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위하강 빈도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기후변화를 고려한 금강유역의 수문시계열 자료 분석

  • Yang, Jeong-Seok;Kim, Nam-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20-1224
    • /
    • 2009
  • 최근에 들어 기후변화에 따른 수위 변화 영향에 의해 물 고갈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가뭄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강우강도가 커지면서 물부족현상이 더욱 가속화가 되어 가고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수자원의 활용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거기에 따른 대책마련을 위해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삼아 수문시계열 자료들을 충분히 관측하고 분석하여 대책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수위, 지하수위, 강우량, 물 수요현황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지점은 하천수위관측소에 인접한(10km 이내) 지하수위, 강우관측소중 데이터의 결함이 없는 곳을 선정하였고, 5군데 지역을 기준으로 정하였다. 더 많은 지역에 관하여 분석이 가능했으나, 관측소간의 인접여부를 확인한 결과 5군데 지역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개구역당 5개의 차트(연평균 하천수위, 연평균 지하수위, 연총강우량, 일최대강우량, 물수요현황)를 도시하였고, 이에 따라 분석을 하였다. 총강우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강우강도가 증가하고 강우일수가 감소함에 따라 지하수위 및 하천수위는 급속히 하강하고 있었다. 많은 관측소에서 수위가 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측이 되었고, 앞으로도 더 늘어날 것이다. 물수요현황이 1990년대 중반 이후 안정화 되어 뚜렷한 증가추세가 없음에도 수위가 하강하는 것은 기후변화에 따른 것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 PDF

A Study for Storage Reallocation of Multipurpose Reservoir(II) - Conservation Storage Analysis (다목적댐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II)- 이수용량 분석)

  • Yi, Jae-Eung;Kwon, Yong-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4
    • /
    • pp.283-292
    • /
    • 2004
  • In the past, it was unnecessary to consider the reallocation of reservoir storage because new reservoir construction was relatively not difficult. However, it became necessary since it is so difficult to construct new reservoirs in these days. In this study, the change of the water supply capability is evaluated through conservation storage drawdown frequency analysis, hydropower analysis,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analyses for Geum River basin.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water supply capability of Daechung reservoir can be increased by reallocating flood control storage to conservation storage.

Resilience Evaluaion Approach according to Outflow of Single Hydropower Reservoir (단일 발전용댐의 발전수량에 따른 회복탄력성 평가방법)

  • Kim, Dong Hyun;Jung, Hyo J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8-68
    • /
    • 2020
  • 국내 발전용댐은 건설 당시 발전목적으로 지어졌으나,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홍수 및 가뭄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부분 홍수조절, 환경개선 등의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다목적댐과 같이 홍수기에 제한수위를 두어 운영하거나 댐과 보 연계운영 규정에 의해 방류를 수행하기도 한다. 홍수기 제한수위로 인한 수위의 하강은 발전이 목적인 발전량에 손실을 가져오고, 수자원의 이용률 측면에서도 악영향을 끼친다. 현재의 운영 방식이 발전성능 측면에서 재평가 되어야 하며 이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평가지표나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평가 지표로 회복탄력성 개념을 도입하여 발전성능에 대한 발전용댐 운영을 평가하고자 한다. 댐의 발전 최적수위를 시스템의 평형상태로 보고 저수위 하강으로 인한 손실, 유입량 및 운영방식에 따른 댐의 수위 회복력을 발전용댐의 회복탄력성으로 정의하였다. 과거 유입량 자료를 활용하여 단일 발전용댐을 모의운영 하였고, 그 결과로 발전수량 시나리오에 따른 회복탄력성을 평가하였다. 회복탄력성과 발전수량, 발전량, 무효방류량, 재난위험일수 등으로 최적 발전방류량을 산정하였다. 향후 발전, 환경개선, 홍수조절에 대한 경제성 평가가 병행된다면 발전수량 운영 기준을 수립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aseflow Varaiance Analysis using Runoff-Groundwater Linkage Model (지표-지하수 연동모형을 활용한 기저유량 변동특성 파악)

