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정된 스트레스 평가도구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tress Appraisal Measure (RSAM) (한국어판 수정된 스트레스 평가 도구(Revised Stress Appraisal Measure)의 타당도와 신뢰도)

  • Kim, Jeong Sun;Kim, Kye-Ha;Kang, Hyun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3
    • /
    • pp.290-302
    • /
    • 2015
  • The study purpose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tress Appraisal Measure (RSAM) to assess stress appraisal in undergraduate student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were calcula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and AMOS 21 program.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96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five universities in G city and C area, South Korea. The Korean version of RSAM categorized into 5 factors explaining 68.4% of the total variance. The model of five subscales was valida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001, Goodness of Fit Index,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Normed Fit Index, Comparative Fit Index >.08,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056). In criterion validity, the scores for the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Stress Scale-Korean.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he 19 items was .73~.89. The Korean RSAM showed satisfactory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and reliability. Thus it may be an appropriate instrument for measuring stress appraisal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평가

  • Kim Jeong-Beom
    • 대한불안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6a
    • /
    • pp.185-213
    • /
    • 2004
  • 우리는 살아가면서 흔히 개인적으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거나 불행히도 어떤 뜻밖의 재난이나 큰 사고를 경험할 수 있다. 이런 외상적 사건들을 겪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극복할 수 있으나 일부 사람들은 심각한 의상 후 스트레스 반응을 보여 그런 외상이 지나감에도 불구하고 괴로운 기억 속에서 그것을 회상시키는 활동과 상황을 피하며 늘 불안한 마음으로 몸은 현재에 살고 있지만 마음은 실상 과거에 매달려 있고 과거의 고통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다른 불안 장애, 우울증처럼 흔한 질환으로 사회생활에 큰 지장을 주며 삶의 질을 손상시킨다. 그렇지만 외상을 당한 당사자들이 이런 이야기를 하기 꺼려하고, 이런 사람들을 진료실에서 종종 만날 수 있는 임상가들도 외상의 심각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우리 주위에 많은 사람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고생하고 있지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는 경우가 실제보다 훨씬 적다. 따라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평가를 배움으로써 더 많은 환자들을 정확히 진단하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쉽게 할 수 있고, 환자들의 고통과 어려움이 과연 무엇인지 잘 알 수 있으며, 치료 표적과 치료 전략을 정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평가 방법으로는 구조화된 면담, 평가 척도, 정신 생리적 측정법, 치료자의 임상적인 결정 등이 있다. 향후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 정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사회적 관계, 직업적, 사회적 적응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도 같이 평가하는 도구들이 개발되고, 현재 개발된 많은 평가 척도들이 새로이 수정되고 표준화되어, 이런 평가 척도들을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경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한 정신 사회적 영향을 더 잘 알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수집되길 바란다. 대칭이, 작은대칭이, 펄조개는 저질이 니질인 곳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었고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특히 삽교호 수계 채집된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의 저질에서 출현하였다.및 내장낭 조직들이 중요한 에너지 저장소이며, 영양 공급 기관임을 알 수 있었으며,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들의 영양물질 함량 변화는 생식소의 에너지 요구에 따라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른 신장 기능에 대한 영향을 평가해 보아야 한다.하를 조사한 결과, 연간 진동해역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은 부유물질 기준으로 전체 37,316 ton/yr로 추정되었고, 이중 육지기원 부하량이 9,809 ton/yr (26.3%) 였고, 해역의 침강량 23,576 ton/yr (63.2%), 양식생물의 배설량이 3,932 ton/yr (10.5%) 로 대부분이 해역의 침강량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육지오염부하량이 변동이 없다는 전제 조건 아래, 진동만의 피조개 채묘장을 미더덕 양식장으로 품종전환시킬 경우, 전체 부하량은 산술적으로 약 196%가 증가한 72,998 ton/yr 가 되고, 양식생물의 배설량은 10배 정도 증가하게 되어 진동만의 오염부하를 가중하게 된다. 진동만은 여름철 빈산소수괴 및 적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미더덕 양식장을 새로이 시설할 경우 오염부하가 가중될 것으로 판단되어, 앞으로 진동만의 양식장 수용능력을 파악하여 적정량의 양식물량이 시설되어야 할 것이다.25 psu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인 단백뇨는 진행성 경과의 위험성을 동시에 암시해 주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본 연구 결과 학교 신체 검사상에서 발견된 단독 단백뇨의 주된 원인은 기립성 단백뇨로 81.8%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비록 9.1%의 빈도를 보였지만, 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진행성 경과를 취할 수 있는

  • PDF

Impact of COVID-19-Related Stress and Depression in Public Sector Workers (코로나 19 관련 공공근로자에서의 우울증상 및 스트레스 반응)

  • Park, Jinsol;Cho, Hye-mi;Ko, Min-soo;Chi, Su-hyuk;Han, Changsu;Yi, Hyun-suk;Lee, Moon-Soo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9 no.2
    • /
    • pp.136-143
    • /
    • 2021
  • Objectives :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outbreak is a global medical crisis imposing particular burden on public sector employe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iatric distress among public sector workers amid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with 531 public sector workers in Gwangmyung city who completed Korean versions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nd Impact of Event Scale-Revised-Korean (IES-R-K).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more than moderate levels of stress (85.2%), depressive symptoms (22.2%),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38.8%). PSS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HQ-9, IES-R-K total scores as well as IES-R-K subscale scores. Total scores on the PSS, PHQ-9, and IES-R-K were all inversely correlated with age. Conclusions : COVID-19-related workers experience considerabl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with self-rated stress correlating significantly with depression scores. Age may serve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occupational stress and burnou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adequate psychiatric screening and intervention for public sector workers.

The Comparison with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between Demonstrating and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Rural Community (농촌 건강증진 시범사업 지역주민과 비 시범사업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생활 행태 비교)

  • Lee, Young-So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4 no.1
    • /
    • pp.124-134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between demonstrating and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rural community. Methods: Objects of the study were 13,000 people by stratified sampling in rural community of H and J Gun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1st December to 30th, 2005,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were modified Korea BRFSS, Park‘s stress questionnaire and Nutritional evaluation tool suggested b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Korea. Results: People received 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were significantly more good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in related drinking, exercise and stress than that of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received 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than that of non-demonstrating. Government suppor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local government fi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