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온상승

Search Result 39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Oxygen Consumption of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on th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and Photoperiods (참메기, Silurus asotus의 수온과 광주기 변화에 따른 산소 소비량)

  • JO Jae-Yoon;KIM Youhee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2 no.1
    • /
    • pp.56-61
    • /
    • 1999
  • Oxygen consumption rate of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weighing 280g, was measured using continuous flow respirometry chamber linked computer monitoring system. Mean oxygen consumption rates at $15^{\circ}C,\;20^{\circ}C,\;25^{\circ}C$, and $30^{\circ}C$ were ranged in 35.2$\~96.4mg\;O_2/kg$ fish/hr, 78.6$\~127.9mg\;O_2/kg$ fish/hr, 120.1$\~231.7mg\;O_2/kg$ fish/hr, and 197.5$\~352.3mg\;O_2/kg$ fish/hr, respectively. The oxygen consumption ra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p<0.05). A photoperiod-mediated oxygen consumption rates was higher during the light period than during the darkness (P<0.05). When acclimated with different photoperiods, 24L:0D, 12L:12D, and 0L:24D, the lowest oxygen consumption rate was observed in the continuous darkness (0L:24D). The differences between maximum and minimum oxygen consumption rates oyer 24 hour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and the difference was the highest in 12L:12D. Oxygen consumption rate changed suddenly at dawn and at dusk.

  • PDF

Dynamics of High Turbid Water Caused by Heavy Rain of Monsoon and Typhoon in a Large Korean Reservoir (Andong Reservoir) (인공호에서 몬순과 태풍 강우에 의한 고탁수층의 이동과 소멸특성)

  • Park, Jung-Won;Shin, Jae-Ki;Lee, Hee-Moo;Park, Jae-Ch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1 s.110
    • /
    • pp.105-117
    • /
    • 2005
  • During the period of heavy rain from 2002 to 2004,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ow, temporal and spatial fluctuations of high turbid water according to thermal stratification were studied on the Andong Reservoir which is the largest artificial lake in the Nakdong River basin, Korea. Thermal stratification was formed in June. Its structure determined to the pathway of inflowing turbid water and has affected by the transportation of high turbid water. Regardless of the time and amount of inflow, the high turbid water showed the shape of underflow at the riverine zone, separated from the bottom at the transition zone and moved to the lacustrine zone with the shape of density current. The plunging point depended on the time and amount of inflow. The distributions of thermal stratification and DO concentrations were changed by inflowing discharge. Two thermoclines and minimum DO layers were found out existing at metalimnion in a specific time, respectively. The layer of high turbid water which formed with the thickness of 20 m at the maximum below the depth of 15 m moved toward dam. Not settled to the bottom, the newly formed layer was discharged through the intake-outlet and dispersed into all layers by the circulation in the fall.

Histopathological study of acute toxicity of ammonia to the eel, Anguilla japonica in high temperature and pH levels (고수온(高水溫) 고(高)pH에서 뱀장어에 미치는 암모니아 급성독성(急性毒性)의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연구(硏究))

  • Kim, Min-Soo;Yang, Han-Choon
    • Journal of fish pathology
    • /
    • v.9 no.2
    • /
    • pp.147-155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cute toxic effects of ammonia to the eel, Anguilla japonica in high temperature and pH levels by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The eels of 40 g average body weight were exposed to 4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otal ammonia (0, 10, 20, 30 mg/$\ell$) for 24~120 hours. Each concentration was treated under 4 different levels of pH (7.5, 8.0, 8.5, 9.0) and each of these treatments was tested at 2 different temperatures ($27^{\circ}C$, $32^{\circ}C$).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gill tissues were observed by hematoxylin-eosin stain. As increasing of pH (from 7.5 to 9.0), water temperature (from $27^{\circ}C$ to $32^{\circ}C$), total ammonia concentration (from 0 mg/$\ell$ to 30 mg/$\ell$) and exposure time (from 24 hours to 120 hours), gill discolorated to dark brown with the naked eye and gill tissues showed hypertrophy of gill lamellae, winding of the secondary gill lamellae, epitherial separation and necrosis histopathologically. When gill lamellae epithelium was separated from the blood vessels, gill discolorated to dark brown with the naked eye.

