수치지도 DB의 연계 방안 연구)

  • Choi, Jinmu;Kim, Min Jun;Choi, Don G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9 no.2
    • /
    • pp.310-31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building a new method for map making with a toponym by connecting a toponym DB with a digital topographic map DB. First, the table of toponym history in the toponym DB was revised. Second, a table linking the toponym DB and the digital topographic map DB was added. To integrate the toponym DB and the digital topographic map DB, a loose-coupling method was suggested and the combination of legal Dong and a toponym could be used as ID for liking those two databases. Thus,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would be used for effective map making using a toponym. Through the improvement of a toponym DB, it is expected the active use of the toponym DB such as map making.

  • PDF

Automatic Building Extraction Using LIDAR and Aerial Image (LIDAR 데이터와 수치항공사진을 이용한 건물 자동추출)

  • Jeong, Jae-Wook;Jang, Hwi-Jeong;Kim, Yu-Seok;Cho, Woo-Su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3 s.33
    • /
    • pp.59-67
    • /
    • 2005
  • Building information is primary source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mapping, telecommunication, car navigation and virtual city modeling. While aerial CCD images which are captured by passive sensor(digital camera) provide horizontal positioning in high accuracy, it is far difficult to process them in automatic fashion due to their inherent properties such as perspective projection and occlusion. On the other hand, LIDAR system offers 3D information about each surface rapidly and accurately in the form of irregularly distributed point clouds. Contrary to the optical images, it is much difficult to obtain semantic information such as building boundary and object segmentation. Photogrammetry and LIDAR have their own major advantages and drawbacks for reconstructing earth surface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automatically obtain spatial information of 3D buildings by fusing LIDAR data with aerial CCD imag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complex buildings are efficiently extracted by the proposed method and signalize that fusing LIDAR data and aerial CCD image improves feasibility of the automatic detection and extraction of buildings in automatic fashion.

  • PDF

Numerical Analsis of floating debris behavior for a barrier system design (저수지내 선 차단시설 계획을 위한 부유쓰레기 유동특성 수치해석)

  • Park, Jong-Pyo;Cho, Young-Kweon;Joo, Sung-Sik;Yeon, Wo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0-174
    • /
    • 2011
  • 홍수시 저수지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다량의 오염물, 협잡물은 저수지의 경관 및 수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홍수시 일시에 유입되어 표층에 부유하므로 수거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이 비교적 크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유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설물 설치는 필연적이다. 이렇게 부유쓰레기 수거를 위한 방법 중, 저수지 내부에 선 차단 시설을 설치하여 부유쓰레기를 홍수터로 유도하여 수거하는 방법은 일시에 많은 양의 부유쓰레기를 차단하게 되는데 유지관리,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쓰레기 수거를 위한 선 차단시설 운영 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홍수시 저수지 내로 유입되는 유속흐름을 2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RMA-2 모형으로 해석하고, 저수지의 내 외부 지형분석을 통하여 시범 지구의 선 차단시설 설치 위치를 선정하였고, 3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FLOW-3D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선 차단시설 설치 시범지역 위치 선정을 위하여 저수지의 규모, 접근성, 시공 장비의 대여 편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흥저수지를 시범예정 구역으로 선정하였다. 저수지 내로 유입되는 유속특성을 2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RMA-2 모형으로 해석하여 시범 지구의 선 차단시설 설치 위치를 제안하고 홍수터 부지를 결정하였다. 부유쓰레기 유도를 위한 선차단시설은 저수지 급확대로 인한 유속 감소구간과 와류발생 구간이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범설치 지역인 기흥저수지 상류 급확대부에 선 차단시설을 제안하였다. 홍수터의 규모는 Armitage와 Rooseboom(2000)이 제안한 경험식을 바탕으로 $5,300m^2$을 제안하였으며, 기흥저수지 상류부 우안에 항아리 모양으로 설치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3차원 수치모형실험을 통하여 검토한 결과, 차단막 설치로 부유 쓰레기의 하류 이송은 차단되고, 원활하게 홍수터로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 PDF

Object-based Building Change Detection from LiDAR Data and Digital Map Using Adaptive Overlay Threshold (적응적 중첩 임계치를 이용한 LiDAR 자료와 수치지도의 객체기반 건물변화탐지)

  • Lee, Sang-Yeop;Lee, Jeong-Ho;Han, Su-Hee;Choi, Jae-Wan;Kim, Y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3
    • /
    • pp.49-56
    • /
    • 2011
  • Because urban areas change rapidly, it is necessary to reflect urban changes in a digital map database in a timely manner. To address these issues, LiDAR data was used to detect changes in urban area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ct object-based building change using LiDAR data and existing digital maps, and classify change types. In the study, we classified change type using overlay and shape comparison with building layer of the digital maps and point-based extracted building outline from the LiDAR data. When applying the overlay method, we were able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objectivity of the change detection process throughout an adaptive threshold applied to each object. In the experiments, it was demonstrated that classifying and detecting changes in urban areas using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superior classification accuracy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ology.

Numerical Mode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for Riverbed Change Prediction (하천의 하상변동 예측을 위한 수치모형의 보정 및 검증에 관한 연구)

  • Kim, Gwon-Han;Ji, Un;Yeo, Woon-Kwang;Jeong, W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39-1744
    • /
    • 2010
  • The calculation method using the numerical model developed is currently one of the mose required method to predict sediment transport and bed changes in the rivers. Specially, it is real condition that is applying as it is a single sediment transport equation and sediment transport mode mostly without verification process with field data. The sensitivity analysis and calibr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different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and sediment transport modes should be performed for the accurate bed change prediction of the specified study reach using the a model. Through its process, the optimum sediment transport equation and mode for the study reach should be defined. In this study, bed changes for the actual river are computed using the CCHE2D model allowed to select various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and modes. The bed change sensitivity analysis with different ranges of river flow discharge through its process, the optimum sediment transport equation and mode for the study reach should be defined. The bed change simulation with the actual hydraulic condition and the modeling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field survey results.

