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축 량

검색결과 693건 처리시간 0.039초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Using High-Quality Recycled Sand)

  • 송하영;이상수;이도헌;이종구;김재환;임현웅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36-143
    • /
    • 2006
  • 순환잔골재의 고부가가치 활용촉진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건조수축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배합설계자료로 제시하고자 천연잔골재에 대한 고품질 순환잔골재의 대체율별 굳지 않은 콘크리트 성상 및 경화성상 그리고 건조수축특성등을 실험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공기량,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는 대체율에 관계없이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나, 구속 및 비구속상태에서의 건조수축특성은 큰 차이를 요였다. 구속 및 비구속상태에서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량은 고품질 순환잔골재 대제율 30%까지는 천연잔골재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오히려 건조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체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30%까지 대체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반면, 고품질 순환잔골재 대체율이 50% 이상인 경우에는 천연잔골재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구속 및 비구상태에서의 건조수축 저항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품질 순환잔골재 대체율 100%의 경우에는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량이 다른 시험체에 비해 급격히 증가되어 구속상태에서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발생 시점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조선해양 구조물 주판의 Butt welding joint 수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nsation margin on butt welding joint of large steel plates in shipyards)

  • 김정태;이대철;정효민;정한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5호
    • /
    • pp.461-466
    • /
    • 2013
  • 본 논문은 조선해양 구조물 주판의 맞대기용접 수축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였다. 주판의 맞대기 용접은 입 열과 냉각과정에서 수축 변형이 일어나 최종 완성된 모재의 치수와 설계 치수가 다르게 된다. 이는 선박의 블록 생산 품질 불량으로서 교정 작업이 필요하며 생산성 향상의 저해요인이다. 이에 대형 구조물 주판의 맞대기용접 수축 변형에 관한 실험을 통하여 I, Y, V 형상의 용접잔류응력 수축 변형 데이터를 확보하고 두께 11 t ~ 21.5 t 범위에서는 1 ~ 2 mm의 한정된 범위의 수축 량이 균일하게 나타나는 특징과 용접부의 열전달 영향이 Seam Line 한쪽을 기준으로 최대 약 1000 mm 이내에 국한되어 모재의 자중이 수축 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고 또한 수축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단계에서 Groove 형상에 따라 수축마진을 다르게 적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양마의 혼입량에 따른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by Kenaf Dosages)

  • 권영호;전우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9-2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연섬유인 양마를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사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양마의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양마는 표면이 거칠고 섬유의 인장력 및 부식저항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섬유보강재로 적용할 경우에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및 부착력 증대에 의한 균열저감 효과,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친환경 재료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기본배합 조건에 양마의 혼입량 4종류(0, 0.3, 0.6 및 $0.9kg/m^3$)를 대상으로 슬럼프, 공기량, 소성수축 균열 및 압축강도, 할열인장강도, 휨강도, 그리고 건조수축량 등에 대한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양마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슬럼프 저하 및 공기량 증대현상이 나타났지만, 차이는 크지 않았다. 특히, 할열인장강도 및 휨강도 증진에 매우 효과적이며, 소성수축균열 및 건조수축량 저감에도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양마의 혼입량은 $0.6kg/m^3$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사용성 및 비교시험을 통한 현장적용성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공단계를 고려한 고층건물 콘크리트 슬래브의 건조수축 응력해석 (Shrinkage Stress Analysis of Concrete Slab in Multi-Story Building Considering Construction Sequence)

  • 김한수;정종현;조석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57-465
    • /
    • 2001
  • 고층건물 콘크리트 슬래브에 발생하는 건조수축변형은 기둥이나 벽체 등의 구조부재에 의해 변형발생이 제한되고 이로 인한 인장응력이 부재의 인장강도를 초과하게 되면 균열이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건조수축과 크리프, 철근효과 등 콘크리트의 재료특성과 시공단계에 따른 건조수축을 고려하여 슬래브에 발생하는 응력을 산정하는 실용적인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건조수축으로 인해 부재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은 건조수축변형을 등가온도하중으로 치환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건조수축과는 달리 응력을 이완시켜 주는 크리프의 영향은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Ec 대신에 크리프를 고려한 콘크리트의 유효탄성계수 E eff를 사용하고, 배근된 철근은 등가의 보요소로 모델링하여 해석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고층건물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응력은 그 층에서 발생한 건조수축량과 하부 층의 건조수축량의 차이인 유효건조수축에 의한 응력임을 고려하여 각 시공단계마다 발생하는 응력을 단계별 해석을 수행하여 구하고 이를 합산함으로서 슬래브에 최종적으로 발생하는 응력을 산정한다. 10층 규모에 예제건물을 대상으로 해석한 결과, 상부 층으로 갈수록 점차 건조수축응력이 줄어들며 전체 구조물에 발생한 응력은 저층부(1~2층)에서는 기준강도를 초과하나 3층 이상의 고층부에서는 기준강도의 27.9~92.8% 수준으로 나타났다.

섬유보강에 의한 콘크리트 포장의 초기수축제어 (Early Shrinkage Control of Concrete Pavement by Fiber Reinforcements)

  • 최성용;박종섭;정우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433-434
    • /
    • 2010
  • 본 연구는 각 섬유 종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의 수축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각종 길이변화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경우가 Plain에 비해 각종 수축저항성능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건조수축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고, 국내산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입한 경우 건조수축에서 Plain에 비해 약 75% 이상 수축량이 감소하였다.