  • PDF

Seed Production and Cultivation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Phaeophyta (갈조 곰피(Ecklonia stolonifera Okamura)의 종묘생산과 양성)

  • Kim, Dong-Sam;Hong, Jung-Pyo;Kim, Young-Dae;Song, Hong-In;Kim, Hyung-Geun
    • Journal of Aquaculture
    • /
    • v.20 no.1
    • /
    • pp.7-13
    • /
    • 2007
  • The seed production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was studi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through the embryonic sporophyte stage and the field cultivation was conducted in eastern coast of Korea. The germination of zoospores occurred within 3 days and the growth of gametophytes was most rapid at $25^{\circ}C$ and $20\;{\mu}mol{\cdot}m^{-2}s^{-1}$. Sporophyte growth was highest at $20^{\circ}C$ and $20\;{\mu}mol{\cdot}m^{-2}s^{-1}$ and lowest at $25^{\circ}C$ and $80\;{\mu}mol{\cdot}m^{-2}s^{-1}$. In the nursery culture of E. stolonifera lasting for 2 weeks in January, the initial blade length of E. stolonifera (about $500\;{\mu}m$) grew to $526.3{\pm}176.0\;{\mu}m$ at water temperature of $12.05^{\circ}C$. The blade length and width reached their maxima in July, after which the ends of blade and stem began to degrade with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The degraded end of the blade started to regenerate in October, when water temperature began to decline. This species can be considered a potential candidate for aquaculture, increasing in the availability of raw material and aiding in recovery of seaweed bed.

Influences of Oceanographic Features on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Size Spectrum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habiting Middle Eastern Coast of Korea (동해 중부 연안 환경 변화에 따른 명태 개체 크기 및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

  • Jung, Hae Kun;Lee, Chung Il;Park, Hyun Je;Park, Joo Myu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32 no.3
    • /
    • pp.148-159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asonal and inter-annual changes in vertical distribution and size spectrum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habiting middle eastern coast of Korea (hear after pollock). Pollock was distributed between 50 m and 600 m depth range, and body size (total length) ranged from 16.6 cm to 81.5 cm. The trends of population body size were increased in autumn and winter and decreased in spring and summer. Vertical distribution of pollock showned depth-dependent patterns with distributing smaller individuals mainly in the upper layer (shallower depth), while larger fish in deeper habitats. Those patterns in vertical distribution of pollock population is probably due to be the results of energy-saving strategy, metabolic effects, and changes in prey selections according to pollock growth, derived from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oceanic condition in habitat grounds. When water temperature in upper layer were increased and that of below thermocline depth became decreased in 2017, the ratio of smaller (<35 cm) and larger (≥35 cm) individuals was biased toward larger fishes, extending their distribution into shallow depth, and consequently main fishing ground was formed in far from coastal area. In addition, the ratio of smaller individual distributing between 100~300 m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gradient between below thermocline and bottom layer. Changes in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pollock population likely be related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in oceanic conditions and, consequently food supplies.

Study on the Prediction of short-term Algal Bloom in Juksan weir Using the Model Tree (모델트리를 활용한 죽산보 단기조류예측에 관한 연구)

  • Lee, Bo-Mi;Yi, Hye-Suk;Chong, Sun-A;Joo, Yong-Eun;Kim, Ho-Joon;Choi, Kwa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0-450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와 수온상승으로 인한 녹조발생이 빈번하게 나타나며, 녹조발생에 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녹조관리를 위하여 모델트리를 활용하여 클로로필-a 단기조류예측 기법을 개발하였다. 대상지역으로 영산강수계의 죽산보를 선정하였으며, 2013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나주 수질자동측정망의 일 단위자료와 동일기간 광주 기상청의 일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상관 분석을 통해 T-N, T-P, N/Pratio와 클로로필-a, 수온, 일사량, 강수량을 독립변수로, 단기(t+1일, t+3일, t+5일, t+7일) 클로로필-a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단기조류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데이터세트는 격일 간격으로 Training, Testing 기간으로 구분하여 적용한 결과, 상관계수는 1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0.89, Testing 기간에 0.91, 3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0.74, Testing 기간에 0.68, 5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0.70, Testing 기간에 0.66, 7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0.63, Testing 기간에 0.62로 나타났다. RMSE(Root Mean Square Error)는 1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13.96, Testing 기간에 12.22, 3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20.03, Testing 기간에 22.14, 5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21.32, Testing 기간에 22.57, 7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23.52, Testing 기간에 23.45로 나타났다. 예측주기에 따라 모델트리와 회귀식에서 활용한 독립변수는 1일 예측 시, 모델트리는 N/Pratio, 클로로필-a, 회귀식은 클로로필-a로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3일, 5일, 7일 예측 시, 모델트리와 회귀식에 활용된 변수는 같게 나타났다. 클로로필-a, 수온, 일사량은 5일 예측 시 활용된 변수로, 3일 예측 시에는 기상항목인 강수량이, 7일 예측 시에는 수질항목인 T-N, N/Pratio가 추가되었다. 특히 1일 예측 시 일 때, 높은 예측정도와 활용된 변수의 수가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예측기간이 길어질수록 예측의 정확성이 낮아지고, 활용된 변수의 수가 많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적정한 예측기간을 판단하고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자료취득 및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단기조류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ediment Discharge in 2009 (2009년 하천 유사량 특성 분석)

