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지도

검색결과 882건 처리시간 0.031초

교생들이 관찰 경험한 중학교 지리 수업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on Geography Teaching as a Participant Observer in the Secondary Schools)

  • 강창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1-219
    • /
    • 2007
  • 다양한 수업의 구조와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우연한 것이든 의식적인 것이든지 간에 그러한 구조와 역동성을 교과에 관련된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활동으로, 그리고 특정한 맥락 내에서 연구해야 한다. 지도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실제 수업 상황에서 도제하게 되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연구는 특히 그러하다. 이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중등예비교사인 9명의 지리교생이 지도교사의 38시간 수업을 참관하면서 관찰한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생들의 지도교사는 대부분 지리교육을 전공한 경력교사였으며, 2주간의 참관수업에서 교생들은 주로 지도교사의 중학교 지리수업을 참관하였다. 둘째, 지리교생들은 같은 수업을 관점에 따라 다르게 보기도 했다. 즉, 교생들은 학생들과 문답식으로 설명이 이루어지는 수업은 긍정적인 관점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이루이지는 수업'과 자유스럽고 활기찬 수업'으로 관찰했고, 교사들의 평범하고 조용한 수업을 '차분한 수업'으로 관찰했다. 셋째, 지리교생들은 부정적인 관점에서 '학생중심의 모둠별 발표와 이에 대한 교사의 수행평가'로 이루어진 수업은 매우 산만한 수업으로 관찰했으며, 교사들의 '교과서 중심의 강의식 수업'과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직된 수업으로 관찰했다. 넷째, 연구자의 관점에서, 관찰된 중학교 지리수업의 가장 큰 특징은 모두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이었고, 학생과 교사의 질문이 없는 수업이었다. 요컨대, 지리교생들의 이러한 관찰 경험 중에서도 특히 '지리 수업의 실재성' 그리고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경험은 지리 수업의 실제에 대한 교생들의 이해를 강화하거나 교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PDF

수업설계와 예비교사의 학습: 수학교수관행을 분석틀로 사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지도안 검토 활동이 어떤 도움이 되는지에 관한 고찰 (Lesson Planning: How Do Pre-service Teachers Benefit from Examining Lesson Plans with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as an Analytical Lens?)

