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위 변화

Search Result 1,68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Wave Modeling considering Water Level Changes and Currents Effects (수위변화와 흐름효과를 고려한 파랑모델링)

  • Eum, Ho-Sik;Kang, Tae-Soon;Nam, Soo-Yong;Jeong, Won-M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8 no.6
    • /
    • pp.383-396
    • /
    • 2016
  • In this study, wave model was conduct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level changes and currents effects in coastal waters coexisting with waves and currents,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The flow field applied the results of the RIAMOM model and the wave model applied the SWAN model. Among ECMWF, NCEP and JMA, wind data applied JMA data sets which agreed well with the observed data comparatively. Numerical simulation was conducted for 8 months from January to August 2016. For each case, the deviation of wave height was calculated for the high wave of more than 2.5 m for comparison with observed data. As a result, the deviation of wave height was not significant both considering water level changes and currents effects or not at wave observation stations installed in deep waters. However, a significant deviation of wave height of 5~10% was obtained depending on water level changes and currents effects at the comparison point in shallow waters.

Analysis of Changes in Groundwater Level according to Tunnel Passage in Geological Vulnerable Zone (지질취약구간 터널통과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량 분석)

  • Choi, Jung-Youl;Yang, Gyu-Nam;Kim, Tae-Jun;Chung, Jee Se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3
    • /
    • pp.369-375
    • /
    • 2020
  • The section of this study is the geological vulnerable zone where groundwater leakage occurred through the tunnel barrier during excavation of the shield tunnel boring machine(TBM)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ic power unit. Therefore, a Three D imensions(3D)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from before construction to the time when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 occurred, and to reflect the surrounding ground conditions based on the observed change in groundwater level during constru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change and tunnel construction around the site was identified. Therefore, it was similar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groundwater level at the target ground. The amount of groundwater discharge to the entrance of the tunnel construction was also similar to the actual measured result, and the numerical analysis method and modeling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o reflect the site conditions.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Groundwater Level Behavior in Geum River Basin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금강유역의 지하수위 거동 평가)

  • Lee, Ji Wan;Jung, Chung Gil;Kim, Da Rae;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4-84
    • /
    • 2017
  • IPCC 4차 보고서(2007)에 따르면,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강수패턴의 시 공간 변화로 인한 가용 수자원의 변화를 선정하였으며 IPCC 5차 보고서(2014)는 특히 아시아지역은 지역별 대처전략수립, 물 재활용 등 수자원 다양화, 통합형 수자원 관리를 권고하였다. 지하수의 변화와 같이 흐름속도가 느리고 지속적인 요소의 경우에는 지표 기후변화의 영향을 쉽게 인식할 수 없으나 지표변화에 따른 변동이 지하수 환경에서 관측되기 시작하면 그 영향은 지표보다 훨씬 장기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지하수 거동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9,865km^2$)을 대상으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지표수와 지하수의 상호작용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거동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금강유역을 표준유역 단위로 구분하고, 기상자료, 다목적댐(대청댐, 용담댐)과 다기능보(공주보, 백제보, 세종보) 운영자료와, 국가지하수정보센터에서 관측 및 관리하고 있는 지하수위 관측 자료를 수집하였다. SWAT 모형의 신뢰성 있는 유출량 보정을 위해 금강유역 내 위치하는 다목적댐 및 다기능보의 실측 방류량을 이용하여 댐 운영모의를 고려하였고, 실측 지하수위, 토양수분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2005~2009)과 검증(2010~2015)을 실시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거동 분석을 위해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기상청의 HadGEM3-RA RCP 4.5와 8.5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으며, 기준년(1975-2005)년에 대해 2020s(2010-2039), 2050s(2040-2069), 2080s(2070-2099)의 지하수위 거동을 분석하였다.

  • PDF

Water Level Measurement Method Based on Temporal Variation of Water Surface Pixel Arrangement in Successive Images (수면 영상의 시간적 픽셀농도변화를 이용한 수위계측방법)

  • Kwon, Sung-Ill;Kim, Won;Lee, Chan-Joo;Kim, Seung-D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9
    • /
    • pp.781-787
    • /
    • 2010
  • A new method for water level measurement method and its verification results are described. In this method, water surface in motion can be detected by temporal variation of pixel arrangement in successive digital images including the boundary between the staff gauge and the water surface. Laboratory and field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two cases in which the staff gauge was contaminated by dirt or transparent due to clear water. The result shows water level can be accurately measure by this method for these two cases. It is expected that the accuracy of previous image stage gauge will be improved by the new method.