  • Go, Ju-Yeon;Lee, Yeon-Kil;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29-17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7개 지점(여주, 적성, 왜관, 진동, 공주, 구례2, 나주)에 대해 유사량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유사량은 강우가 집중되는 홍수기와 이의 전 후시기인 저 평수기(2회)로 나누어 왕복수심적분법(D-74)으로 측정하였고, 하상토는 BM-54, Grab Sampler(60 L), 선격자 등을 이용하여 홍수기 전 후로 2회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그 목적에 따라 여과법(부유사농도), BW관법(부유사입도분포), 체분석법(하상토입도분포)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로 작성된 평균 부유사농도 및 Oden Curve와 입도분포곡선과 수리량(수위, 유속, 측정수심, 수면폭, 수면경사, 수온)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총유사량(미측정구간의 유사량 포함)을 추정(실측+계산: Modified Einstein)하였다. 총유사량 추정시, 세류사량을 제외한 부유사량을 적용하였다. 유량-부유사농도와 부유사량 및 총유사량 관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나의 강우사상의 수위 상승-첨두-하강에 대한 측정성과는 대체적으로 Loop 형태를 보였고 이로 인해 일부 지점에서 측정성과들 간의 산포도가 다소 크게 나타났으며 수위 하강 때보다 상승시 초기 탁도의 증가 현상으로 부유사농도가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2) 유량-부유사농도, 부유사량, 총유사량 관계에서 왜관과 공주 지점의 경우, 첨두 수위에서 값들의 최고치를 보였고 나머지 지점들은 첨두 수위의 앞선 측정 수위에서 최고치를 보였다. 이는 강우사상별, 강우강도, 댐 방류량, 수위 상승-하강부, 유량에 따른 부유사농도와 부유사량의 특성이 각각 다른 점과 총유사량 추정시, 추정방법에서 추천하는 범위에서 벗어나는 자료를 적용해서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된다. 여기서 유량, 수심, 하상토의 입도크기 등 자료의 범위가 추정공식들이 추천하는 범위에서 벗어나면 그 분석 결과도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은 그만큼 총유사량 공식의 범용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때로는 자료 전체에 대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공식보다는 정확한 답을 원하는 자료의 범위 내에서 예측하는 공식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공식을 적용하여 유사량을 추정하고자 하는 하천이나 수로의 특성에 맞는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 PDF

Maturation and Spawning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under Captive Conditions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실내사육 넙치의 성숙과 산란-)

  • MIN Byoung Seo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 no.1
    • /
    • pp.25-39
    • /
    • 1988
  • The flounder reared in captivity matured and spawned when the water temperature gradually increased to $14\~15^{\circ}C$ from $12^{\circ}C$ during winter and the diurnal photoperiod changed from 10L/14D in winter season to 14L/10D in spring. The eggs spawned naturally by reared spawners in captivity during the first half of a spawning period were superior in quality to those spawned during the later half. It would be better to use the eggs of the first half for the mass production of the seedlings.

  • PDF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 Lischke의 성성숙에 관한 연구

  • 이주하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4 no.2
    • /
    • pp.91-102
    • /
    • 1998
  • 새꼬막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었다.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에서부터 족부까지 외측의 대부분을 싸고 있으며, 난소는 난자형성소낭, 정소는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완숙란의 세포질에는 많은 난황과립을 축적하고 있으며, 난막의 외측은 얇은 젤라틴상의 피막으로 싸여 있었다. 정자형성소낭벽에는 정원, 정모, 정세포 및 변태한 정자 순으로, 소낭의 내강을 향하여 충상배열을 하며 성숙 발달되었다.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11-5월), 후기 활성기(5-7월), 완숙기(6-9월), 부분 방출기(7-9월), 방출 및 비활성기(9-4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방란, 방정은 수온이 21$^{\circ}C$ 이상으로 상승하는 7월초순부터 9월까지 지속되며, 산란 최성기는 8월이었다. 비만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생식주기와 아주 밀접ㅎ나 관계가 있었다.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에는 eosin에 강하게 염색되는 과립세포와 간충직들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생식소 및 생식세포형성과 발달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세포로 생각되었다.

  • PDF

다중주파수 초음파처리를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탈수성 및 침강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Ju-Ho;Kim, Bu-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85-389
    • /
    • 2006
  • 다중주파수 초음파를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전처리시 탈수성와 침강성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ST 변화량은 조사시간 80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탈수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삼중주파수가 이중주파수 일때보다 더 큰 영향을 끼쳤다. 2. $SV_{30}$의 변화량은 초음파 조사와 동시에 급격히 변화하여 침강성의 악화를 가져왔다. 또한 삼중주파수가 이중주파수 일때보다 침강속도를 더 빨리 악화시켰다. 3. 수온은 상승하였고, pH의 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다중주파수를 사용하였을때, 단일주파수를 사용했을때보다 효율이 높았다. 그러나 다중주파수를 이용한 초음파 처리시 정확한 탈수성과 침강성 평가를 위해 ECP, 여과비저항(SRF), 입도분도, 점도 등 다양한 후속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