  • Yang, Dongseok;Lee, Seoro;Kang, Taeseong;Shin, Minhwa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01-401
    • /
    • 2021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강수량 등의 시·공간적 변화는 홍수, 가뭄 등과 같은 자연재해의 빈도와 규모를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한강수계 주요 하천에서는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물 수요의 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 감소 그리고 하천변 시설에서의 과다한 지하수 이용으로 인해 지하수위 변동이 발생하고 있다. 2017년 국가 지하수관측연보 및 지하수조사연보에 따르면 한강수계에 위치한 전체 569개 관정 중 암반층 관정과 충적층 관정의 최근 5년간 지하수위 평균 변동폭은 각각 3.91 m, 2.73 m로 조사되었으며, 10년 이상 장기관측 자료를 보유한 430개소 관정 중 228개소 관정에서 지하수위 하강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처럼 강우나 하천수위 등 자연적인 원인과 양수, 유출 등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지하수위의 하강은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이 되며, 하천 기저유출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저유출은 하천으로 단기 유출되는 지하수로 평수기 및 갈수기 하천 유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건기시 하천 수질과 수생태계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에 해당된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가뭄 발생 등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용수 또는 대체수자원으로서의 지하수 개발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기저유량 확보 및 수질 개선 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관리 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활용되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과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수문모형의 경우 지표유출 모의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기저유량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지표하 수문거동 모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지표하 수문거동 모의가 가능한 MODFLOW의 경우 지표유출을 모의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SWAT-MODFLOW 모형이 개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SWAT-MODFLOW 모형을 활용하여 신둔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량 및 지하수위 모의결과를 검보정하여 기저유량을 산정하고 변동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Hydrograph Determination for Cohesive Soil Levee (조립토 하천제방의 수위파형결정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Kim, Jin-Man;Kim, Ji-Sung;Oh, Eun-Ho;Cho, Won-Beom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0 no.4
    • /
    • pp.81-92
    • /
    • 2014
  • The integrity evaluation of river levee includes slope stability evaluation of riverside land and protected low-land, and safety of piping with respect to critical gradient and critical velocity based on related regulations, such as Design Criteria Rivers Commentary (2009), Structural Design Criteria Based Commentary (2009). The design hydro-graph is the most important design input factor for the integrity evaluation; it can be inaccurate due to the absence of its decision methods suggested by the national level. The authors in this paper evaluated numerical analytic levee integrity for piping and slope stability by changing each design hydro-graph, including rising ordinary water level, lasting flood water level, falling water level, and flood frequency for Mun-san-jae on Nak-dong River. Finally, the authors suggested that the levee integrity of piping and slope stability are very sensitive to the changes of increasing time of ordinary water level by 57 hours and lasting time of the flood water level by 53 hours, respectively, for Mun-san-jae.

The Flow Variation due to Pier Construction at Kwangyang Bay (컨테이너 부두건설에 따른 광양만의 유황변동)

  • Choi, Song Yeol;Cho, Won Cheol;Lee, Won H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3
    • /
    • pp.115-125
    • /
    • 1992
  • The variation of flow pattern caused by the topographical change of Kwangyang bay, is analyzed using the numerical tidal model for the depth-integrated two- dimensional long wave equation.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Due to pier construction, the area of water surface is deceased and the water inflow into the Kwangyang bay is reduced. For this result, at the outer bay of Myo island, the tidal range is slightly increased. And at the inner bay, water level is dropped generally, and especially at the time of low water tide, the phenomena of water level drop obviously appears. According to the variation pattern, flow velocities is lower than those of non-construction condition over the Kwangyang bay. But at the channel(from Kwangyang east stream) flowing into the east Kwangyang bay, for the contraction of channel profile, flow velocity is increased. The study based on the 100 year frequency design flood discharge from Sueocheon(river) and Dongcheon(river) which are flowing into the bay and Seomjin River flowing along the boundary of the bay is also performed. During the spring tide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e rise of water level about 1.2 m at Seomjin River Estuary and 0.3 m at inner bay is occurred.

