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의 학업 성과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7초

조경학과 전공자의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전공자의 그릿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학업열의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GRIT of a Student Majoring in Landscaping during Online Learning on Their Learning Persist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 최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88-498
    • /
    • 2022
  • 본 연구는 조경학과 전공 대학생의 그릿이 온라인 수업의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학습열의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경지지역 소재 대학교의 조경학과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5일부터 2021년 12월 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96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조경학과 전공자의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전공자의 그릿은 학업열의와 학습지속의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업열의는 학습지속의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경학과 전공자의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전공자의 그릿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에서 학업열의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경학과 전공자의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해 전공자의 그릿과 학습열의가 중요함을 규명하였다. 또한 실용적인 학문이며 교육과목에서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어 실습수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조경학과의 특성 상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열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생 개인의 내적인 요인과 학교 차원에서의 외적인 요인 모두를 긍정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탐구실험 수업에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적용: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대한 효과 (Applications for Self-Regulating Learning Strategy to Quantitative Relationships in Chemical Reaction)

  • 김연철;박종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487-495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적 및 비판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화학I '화학반응에서의 양적관계' 단원의 탐구실험 수업에 응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학업성취도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실험집단 학생들은 모둠별 토의, 메타인지 활동 등으로 부피비, 몰비, 입자수 비 및 계수 비, 등의 양적관계를 더 잘 이해하였다. 학업성취도는 메타인지와의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의 경우, 준비성, 호기심, 등에서 두 집단 간의 평균점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과학적 태도는 행동조절과의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메타인지와 과학적 태도에 대한 효과를 고려할 때,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이 시대에 필요한 창의성 및 인성교육에 가장 적합한 교수-학습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Mosoteach 앱을 이용한 중국 대학 EFL 수업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Using the Mosoteach App in College EFL Classes in China)

  • 류댄핑;김양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75-283
    • /
    • 2021
  • 본 연구는 형성평가 (FA)와 총괄평가 (SA) 사이의 관계를 검사하여 대학 EFL 수업 평가 개선을 돕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중국의 4년제 대학에서 선택적으로 8주간의 대학 영어 과정을 수강했던 75명의 학부생들이었다. FA 데이터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Mosoteach를 사용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 조사에 의해 코스 마지막 과정에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FA와 SA(기말고사 및 수행활동 점수)간의 관련성을 SPSS로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그 두 평가 점수 간 유의미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단원 평가, 온라인 토론, 브레인스토밍, 신속한 답변, 그리고 과제 수행에서 교수자들의 엄지척 클릭수와도 깊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Mosoteach 앱을 통해 관리되는 FA가 학생들의 수업의 학업 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었다는 결과는 교육 평가 개선을 위한 경험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EFL 수업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설명되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수업에서의 교육적 효과 고찰 (A study of the educational effects in SNS-utilized instruction)

  • 권명순;간진숙;김진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35-146
    • /
    • 2014
  •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자기중심적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추가한 사회적 활동으로 구분하여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실험군 원시실험설계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응표본(paired t-test) 검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SNS 수업을 활용한 자기중심적 활동은 자기주도성과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에 효과가 있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이 추가된 사회적 활동은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과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를 활용한 수업의 교육효과에 대한 내용분석에서는 정보의 공유 및 즉시성, 접근성 측면을 장점으로, 정보보안과 사생활 노출은 문제점으로 제시하였다. 즉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자기중심적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병행 할 경우, 학습자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자기주도성 향상과 학업능력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기술에 태도가 향상되고 개별 학업 만족도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의 발문 특성 연구

  • 한정민;박만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9-235
    • /
    • 2010
  • 학습자들이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식을 축적,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행동 양식을 개발하고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해 나갈 수 있는 능동적인 자세와 상응하는 창의적인 힘을 키우기 위해 '창의성 신장'이 강조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교사의 발문이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적 사고력향상,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지만, 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의 발문에 관련한 구체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성, 수학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고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정의적 영역(흥미, 태도, 호기심 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사 발문의 특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형영역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 특성을 분석하고, 수업에서 사용되는 자료와 수업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교사 발문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 2007개정 교육과정 수학과 4학년 1학기 도형 영역 관련 단원인 삼각형을 주제로 교과서에서 제시한 발문 내용을 분석하고, 실제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교사 발문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제주교육인터넷방송국에 탑재되어 있는 7차 교육과정 4학년 1학기, 2학기 도형 관련 3개의 수업을 관찰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 발문의 특성을 수학적 창의성의 하위요소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이 다양하게 사고할 수 있도록 자극할 수 있는 발문을 준비하고, 수업 진행시 하나의 발문에 대해 다수의 반응을 유도하고, 학생의 응답에 대해 단순한 '맞다, 틀리다'의 판단을 내리기 보다는 그 근거를 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어 학생이 수학 수업에 흥미를 갖고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PDF

협동학습에서 학생의 유화성에 따른 집단 구성의 효과 (The Effect of Grouping by Students' Agreeableness in Cooperative Learning)

  • 한재영;한수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17-724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전략을 사용한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유화성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이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구성원간 응집성 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158명 학생들을 전통 집단과 동질 및 이질 집단으로 배치하고,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대하여 7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 성취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만족감과 구성원간 응집성에서 수업 처치와 유화성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유화성 상위 학생들은 동질 집단에서 만족감과 응집성이 높았다. 동질 집단의 학생들이 다른 집단의 학생들보다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가 높았다.