  • 이지은;임웅;김희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3호
    • /
    • pp.211-222
    • /
    • 2016
  • 본고는 미국수학교사협의회(NCTM)의 대표적 최신 출판물인 원리에서 실천으로(Principles to Actions)에 제시된 8개 항목의 수학교수관행(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MTPs)을 분석의 틀로 이용하여, 초중등 예비교사들이 수업지도안 수정활동에 참여한 과정을 보고하고 있다. 이 과제는 주어진 수업지도안을 분석하고 수정하는 활동을 포함한 4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57명의 예비교사들이 한 학기 간에 걸쳐 이 과제에 참여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에 대한 초기개념은 수업관행(가령 MTPs)을 미약하게 반영하고 있었으며, 지도안 구성요소들의 기능보다는 형식을 더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MTPs를 수업지도안 분석의 틀로 이용하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예비교사들이 MTPs 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보여주었고, MTPs를 수업지도안에 포함시키려는 노력을 하였으며, MTPs 간의 상호연계성에 더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고는 이 수업지도안 수정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겪은 도전 및 갈등도 제시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MTPs의 효과적 사용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는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현직교사 교육과 예비교사 교육의 연계를 통한 산파법 관점에서의 모의수업 실행 사례 (Performing an Instructional Simulation Using a Socrates' Method by the Connection of In-Service Teachers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509-525
    • /
    • 2016
  • 수학교사 교육에서는 수학교육의 이론 지도 못지않게 교사의 수업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도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프로이덴탈(Freudenthal), 폴리아(Polya)등 현대 수학교육자들이 주목한 수학 학습 지도의 전형으로서 오늘날 수학 교육에 적지 않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 소크라테스(Socrates)의 '산파법'을 주제로 하여 사범대학의 예비교사 교육 과정에서 수학 모의수업 실행을 지도한 것이다. 수학을 지도하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실기 능력과 수업 연구 능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현직교사들의 활동 자료를 연계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현직교사들의 사고실험 예시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수학-학습 지도에 관한 자신들의 제한된 지식과 경험을 확장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한 교사 교육, 반성적 사고를 돕는 교사 교육, 교사 공동체 연구를 보조하는 교사 교육을 꾀한 연구과정에서 얻은 결과를 분석하여 앞으로 예비교사 교육에서 더욱 관심을 두고 지도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학교 컴퓨터교과 실습수업에서 도우미학생 활용 시범.실습법이 학생들의 과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Efficacy of Utilizing Student Assistants on Task Performance Ability in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 이갑예;김영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19-225
    • /
    • 2007
  • 컴퓨터교과는 학생들의 일반적인 학업성취 개인차 요인과 더불어 필수 교과가 아니기 때문에 학교 혹은 교사마다 교육하는 내용이 상이하여 학생들이 상급학교로 진학하였을 때 학생들 간의 수준 차가 심화된다. 이러한 다양한 수준차가 있는 학생들을 교사 1인이 한정된 시간 안에 모든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지도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또 넓은 컴퓨터실에서는 학생들의 주위가 분산될 우려가 많으므로 학생들의 행동을 수시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컴퓨터교과 실습수업 시에는 보다 효과적인 지도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교과 실습지도 방법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컴퓨터교과 실습수업 시 널리 사용되는 시범 실습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도우미학생 활용 시범 실습법을 제안하고, 중학교 컴퓨터 정규교과 시간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도우미학생 활용 시범 실습법이란 교사는 실습내용을 설명하고, 모든 학생들은 교사의 설명과 동시에 실습을 하며, 도우미학생의 실습내용이 빔 프로젝트를 통해 다른 학생들에게 보여짐으로써 교사의 시범을 대신하는 방법을 말한다. 컴퓨터교과는 설명만으로도 실습 가능한 내용이 많아 이러한 지도방법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실습내용을 최소한의 작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교사의 설명과 개별지도, 모든 학생의 실습과 관찰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교사의 행동이 자유로워 설명과 동시에 개별지도가 가능해 개별지도의 확대를 가져올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즉각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으며, 학생들의 행동을 수시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검증도구로 'html 태그' 단원 5차시 분량의 과제수행능력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검증결과 학업성취 중하수준의 도우미학생 활용 시범 실습으로 수업한 집단은 통제반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업성취 중상수준의 도우미학생 활용 시범실습으로 수업한 집단은 통제반에 비해 과제수행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제안한 지도방법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 PDF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n Details)

  • 정창희;손정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2호
    • /
    • pp.117-126
    • /
    • 2023
  •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서 초등교사들이 과학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각론은 중요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는 데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교사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별 필요성, 만족도와 활용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 등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수업 준비와 진행에 도움이 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 초등교사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수업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배치와 가독성 높은 디자인 구성을 원하였다. 결론적으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은 과학 교수·학습에 필요한 수업 준비, 수업 흐름, 교수·학습 자료 등을 한눈에 파악하고, 가독성 높게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등교사들이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용도서가 될 수 있게 새로운 접근과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예비초등교사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 수업지도안 분석을 중심으로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Lesson Plan Analysis)