Analysis of Flood Level Variation in Oship Stream Using HEC-RAS: Focuses on the Impact of the Typhoon Sanba (HEC-RAS를 이용한 오십천의 수위변화 해석: 태풍산바의 영향을 중심으로)

  • Jun, Kye-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2
    • /
    • pp.498-504
    • /
    • 2013
  • Recently, the frequency of typhoons have increased du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s a result, in mountain streams, it has caused streamflow increase upstream and frequent water surface elevation downstream.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heavy rainfalls caused by Typhoon Sanba, which had a direct impact on Korea between September 17 and 18, on the water level variations downstream in mountainous streams. In addition, the drainage basin of Samcheok Oship stream was chosen as the object of this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flood level by applying HEC-RAS model. The observed water level measured in 2012 and the water level simulated by HEC-RAS model showed similar results. In ad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e maximum flood level was 5.32m the mean flow velocity was 2.33m/sec and the maximum channel water depth was 7.51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eavy rainfalls caused by Typhoon Sanba had an impact on the water surface elevation in Oship stream. The final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give a reasonable and important data to perform the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

Improvement of flood-stage forecast using the HPG in the lower Nakdong River (HPG를 이용한 낙동강 하류구간 홍수위 예측 정확도 개선)

  • Kim, Ji-Sung;Kim, Won;Choi, Kyu Hyun;Kim, Keuk Soo;Kim, Ta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42-242
    • /
    • 2016
  • 낙동강 하류구간인 남강합류점에서 낙동강하구둑까지는 하상경사가 약 1/10,000보다 작은 매우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홍수기 고수위를 장시간 유지하는 등 홍수소통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하상경사가 매우 완만한 하천에서는 홍수파의 전파 특성이 하상경사, 수심경사, 그리고 이송가속도와 국부가속도 경사 등 운동량 방정식의 각 항 모두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낙동강 하류구간의 홍수분석 정확도 개선을 위해서는 대상구간에 유입하는 홍수수문량의 크기 및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천 본류로 유입하는 지류의 홍수량을 산정하는 보편적인 방법은 지류 하류의 수위관측소에서 구축된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류 수위의 배수영향을 받는 지류 하류 구간에서는 단일 수위-유량관계의 결정이 불가능하므로 지류 유출량 산정을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구간(창녕 함안보~낙동강하구둑) 유역면적의 약 45% 이상을 차지하는 밀양강 유역의 홍수기 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HPG(Hydraulic Performance Graph)를 이용하였다. HPG는 배수영향을 받아 시시각각 수리특성이 변화하는 구간에서도 유량 및 상하류 수위 등 수리특성 추정에 합리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2년 태풍 산바 사상을 대상으로 HPG를 이용하여 산정한 밀양강 홍수량과 기존 수위-유량관계로 산정한 홍수량을 각각 경계조건으로 사용한 경우로 구분하여, 낙동강 하류구간 주요 지점인 삼랑진과 구포의 홍수위 예측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기존 방법과 HPG를 이용한 방법 모두 예측시점이 첨두발생 시각에 가까워질수록 평균오차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존 방법은 예측시점에 따라 평균오차의 변화가 단조롭지 않고 진동이 발생한 반면, HPG를 이용한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오차의 감소가 단조롭고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오차 또한 작았다. 본 연구결과, 배수영향을 받는 지류 하류구간에서 HPG를 이용한 유입량 산정은 본류 홍수위 예측 정확도 개선을 위한 경제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Considering Infiltration Rate in Gyeongsang-Do Region (침투율을 고려한 경상도 지역의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

  • Kim, Nam-Ki;Yang, Jeong-Seok;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91-1995
    • /
    • 2010
  • 도시화로 인한 토지 피복 상태의 변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하수로 침투하지 못하고, 바다로 유출되는 강우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인구의 증가와 산업발달에 따른 무분별한 지하수의 사용은 심각한 지하수위의 하강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하수위와 강우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하수의 체계적인 관리 및 운용을 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 지역의 지하수위 관측소와 강우 관측소간의 거리가 10km 이내인 지점을 선정하여, 관측 자료와 분석결과를 토대로 13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침투현상이 침루과정을 거쳐 지하수에 유입되는 과정을 고려하면 강우가 발생한 시점보다 시간이 경과 한 후에 이 지점의 하루에 내린 강우량이 이틀에 걸쳐 지하수위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였고, 1일째의 강우를 실제 강우량의 최대 100%에서 50%까지로 설정하고 2일째에 나머지 강우가 내렸다고 가정하여 각각의 강우이동평균값과 지하수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계침투량을 고려하여 강우이동평균값과 지하수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계침투량 고려시 상관계수가 0.5 이상인 지점들 중 약 70%가 강우량을 강우사상이 발생한 당일과 명일로 나누었을 때,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존 강우와 지하수위 관측자료만 이용하여 강우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 보다 침투율을 고려한 강우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인해 지하수의 체계적인 관리와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according to Groundwater Development and Pumping (지하수 개발 및 양수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분석)