  • PDF

저진공주사현미경(LV-SEM)을 이용한 목재횡단면의 수축거동관찰 (Observation of Shrinkage Features of Cross Sectional Surface of Wood by LV-SEM)

  • 강춘원;마츠무라 준지;강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17-23
    • /
    • 2008
  • 목재의 수축거동을 짧은 시간 내에 세포수준에서 관찰하기 위하여 목재를 함수상태로 관찰할 수 있는 저진공 주사전자현미경(Low-Vacuu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의 경통 내에서 습윤상태의 소형시편을 탈습시켜 건조시키면서 횡단면에서의 목재수축거동을 관찰하였다. 또한 동일한 개체에서 수축율 시험편을 제작하여 실제목재의 수축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경통 내의 탈습은 약 20여 분 정도에 완료되어 짧은 시간 내에 목재의 수축과정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수축율 시험편의 수축율과 현미경 내의 탈습에 의한 소시험편의 수축율은 비슷하였다. 목재의 수축율에 기여하는 춘재와 추재의 수축율에 대한 개개의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양자의 수축량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재의 수축과 세포벽수준에서의 수축을 비교해보면, 목재의 수축은 춘재보다 추재에 의해 좌우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축 특성 (Characteristics of Shrinkage on Concrete using Electric Arc Furnace Slag as Coarse Aggregate)

  • 최효은;최소영;김일순;양은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25-132
    • /
    • 2020
  • 콘크리트의 수축현상은 체적 변화를 발생시키며 균열의 원인이 되어 구조물 내구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콘크리트의 수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특히 골재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변형을 구속하여 수축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골재의 특성은 수축 현상에서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하는 부분이다. 한편, 골재 부족 현상으로 인해 천연 골재 대체재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 되는 재료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축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수축 예측 모델을 비교하여 기존 예측 모델 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함에 따라 수축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수축 저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예측 모델과의 비교 시 건조수축과 자기수축 각각 GL2000 모델과 Tazawa 모델이 가장 유사한 예측값을 나타냈으나,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골재 및 혼화재의 물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강도 알칼리 활성 슬래그 모르타르의 자기수축 특성 (Autogenous Shrinkag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Alkali Activated Slag Mortar)

  • 오상혁;홍성현;이광명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60-65
    • /
    • 2014
  • 최근 산업부산물의 재활용과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오염 문제 해결방안으로 알칼리 활성 슬래그(AAS) 콘크리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AAS 콘크리트는 고강도 발현이 가능하며 내구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빠른 알칼리반응으로 인하여 매우 큰 수축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고강도 AAS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거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결합재비가 0.40, 0.45, 0.50이고 알칼리 활성화제 첨가량이 $Na_2O$=5, 6, 7%인 AAS 모르타르 배합을 실시하여 굳지 않은 모르타르 특성(플로우, 응결시간)과 압축강도, 자기수축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매우 큰 자기수축이 발생하였고 W/B가 낮고 알칼리 활성화제 첨가량이 많을수록 자기 수축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강도 알칼리 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자기 수축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축 저감제의 사용 및 적절한 양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팽창재를 혼입한 숏크리트의 초기수축 및 내구성 평가 (Early-Age Shrinkage and Durability of Shotcrete with Expansive Agent)

  • 남궁경;강문식;허인;윤경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884-489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숏크리트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숏크리트에 팽창재 혼입률의 변동을 주어 혼입하여 숏크리트의 초기수축과 기초적인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또한 각각의 팽창제 혼입률에 따라 실제 숏크리트 타설을 실시한 후 숏크리트 초기수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내구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시험을 실시한 모든 변수에서 타설 13~15시간 후 최대 수축이 발생하였고, 팽창재의 혼입률을 높일수록 최대수축량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급결제를 사용하지 않는 건축물 숏크리트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팽창재의 혼입률의 경우 시멘트 대비 15%일 때는 최대수축량은 작지만 수축과 팽창이 급격히 이루어져 미세균열에 심각하게 노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11%가 적당하다 판단된다.

불소-실리카 복합형 균열저감제가 첨가된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과 수축균열 저항성 (Material Properties and Shrinkage Crack Resistance of Concrete Produced with Fluorine-Silicate Hybrid Type Crack Reducing Agent)

  • 이만익;박종화;남재현;김도수;김재온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553-55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배합강도 30MPa로 설계된 25-30-18 규격의 콘크리트 배합에 불소화합물 및 실리카로 구성된 불소-실리카 복합형 균열저감제(FS)를 시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0.5% 간격으로 2.0%까지 첨가한 후 슬럼프 경시 변화, 공기량 경시 변화 및 블리딩 등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수화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소성수축 및 건조수축의 저항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FS가 첨가된 콘크리트의 재료특성에서 슬럼프 및 공기량 경시 변화는 무첨가 콘크리트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으나 블리딩과 수화온도는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화 전 후 소성수축 및 건조수축에 기인된 콘크리트의 수축균열 저항성이 FS를 $1.0{\sim}1.5%$의 첨가함으로써 크게 저감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