  • 권혁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421-428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간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을 연구 참여자인 C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 중인 예비초등교사 84명에게 분석토록 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분석내용의 빈도 차이가 가장 많은 영역은 '학습안내 제시'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스퀘어 검증 결과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영역 별 빈도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안내 제시' 영역 내 교수요소 별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면과 비대면 간 분석의 빈도 차이가 두드러지게 큰 교수요소는 '매체 및 테크놀로지 활용'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학습안내 제시' 영역 내의 교수요소별 빈도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초등교사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향후 예비교사의 교사전문성 제고를 위해 특히 비대면 수업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춘 교사양성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STEAM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STEAM Lesson through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 정경화;신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7-16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을 위해 같은 학교에 근무하는 동 학년 교사 3명이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공동지도안을 작성하고 수업하는 모습을 살펴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동 학년 교사학습공동체는 STEAM 수업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준다.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STEAM 수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수업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이 생각한 STEAM 수업의 어려움은 연구시간 확보의 문제, STEAM 수업 진행이 어려운 문제, 그리고 STEAM 수업 연구가 어렵다는 문제이다.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공동지도안을 작성하면서 수업에 대한 부담을 극복하였고 좋은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교차 점검하는 등의 노력을 했다. 아울러 공동지도안으로 실행한 수업을 서로 참관하면 지도안을 작성할 때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수업 진행상의 어려움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이를 개선하여 수정된 지도안으로 점점 더 좋은 수업을 하게 되었다. 즉, 학생들이 좀 더 학습 목표에 수월하게 도달하고, 수업 안에서 배움이 더 잘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스스로 성장하고 있음을 느꼈다.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이 예비 교사들의 PCK 개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actice Teaching Utilizing Content Representation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정유정;이경희;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6호
    • /
    • pp.520-53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 수업지도 과정에서 어떠한 내용의 지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CoRe의 역할과 그것이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1명의 실습 지도교사와 2명의 예비교사의 CoRe 논의과정, 예비교사가 진행하는 수업의 관찰,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CoRe를 바탕으로 한 논의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오개념을 확인하고 개념을 명료화하였으며,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부족한 지식을 보완하며, 새로운 전략을 구성해나갔다. 지도교사는 자신의 구성주의적 교수 지향을 기반으로 자신의 교수 경험을 전달하였다. 이 과정에서 CoRe는 예비교사들에게 지도교사의 지도 과정을 안내하는 역할, 지도교사의 PCK를 드러내도록 도와주는 역할, 논의과정에서 그들의 대화를 도와주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여 교육실습에서 지도교사의 수업지도를 도와주는 유용한 틀임을 확인하였다. 예비교사들은 CoRe 작성과정을 통해 수업 준비를 위한 유용한 틀을 제공받았고, 수업계획 단계에서 지도교사와 함께 CoRe를 개발하면서 교과 내용 지식과 교육과정 지식,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는 PCK 신장에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 또한, PCK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학생과 교수활동, 과학 교사로서의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경험하였다.

수학교과 지도를 위한 동기유발 방법 연구

  • Lee, Dong-Ro;Lee, Sang-Bock;Oh, Kwang-Sik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57
    • /
    • 2005
  • 지금의 교실 수업은 토론학습에 익숙한 학생들로 수업에 흥미를 가지는 수업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으며 수준별 수업을 통한 심화.보충형과 특별 보충과정으로 학생 지도를 하고 있다. 교실마다 수학 학습을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려지고 있으며 개인별 수준 차가 더욱 심한 상태라서 학생들에게 동기를 유발하여 수학에 대한 학습 의욕을 고취하고 교실 밖의 학습자를 교실내로 흡수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모둠별 돌림수학, 수준별 모둠 구성을 통해 박수를 치기, 구구단을 이용한 학습과 수학 모둠 노래를 통하여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학습 모형을 소개한다. 그리고 수행평가나 포트폴리오, 수학 감상문을 통해 동기 유발이 가능한 실제 학습을 개발하여 공교육의 내실화와 창의력을 유발하는 자아실현의 일환으로 신선한 교실 수업의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 PDF

영상번역 수업 지도안과 수업 효과 (A Lesson Plan and Class Effect of Audiovisual Translation Class)

  • 박주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213-219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S 대학교 전공 선택 과목 중 하나인 영상번역 수업을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수업 지도안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영상번역에 대한 이해력과 수업 효과를 증명하는 것이다. 수강 후 설문지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업 내용에 대한 반응과 만족도는 긍정적이고 매우 높았고 특히 영화 배경지식이 번역 실습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 효과는 자막 번역에 초점을 둔 것으로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축약 부분만 표로 나머지는 서술적으로 표현하였다. 구체적으로 축약, 대명사, 인물관계에 알맞은 호칭,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붙이기, 영화에 자주 나오는 표현에 대한 응답 비율이 가장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고, 자연스러운 표현, 부호 쓰기, 존칭어와 반말 처리,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붙이기, 반대로 번역하기, 단위 환산 순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