  • Kim, Min-Chul;Yang, Sung-Kee;Jang, Woo-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8-248
    • /
    • 2015
  • 제주도의 연평균 강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강우일수는 감소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재해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제주도는 전체 수자원의 대부분을 지하수로 사용되어 면적 대비 많은 지하수관정이 개발 이용되고 있으며, 용수이용에 따른 고갈 및 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분석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제주지역의 지하수위는 계절적 변동특성이 확연히 나타나지만 평시에는 큰 변동이 없는 지하수위 수준을 보이며, 실제 지하수 이용률은 허가량의 30%이하로 양수에 의한 지하수위변동은 크게 체감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극심한 가뭄재해 발생 시 기존 사용량을 초과 양수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지하수위는 급격하게 하강되고, 제주 수자원관리에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지속적인 지하수 개발이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유동 및 수위변동 분석이 가능한 수치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도 성산유역을 대상으로 1993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주기 양수에 따른 지하수위 하강 특성을 분석하였다. 1993년 이전 개발된 지하수관정은 55개소, 2003년까지 개발된 지하수관정은 108개소로 지하수 개발은 약 1.9배 증가되었으나 양수능력을 적용하여 지하수위 변동을 분석한 결과 2.5배~3.1배 하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지하수 개발은 유역 상부에 집중되었으며 상류부 지하수 양수에 따라 해안지역의 지하수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Changes in Water Depth and Velocity by Debris around Piers (교각 주위내 부유잡목에 의한 수위 및 유속변화에 관한 연구)

  • Choi, Gye-Woon;Kim, Gee-Hyoung;Park, Yong-Sup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273-284
    • /
    • 2003
  • In this paper, the reasons of damages and the case study are review in which bridge pier with debris accumulation, and safety Influence factors by debris around the bridge piers are review. Also experiment Is conducted for the characteristic of flow around piers by different area and angle of debris 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was review for safe design of bridge and embankments. As result of review of several standards of design, hydraulic structure's freeboard is simply decided by discharge, so it needs more detail standards. And as result of experiment, in the case of that water depth is deep and velocity is slow, variation of water depth Is more increase as increasing of debris. Therefore the variation regime of flow characteristics like velocity and water depth by debris is more large in the stream of small or medium size, which streams have large water depth and slow velocity so Froude Number Is expressed as small in the flood. Also when Froude Number is about 0.5, the water elevation is over freeboard in the standard if the debris over 20%. Therefore when hydraulic structure is constructed in the stream of small or medium size, it need to conduct more detail experiments about influence of debris, distribution of velocity and variation of elevation, and than the more safe freeboard will be presented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Analysis of River Bed Variation with Weir Construction in Small and Medium Rivers (중소하천 용수용 보의 설치에 따른 하상변화 분석)

  • Oh, Ji-Eun;Kim, Byeong-Chan;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5-205
    • /
    • 2011
  • 우리나라의 중소하천에는 하상경사 조정과 농업용수 확보 등의 목적으로 많은 보가 설치되어 있다. 하천에 보를 설치하면 보를 기준으로 상 하류의 흐름특성이 변하고, 홍수시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서 제방이 붕괴되는 등의 피해를 발생시킨다. 또한 유입유사의 흐름을 차단하여 상류단에 퇴적이, 하류단에는 침식을 발생시켜 하상변동이 일어나게 된다. 하상변동은 단기적으로는 하천에서의 취수, 배수와 주운 등 하천관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장기적인 면에서는 하천 시설물의 안정, 홍수위 및 지하수위의 변화, 하천부지의 변화 등 하천 및 유역관리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하천의 유황 및 하상재료의 인위적인 변화에 의한 하상변동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은 하천계획 및 운용 관리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경안천 유역에 설치된 보를 대상으로 설치 전의 지형자료 및 수리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설치 후의 수리학적 특성 및 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모델링은 종 횡단으로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유한요소모형인 RMA-2를 이용하여 보를 설치하기 전 후의 수위, 유속 등의 흐름특성을 모의하였고, SED-2D를 이용하여 하상변동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경안천 유역에 설치된 보로 인해 보의 상류단에서는 수위가 상승하고 유속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유사의 퇴적으로 인해 하상 상승이 발생하였다. 또한 보의 하류단에서는 보월류시 유속이 증가하여 수위가 하강하는 흐름특성을 보였고 침식이 발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