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 콘텐츠

검색결과 755건 처리시간 0.033초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에서 실시간 마이크로블로그 활용 학습활동 효과 사례분석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real-time microblogging activities in offline lecture environments)

  • 임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95-203
    • /
    • 2011
  • 본 연구는 오프라인에서 실시되고 있는 강의식 수업이 학습내용 전달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 및 학습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기회가 구조적으로 제한되고 있는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출발하였다. 이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강의식 수업 현장에서 마이크로블로그를 활용한 실시간 의사소통 환경을 조성하여 의사소통 증진 및 수업 촉진의 가능성이 검증되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K대학교 학생 14명이 8주간에 걸쳐 강의식 수업시간에 실시간으로 마이크로블로그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블로그에서 교류되는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 학습자들의 아이디어 생성 및 교환, 그리고 협력적 활동이 발견되었으며, 높은 수준의 수업 만족도를 바탕으로 수업에 적극적인 참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언사항으로, 향후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수업집중도 향상, 콘텐츠 질관리, 그리고 온오프라인 병행수업전략 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PBL을 활용한 대학 수업 운영의 실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lementing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ollege Classroom)

  • 하명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47-148
    • /
    • 2019
  • 최근 문제해결능력향상을 위해 대학에서는 PBL 교수법(Problem-Based Learning)을 도입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도 이를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직무능력단위 중 하나인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방법을 모색함과 동시에 교육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학습자 능력 신장을 위해 PBL수업을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법을 대학 영어전공 교과목에 적용함으로써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수업참여도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사전검사, PBL수업 운영, 사후검사의 3단계로 진행된다.

  • PDF

초등학생의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Virtual Reality Content Production Education)

  • 남충모;김종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3-40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에 가상현실을 도입하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교육을 통해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을 수업을 진행한 반과 적용하지 않은 반의 수업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 A. P. 설문조사지를 작성하였고, 설문 진행 후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상현실 콘텐츠 저작도구로는 코스페이시스를 활용하였다. 블록리(blockly) 기반 프로그램으로 코딩을 할 수 있어 학생들이 기능을 익히기에 어렵지 않았다. 현장 분석 결과 실천 영역에서 성과가 나타났다. 이 수업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수업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영화를 활용한 임상운동학 수업 콘텐츠의 효과 (Effect of Clinical Kinesiology Class Contents by Utilizing Movies)

  • 문옥곤;김정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421-142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를 활용한 동영상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여 임상운동학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영화 활용 수업의 학습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G시에 소재한 K대학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2학년 학생 4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수업을 진행하였다. 영화를 활용한 임상운동학 수업 콘텐츠는 근육의 작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면을 선택하여 편집하였고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동안 개봉한 영화 중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영화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영화를 활용한 임상운동학 수업이 학생들의 임상운동학과목의 흥미도(p<0.05) 및 이해도(p<0.05)를 높이고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된 비대면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Learn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Non-face-to-face Classes Applied to Computer Programming Classes)

  • 안유정;김경아;김지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261-263
    • /
    • 2021
  • 비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도 대면 수업에서와 유사한 학습 실재감을 느낄 수 있는 수업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2020학년도 1학기부터 2년에 걸쳐 실시간 화상수업과 미리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업 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해보았다. 두 방법의 공통점은 중요한 단원을 공부하는 4주 동안은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예습 동영상을 제공하고 본 수업은 실시간 화상수업으로 진행하면서 예습확인 퀴즈를 실시하고 심화수업으로 운영하였다. 각 수업 학기말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5점 척도 방식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수업 내용의 이해도, 수업에 대한 흥미도 그리고 수업 참여의 적극성에 대한 학습 효과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세 가지 학습 영역 모두 실시간 화상수업 방식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창의적문제해결능력과 학업적자기효능감 (Creative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Academic Self-Efficacies)

  • 오은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3-434
    • /
    • 2015
  • 본 연구는 공과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1학기 동안 창의적사고와문제해결이라는 교과목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팀 중심 수업설계를 통하여 창의적문제해결 5단계를 도입하여 절차별로 총 15주 수업 중 13주 수업을 설계하여 실시하고 15주차 수업에서 창의성 검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 PDF

대학 이러닝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 분석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to the Interaction Type on e-Learning in University)

  • 전영미;조진숙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31-141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교수자, 학습자-콘텐츠, 학습자-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자들이 인지하는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 어떤 관련을 갖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규모 대학의 이러닝 강좌 중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있었던 수업과 없었던 수업에 참여한 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있었던 수업에서 학습자-콘텐츠, 학습자-시스템간의 상호작용도 많이 있었고, 상호작용과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 학습자-콘텐츠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수업만족도에는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그 다음으로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학습자들은 이러닝에서 학습을 혼자 콘텐츠를 이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질 좋은 교육콘텐츠의 개발지원 및 수업에서의 제공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둘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자 대상의 워크숍 및 교육지원이 필요하다는 것과 셋째, 본 연구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학습자간 상호작용도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매우 중요한 상호작용 유형으로,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도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Learners on the Remote Learning of University Education - Focused on the Cases of M University -)

  • 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77-39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행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 194명과 M대학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1,54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교육과 학생 23명과 이공계 학생 8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 수업동영상을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학기말에 학생들의 각 교과목에 대한 강의평가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원격수업 유형 중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식은 강의 자료를 활용한 음성녹음 방식이나 수업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이다. 둘째,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에게 학습 만족도가 높은 수업방식이다. 셋째, 교수자의 많은 사전 준비와 학습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h Instruction Using Clip-Type Contents on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Learning)

  • 김연경;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57-377
    • /
    • 2014
  • 본 연구는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소재한 S초등학교의 4학년 2개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수업을 실시한 후 사전 사후 학업성취도 및 검사를 실시한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클립형 콘텐츠를 수학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서 질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은 수학적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클립형 콘텐츠를 적용한 수학 수업에 대한 질적 관찰 결과,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은 문제 해결력 향상,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 수학 학습 동기 유발, 효과적인 발문 유도, 다양한 교육 내용 활용, 학습 공간의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PDF

대학의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수업의 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ass Satisfaction between Remote Video Class and Face-to-face Class)

  • 이한샘;서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40-4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국내 대학에서 시행된 비대면 강의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특히 비대면 수업의 여러 유형 중에서도 원격화상수업은 실시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대면 수업을 대체할 수 있는 수업 모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면 수업과 원격화상수업 등 수업운영 형태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2019-2020년도에 운영된 총 8707개 강좌를 대상으로 수업유형 및 수업규모별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원격화상수업의 만족도가 대면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이 병행된 수업이 단일형태의 수업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이는 각 수업형태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수업규모에 따른 수업만족도에서는 대면수업과 원격화상수업 모두 소규모 수업의 만족도가 중형 또는 대형 수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격화상수업이더라도 소규모 수업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대학 수업의 패러다임을 확립해 나갈 필요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