  • PDF

Analysis of Abnormal Values Obtained from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국가지하수 관측소 측정자료의 이상값 분석)

  • Yi Myeong-Jae;Lee Jin-Yong;Kim Gyoo-Bum;Won Jong-Ho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0 no.1
    • /
    • pp.65-74
    • /
    • 2005
  •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have been managed throughout the country by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WACO) in order to monitor variations in quantity and quality of groundwater resources. A multi-sensor installed in each monitoring station well measures groundwater level, water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very six hours and the logged data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a host computer in KOWACO. Meanwhile despite regular station inspection and replacement of deteriorate or broken devices, abnormal values or outliers often occur due to intrinsic limitations of automatic monitoring and transmission. Thus prompt recognition and measures to these values are essentially required to reduce disturbance and missing period of the data. In this study, time and frequency of outlier occurrence were analyzed for the water level data obtained from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within the Han river basin in 2000.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prominent patterns of the outliers were rapid decline for water level, no variation for temperature and steep decline for electrical conductivity. This study provided a sampl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outlier for each parameter.

Experimental Study on Influence of Ground Collapse due to Ground Water Level Lowering (지하수위 저하가 지반함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Sukja;Jung, Kwansu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9 no.11
    • /
    • pp.23-30
    • /
    • 2018
  • According to recent ground collapse occurrence, ground subsidence is increasing every year in downtown area, which is a so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nd water level lowering and ground collapse through laboratory model experiments. After mixing 1:1 granite weathered soil with sand, sandy soil was formed as a relative density of 30%, 50%, and 80%. And then the changes of soil discharge with change of groundwater level were compared. The physical property of material of which particle distribution were well graded with maximu dry unit weight of $1.94kg/cm^3$ and internal friction angle of 37degrees. Ground water levels were measured at 10 cm, 20 cm, and 30 cm from the bottom. As a result,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higher the groundwater level works the higher the discharge velocity and the magnitude of underground cavity also increases with elapsed time. Finally, the cumulative quantity of soil discharge occurred up to 30 kg at the elapsed time, 35 minut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ange of ground collapse increased due to soil discharge with ground water level lowering.

Application of Two-Dimensional Flow Analysis Model for Flood Risk Assessment in Flood Plain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2차원 흐름해석모형의 적용)

  • Ku, Young Hun;Song, Chang Geun;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40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의 발생빈도와 홍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해 하천의 둔치가 침수됨으로써 다양한 침수피해를 야기한다. 대하천 사업 이후 하천의 둔치를 활용한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및 생태공원과 같은 친수시설들이 조성되었으며 태풍으로 인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은 이러한 친수시설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침수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둔치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흐름해석을 통한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해야하며, 둔치에서의 흐름양상은 주수로에 비해 수심이 얕고 흐름에 대한 저항이 크기 때문에 2차원 수리해석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2차원 수리해석에 있어 하천의 홍수위 상승과 하강으로 인해 발생하는 둔치구간에서의 마름과 젖음 현상은 수치해의 발산을 야기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마름/젖음 해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마름/젖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마름/젖음에 상관없이 모든 부분에서 방정식을 푸는 박막기법과 해석영역으로부터 마름 부분을 제거하는 이동경계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에 수위가 급변하는 태풍사상에 대한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마름/젖음 해석이 가능한 2차원 유한차분모형인 Nays2D 모형을 이용하여 마름/젖음에 대한 과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적용된 모형의 결과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고, 검증된 모형을 강정-고령보에서부터 달성보 사이 구간에 적용하여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위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둔치구간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Analysis on Flood Control Effect of Siphon Spillway by Reservoir Routing (저수지 추적을 통한 사이펀 여수로의 홍수조절 효과 분석)

  • Ko, Suhyeon;Kim, Jaeyoung;Lee, Giha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11
    • /
    • pp.55-63
    • /
    • 2013
  • Agricultural small dam reservoirs in Korea are vulnerable to flooding because of insufficient flood control capacity and deterioration such that reservoir water level is likely to rise rapidly and a large amount of water release quickly to downstream without flood warning. In this study, we performed hydrologic analysis to estimate design flood(200 years return period ${\times}1.2$) and also evaluated the effect of siphon spillway as a structural countermeasure for flood control and mitigation by applying reservoir routing to the Jipyeong reservoir, located in Sangju,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design flood was calculated at $284.3m^3/s$, and water level and water release decreased by 40cm and $91m^3/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