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tress Appraisal Measure (RSAM)

한국어판 수정된 스트레스 평가 도구(Revised Stress Appraisal Measure)의 타당도와 신뢰도

  • Received : 2014.11.13
  • Accepted : 2015.01.07
  • Published : 2015.03.28

Abstract

The study purpose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tress Appraisal Measure (RSAM) to assess stress appraisal in undergraduate student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were calcula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and AMOS 21 program.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96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five universities in G city and C area, South Korea. The Korean version of RSAM categorized into 5 factors explaining 68.4% of the total variance. The model of five subscales was valida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001, Goodness of Fit Index,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Normed Fit Index, Comparative Fit Index >.08,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056). In criterion validity, the scores for the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Stress Scale-Korean.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he 19 items was .73~.89. The Korean RSAM showed satisfactory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and reliability. Thus it may be an appropriate instrument for measuring stress appraisal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정된 스트레스 평가 도구(Revised Stress Appraisal Measure, RSAM)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역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IBM SPSS Statistics 21과 AMOS 21 program을 이용하여 내적 일관성 신뢰도,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검사를 하였다. 자료 수집은 G시와 C 지역 소재의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96명의 대학교 4학년 학생을 임의로 표출하였다. 한국어판 RSAM은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 변량은 68.4%를 설명하였다. 5개의 하위요인은 확증적 요인분석에 의해 타당성이 입증되었다(p<.001, Goodness of Fit Index,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Normed Fit Index, Comparative Fit Index >.08,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056). 준거타당도에서, 척도의 점수는 한국어판 Perceived Stress Scale (PSS)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뢰도 계수는 .73에서 .89까지였다. 한국어판 RSAM 은 구성타당도와 준거타당도, 그리고 내적 일관성 신뢰도에서 만족할 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도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평가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S. Vasunilashom, S. M. Lynch, D. A. Glei, M. Weinstein, and N. Goldman, "Exposure to stressors and trajectories of perceived stress among older adult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14. Forthcoming.
  2. 고현정, 이민규, "대학생의 몰입이 스트레스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제21권, 제4호, pp.283-292, 2013.
  3. 김노은, "대학생의 스트레스, 탄력성, 삶의 질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13권, 제4호, pp.1-19, 2011.
  4. S. Naidoo and A. Pau,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ceived stress," SADJ, Vol.63, No.3, pp.148-151, 2008.
  5. 이명준, 조영채, "일부 대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수준과 그의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4권, 제6호, pp.2828-2838, 2013.
  6.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7. M. Hojat, H. S. Gonnella, J. B. Erdmann, and W. H. Vogel, "Medical students' cognitive appraisal of stressful life events as related to personality, physical well-being, and academic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Pers Individ Dif, Vol.35, pp.219-235, 2003.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186-1
  8. J. Strack and F. Esteves, "Exams? Why worr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reting anxiety as facilitative, stress appraisal, emotional exhaus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Anxiety Stress Coping, Vol8, pp.1-10, 2014.
  9. B. Searle and J. C. Auton, "The merits of measuring challenge and hindrance appraisal," Anxiety Stress Coping, Vol8, pp.1-23, 2014.
  10. 김의연, 박영신, 김의철, A. Tsuda, T, Matsuda, and K. Deng, "한국, 일본, 중국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지각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인간발달연구, 제20권, 제4호, pp.105-127, 2013.
  11. 최승혜, 이해영,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808-81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808
  12. 전혜옥,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312-32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12
  13. 조성경, 최연실, "남,녀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22권, 제1호, pp.53-74, 2014.