  • PDF

Analysis of Stream Characteristics at Tangential Intake Structure of Deep Underground Strom Water Tunnel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의 접선식 유입구 흐름특성 분석)

  • Kim, Jung-Soo;Kim, So-Young;Choi, Tea-Soon;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04-604
    • /
    • 2012
  • 국지성 집중호우에 따른 도심지 내수 침수 피해의 주원인으로 하수관거의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강우가 침수피해의 주요 원인이며, 도심화로 인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되는 시간이 짧아 저지대의 피해는 불가피하다. 2010년과 2011년에 100년 이상의 강우사상이 서울시에 연이어 나타나면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지역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광화문 거리의 연이은 침수는 현재 서울시의 하수관거의 용량과 빗물펌프장 및 저류조 시설로 구성된 기존 수방대책의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광화문 일대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효자배수분구 빗물배수터널을 계획하고 있다. 일본, 미국 및 유럽 등지에서는 대심도 지하수로 시설에 대한 수리실험 및 수치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하방수로가 건설되어 국지성 집중 강우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대심도 지하방수로 시설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지하방수로 설계 지침 및 기술적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시설에서의 흐름특성 분석에 관한 수리실험 및 수치해석 등의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 실험의 물질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3차원 유체거동의 특성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Fluent 6.3 모형을 이용하여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시설의 접선식 유입구에 대한 흐름특성을 수치모의 하였다. 접선식 유입구 및 수직갱(drop shaft)에 대한 기하 모형의 격자망은 수치해석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그림 1과 같이 6면체 격자로 구성하였다. 맨홀 내의 다상유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VOF(Volume of Fluid) Scheme을 적용하였으며,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1st order implicit method를 사용하였다. Fluent에서의 난류 흐름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난류 운동에너지와 난류 에너지 소산율 $\epsilon$의 전달 방정식을 도입한 k-$\epsilon$ 난류 모형을 채택하였다.

  • PDF

Generation of a City Spatial Model using a Digital Map and Draft Maps for a 3D Noise Map (3차원 소음지도제작을 위한 도화원도와 수치지도를 이용한 도시공간모델 생성)

  • Oh, So-Jung;Lee, Im-Pyeong;Kim, Seong-Joon;Choi, Kyoung-Ah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4 no.2
    • /
    • pp.179-188
    • /
    • 2008
  • This study aims for generating a city spatial model required for the creation of a 3D noise map.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to generate 3D models of the terrain and buildings using only a digital map and draft maps previously established without using any sensory data. The terrain model is generated by interpolating into a grid the elevation values derived from both the contour lines and the elevation point of the digital map. Building model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2D building boundaries and the building elevations extracted from the digital map and the draft map, respectively. This method has been then applied to a digital map and three sets of draft maps created in the different times. covering the entire area of Yeongdeungpo-gu. The generated city spatial model has been successfully utilized for the noise analysis and the 3D visualiz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Application of Fluent Model for Surface Drainage Analysis on Bridge (교면에서 표면배수 해석을 위한 Fluent 모형 적용)

  • Kim, Jung Soo;Lee, Sung Ho;Cho, Hyun Ho;Han, Chung Suc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1-251
    • /
    • 2018
  • 도로설계기준(2012)에 따르면 노면 배수시설은 측구, 집수정, 배수관, 배수구(빗물받이, 맨홀) 등으로 구성되며 중앙분리대 배수에서 구조가 방호벽일 경우 원칙적으로 집수정과 종배수관, 횡배수관을 설치하여 노면수를 배수한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부족으로 교량의 노후화, 노면의 체수와 수막현상을 야기한다. 교량 설계 시, 교량의 외관은 점배수에 의한 배수불량으로 막힘부에서의 식물생육, 부식, 배수구의 오염 등으로 심미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에서는 기존의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배수하는 점배수 형태에서 우수의 지체시간을 저감하기 위해 배수구로 즉시 배수되어 배수 효율을 증가시켜주는 선배수시설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선배수 구조의 일반적인 내용만을 기술하고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계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에서는 교면 배수를 위한 횡배수구의 배수능력에 관한 설계 개념은 미국의 빗물받이 설계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증대를 위한 수치 및 수리실험에 관한 기술적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의 흐름해석 및 선배수를 위한 측구 횡배수관의 흐름개선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로 전반의 유향 분석 및 횡유입관 유입부에서의 상세한 흐름해석과 통수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실험을 통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적 횡배수관의 형상 및 간격 설정에 대한 수리실험의 물리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Fluent 모형(Ansys Workbench 13.0)을 활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다상유동 해석을 위해 VOF(Volume of Fluid)방법을 적용하였고,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난류 모형으로는 standard ${\kappa}-{\varepsilon}$모형을 적용했다. 도로 형상에 따른 우수유출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횡경사는 2%로 고정하고 종경사를 2%로 선정하여 수치모의를 통한 배수능력을 분석하고 설계에 직접적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횡배수관의 간격변화 및 배수공의 위치 변화 등에 따른 차집량을 분석하였으며, 개략적인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의 차집율을 비교 및 분석하여 Fluent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횡배수관의 유입부에서의 유속 변화 및 유출부에서의 유속이 모의가 가능하므로 배수시설에서 보다 정확한 흐름 해석이 가능하여 보다 적정한 배수능력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