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입색조화장품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수입색조화장품(輸入色調化粧品) 상표(商標)이미지 속성(屬性)에 따른 포지셔닝에 관(觀)한 연구(硏究) - 유행관여(流行關與)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Positioning of Imported Make-up Cosmetics Brand Image Attribute - Focus on Fashion Involvement -)

  • 김예희;구자명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4호
    • /
    • pp.43-56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al degree of imported make-up cosmetics brand and importance of brand image attributes, and the evaluation of brand image attributes of imported make-up cosmetics according to fashion involvement and to provide positioning the imported make-up cosmetics brands according to brand image attributes. Survey was conducted to 301 people from age 20 to 30 year female woman who is leaving in Seoul and Kyunggee Inchon using convenience editing. Material analyzing was done using t-tes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al degree of brand and the importance brand image attribu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shion involvement. 2. The evaluation of brand image attributes of imported make-up cosmetics were different between high involvement group and low involvement group. 3. As a result of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imported make-up cosmetics brands were positioned different according to brand image attributes between high involvement group and low involvement group.

국내시판 중인 색조화장품의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Color Cosmetics in Korea Market)

  • 최채만;황영숙;박애숙;정삼주;김현정;김정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9-278
    • /
    • 2014
  • 2013년 1월에서 8월 사이에 전국에서 유통 중인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등 색조화장품 121개 제품에서 납, 카드뮴, 비소, 크롬, 안티몬, 니켈, 구리 및 코발트의 농도 측정과 국산 및 수입산, 유형별, 색상별로 비교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된 전체 색조화장품의 중금속 평균 농도는 납 $0.663{\mu}g/g$, 카드뮴 $0.010{\mu}g/g$, 비소 $0.056{\mu}g/g$, 크롬 $1.144{\mu}g/g$, 안티몬 $0.008{\mu}g/g$, 니켈 $0.405{\mu}g/g$, 구리 $0.319{\mu}g/g$ 및 코발트 $0.108{\mu}g/g$으로 측정되었다. 국산 및 수입산 색조화장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수입산이 크롬을 제외한 7개 금속에서 국산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색조화장품의 유형에 따른 중금속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립스틱에서 크롬 $1.430{\mu}g/g$, 납 $0.616{\mu}g/g$ 그리고 니켈 $0.385{\mu}g/g$이 파운데이션에서 납 $1.155{\mu}g/g$, 크롬 $1.023{\mu}g/g$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아이라이너에서는 크롬 $1.424{\mu}g/g$, 니켈 $0.830{\mu}g/g$이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색조화장품의 색상별 중금속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갈색의 화장품은 크롬, 니켈과 구리가 높은 평균 농도를 보였고, 아이보리색의 화장품은 납과 크롬이 핑크색의 화장품은 크롬과 납이 높은 평균 농도를 나타내었다.

위수탁 검사의뢰 국산 및 수입화장품의 비교고찰 (A Comparison Review of Domestic and Imported Cosmetics on Quality Test in Korea Market)

  • 황영숙;최채만;정삼주;박애숙;김현정;김정헌;정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31-339
    • /
    • 2014
  • 2010년 1월에서 2012년 12월까지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에 품질검사가 의뢰된 화장품 9,879건에 대해, 국산과 수입화장품에 대한 집계자료를 바탕으로 제조국가별, 연도별, 적용부위별로 검사의뢰 유형을 비교하여 품질 및 안전성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전체 화장품 중 국산은 645건(6.5%), 수입산은 9,234건(93.5%)이며, 제조국가별로는 프랑스 4,342건(44.0%), 독일 1,637건(16.6%), 미국 1,476건(14.9%), 한국 645건(6.5%), 이태리 557건(5.6%), 기타 1,222건(12.4%)이었다. 또한 연도별 위수탁 화장품 검사의뢰건수는 2010년 3,784건, 2011년 3,394건, 2012년 2,701건으로 나타나 일반 화장품은 감소하고 기능성 화장품이나 염모제에 대한 품질 검사가 증가되었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제품 5,470건(55.4%), 색조 1,908건(19.3%), 손발관리 1,026건(10.4%), 두발관리 616건(6.2%), 목욕용이 361건(3.7%), 기타 498건(5.0%)이며 국산화장품의 유형별 분포는 기초 > 두발관리 > 색조 > 손발관리 > 목욕용 순이나 수입화장품에서는 기초 > 색조 > 손발관리 > 두발관리 > 목욕용 제품의 순서로 나타났다. 국제적 품질관리기준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국내 소비자들의 경향부터 직간접적으로 파악하는 일이 필요하다. 위수탁검사의뢰된 국산 및 수입화장품의 제품 유형과 인체 적용 부위별 비율 등을 비교 활용하여 미래지향적인 화장품 안전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외국산 색조화장품의 광고표현형식에 따른 이미지 지각 (A Study on the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Expression forms of Imported Make-up Cosmetics)

  • 이지영;김용숙
    • 복식
    • /
    • 제55권7호
    • /
    • pp.101-11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maps of Imported make-up brands and advertising images by analyzing their ads in periodicals from 2004 S/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cluded seven adjectives to describe the brand and advertising images of the imported make-up products.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KYST, CORAN, and SPSS programs, the positioning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 of the brand images of Chanel, Chiristian Dior, and Lancome was the highest. The advertising images of Clinique and Bourjois were the highest and that of Shiseido was the lowest. 2. The respondents perceived Christian Dior and Chanel to be similar in the brand image factors of good quality, sophistication and uniqueness. Christian Dior, Chanel, and Lancome were all perceived similarly in their degree of familiarity and level of st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