  14. S. Cohen, T. Ka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 Health Soc Behav, Vol.24, pp.385-396, 1983. https://doi.org/10.2307/2136404
  15. S. H. Frank and S. J. Zyzanski,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J Fam Pract, Vol.26, pp.533-539, 1988.
  16. 장세진, 차봉석, 박종구, 이은경,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표준화 방안", 원주의대논문집, 제7권, 제1호, pp.21-38, 1994.
  17. 유태우, 허봉렬, 배종면, 정은경, 김철환,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도구 개발연구", 한국가정의학회지, 제13권, 제10호, pp.809-820, 1992.
  18. 허봉렬, 임지혁, 배종면, 최순식, 김성원, 황환식,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도구로서 한국어판 BEPSI 설문서(수정판)의 타당성", 대한가정의학회지, 제17권, 제1호, pp.42-53, 1996.
  19. S. C. Roesch and A. A. Rowley, "Evaluating and 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dispositional measure of appraisal," J Pers Assess, Vol.85, No.2, pp.188-196, 200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8502_11
  20. A. Fitzell and K. I. Pakenham, "Application of a stress and coping model to positive and negative adjustment outcomes in colorectal cancer caregiving," Psychooncology, Vol.19, No.11, pp.1171-1178, 2010. https://doi.org/10.1002/pon.1666
  21. Z. Nowak and K. Laudanski, "The perception of the illness with subsequent outcome measure in more favorable in continuous peritoneal dialysis vs hemodialysis in the framework of appraisal model of stress," Int J Med Sci, Vol.11, No.3, pp.291-297, 2014. https://doi.org/10.7150/ijms.5431
  22. A. R. Nicholls, B. Hemmings, and P. J. Clough, "Stress appraisals, emotions, and coping among international adolescent golfers," Scand J Med Sci Sports, Vol.20, No.2, pp.346-355, 2010. https://doi.org/10.1111/j.1600-0838.2009.00894.x
  23. W. Petra, von K. Roland, E. Luljeta, S. Tobias, F. Adriano, and E. Ulrike, "Variations in anticipatory cognitive stress appraisal and differential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 response to acute stress," Brain Behav Immun, Vol.21, No.6, pp.851-859, 2007. https://doi.org/10.1016/j.bbi.2007.02.003
  24. E. J. Peacock and P. P. Wong, "The stress appraisal measure (SAM):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cognitive appraisal," Stress Med, Vol.6, pp.227-236, 1990. https://doi.org/10.1002/smi.2460060308
  25. S. Folkman, R. S. Lazarus, R. J. Gruen, and A. DeLongis, "Appraisal, coping,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symptoms," J Pers Soc Psychol, Vol.50, pp.571-579,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0.3.571
  26. P. P. Heppner, T. E. Witty, and W. A. Dixon, "Problem-solving appraisal and human adjustment: A review of 20 years of research using the Problem Solving Inventory," Couns Psychol, Vol.32, pp.344-428, 2004. https://doi.org/10.1177/0011000003262793
  27. A. A. Rowley, S. C. Roesch, B. J. Jurica, and A. A. Vaughn, "Developing and validating a stress appraisal measure for minority adolescents," J Adolesc, Vol.28, No.4, pp.547-557, 2005.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4.10.010
  28.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김종영, 배정이, 이선미, 간호연구와 통계분석(제4판), 수문사, 2009.
  29.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2008.
  30. 박준호, 서영석,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3호, pp.611-629, 2010.
  31.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32. 강현철,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 분석의 활용",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5호, pp.587-594, 2013. https://doi.org/10.4040/jkan.2013.43.5.587
  33. J. K. Tak,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s(2nd ed.), Hakjisa Publisher, 2007.
  34. 이은현, 김춘자, 김은정, 채현주, 조수연, "자가 보고형 질문지 측정 속성에 대한 평가: 국내 간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1호, pp.50-58, 2013. https://doi.org/10.4040/jkan.2013.43.1.50
  35. 이경희, 신수진, "한국의 도구개발 간호연구에서의 타당도에 대한 고찰", 대한간호 학회지, 제43권, 제6호, pp.697-703, 2013. https://doi.org/10.4040/jkan.2013.43.6.697
  36. 신동우, 유계숙,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에 대한 대학생의 지각이 학업.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 분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7권, 제1호, pp.3-22, 2012.
  37. 박혜숙, "대학생의 행복정도와 양생실천정도와의 관련성",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8권, 제1호, pp.31-39, 2012.
  38. 신지연, 대학생의 행복 요인 탐색과 척도 개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9. 김은주, "노인의 성공적 노화 측정도구에 대한 요인 구성타당도 평가",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4호, pp.568-578, 2013. https://doi.org/10.4040/jkan.2013.43.4.568
  40. 김기영, 강현철, LISREL (SIMPLIS)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 자유아카데미, 2001.
  41. J. C. Nunnally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Inc.,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