창의성의 기저가 되는 가설 연역적 사고력 신장을 고려한 과학 교수인 STS 수업 전략의 효과 - 과학 I의 물 단원 (The Effect of STS Instruction through Science to Enhance Hypothetical Deductive Thinking Skills for Creativity - Water Section of Chemistry I)

  • 강순희;김은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7-335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STS 가설 연역적 수업 전략을 고등학교 화학 I의 물 단원의 수업 전략에 사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남녀 공학 고등학교 2학년 자연 계열 학생들이다. 본 연구는 사전 검사로 실험반과 통제반 학생들의 물 단원 관련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조사한 후 STS 가설 연역적 수업 전략과 교과서 위주의 전통적 강의식 수업 전략을 총 10차시에 걸쳐 시행한 후에, 학생들이 수업 후 형성된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과 관련된 태도를 사후 검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과 관련하여 STS 가설 연역적 수업 전략을 도입한 실험반의 학생들과 교과서 위주의 강의식 수업 방식을 도입한 통제반의 학생들은 과학 학업 성취도 변화에 있어서 실험반의 교정 평균이 통제반의 교정 평균보다 4.26점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둘째, STS 가설 연역적 수업 전략을 도입한 실험반의 학생들이 교과서 위주의 강의식 수업 방식을 도입한 통제반의 학생들보다 과학/기술/사회와 관련된 태도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5).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하위 영역에서 실험반이 통제반 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영역은 과학 수업 내용(II영역), 과학 공부(III영역), 과학의 가치(IV영역)이였다.

스마트 러닝을 활용한 아동간호학의 학습성과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Pediatric Nursing Education)

  • 서지혜;정종필;최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84-795
    • /
    • 2016
  • 본 연구는 아동간호학 교과목의 교수 학습 전략으로 스마트 러닝을 적용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 비판적 사고능력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를 통해 간호교육에서의 스마트 러닝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로 전라남도 S시 소재 일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은 2015년 3학년 37명, 대조군은 2014년 3학년 41명, 총 78명이었다.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스마트 러닝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받은 실험군의 학업성취도와 비판적 사고 성향 점수는 증가하고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만족도는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연구 결과, 스마트 러닝은 간호학생의 학습성과, 즉 학업성취도, 비판적 사고 성향 및 수업만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켜 아동간호학 교과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간호교육인증평가와 함께 성과기반 교육과정이 도입 및 운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제고와 더불어 간호학생의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전문대학 공학계열 수업에서의 성찰저널 적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pplying Reflective Journal to The Engineering Classes in College)

  • 홍유나;맹민재;정애경;이상회;김능연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7권1호
    • /
    • pp.22-3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향상을 위하여 성찰저널을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성찰저널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자기조절학습전략, 특히 메타인지와 비판적 사고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지도구로서 (1) 5점 Likert 척도로 된 자기평가, (2) 수업에세이, (3) 동료와의 대화, (4) 교수님과의 대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화된 성찰저널'이다. 이러한 성찰저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9년 8월 24일부터 10월 16일까지 총 8주 동안 공학계열 1학년 94명(이론반 42명, 실험실습반 52명)을 연구반(성찰저널 적용 수업)과 비교반(성찰저널을 적용하지 않는 반)으로 구분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이러한 수업 유형에 따라 사전과 사후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찰저널이 공학계열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프로그래밍 성취도 분석을 통한 플립드 수업 효과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ffect of Flipped Class by Analysis of Programming Achievement)

  • 김경미;김헌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5-2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파이썬 프로그래밍 수업을 플립드 수업 분반과 일반 수업 분반으로 나누어서 프로그래밍 주제별 학업 성취도를 비교 분석하여 플립드 수업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각 분반 모두 36명이며, 수업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 채로 참여하여 외부환경효과의 영향을 제거하였다. 세 번 치른 시험의 채점결과를 프로그래밍 주제별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전체 성취도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기초문법과 중급문법에서 플립드 수업 분반의 성취도가 일반 수업 분반의 성취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래밍의 전반적인 이해도를 알 수 있는 코딩문제 점수와 총점에서도 플립드 수업 분반 학생들의 성취도가 더 높았으며, 성별 성취도 분석결과 수업 유형에 따른 영향은 없었으며, 학업성취도는 남학생들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플립드 수업 방식이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