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Pediatric Nursing Education

스마트 러닝을 활용한 아동간호학의 학습성과

  • Received : 2016.08.17
  • Accepted : 2016.10.12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on the academic performances of nursing students. The study examined and compare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skill, and class satisfaction,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fter applying the smart learning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78 nursing students (experimental group of 37 and the control group of 41) who were the third year nursing students of a university in a S city located in J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to perform ${\chi}^2$-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t=2.50, p=.014), critical thinking (t=4.83, p<.001), and class satisfaction (t=6.65, p<.001)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smart lear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academic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nd class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아동간호학 교과목의 교수 학습 전략으로 스마트 러닝을 적용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 비판적 사고능력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를 통해 간호교육에서의 스마트 러닝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로 전라남도 S시 소재 일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은 2015년 3학년 37명, 대조군은 2014년 3학년 41명, 총 78명이었다.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스마트 러닝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받은 실험군의 학업성취도와 비판적 사고 성향 점수는 증가하고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만족도는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연구 결과, 스마트 러닝은 간호학생의 학습성과, 즉 학업성취도, 비판적 사고 성향 및 수업만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켜 아동간호학 교과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간호교육인증평가와 함께 성과기반 교육과정이 도입 및 운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제고와 더불어 간호학생의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인터넷 정보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77-92, 2012.
  2. 김예진, 조지연, 이봉규, "스마트러닝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성공전략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123-131, 2015. https://doi.org/10.7472/JKSII.2015.16.6.123
  3.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Retrieved June 29, 2011, from http://www.moe.go.kr/web/100026/ko/board/view.do?bbsId=294&pageSize=10¤ttPage=0&encodeYn=Y&boardSeq=34571&mode=view
  4. 한국인터넷 진흥원, "2014 모바일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Retrieved February 23, 2015, from http://isis.kisa.or.kr/board/?pageId=060100&bbsId=7&itemId=807&pageIndex=1
  5. 조아라, 한상익, 윤상헌, 박주현, 유남진, 김선, "의학교육에서의 효과적인 팀 바탕 학습 운영 방안," 한국의학교육학회, 제22권, 제1호, pp.47-55, 2010.
  6. 박정혜, "협동학습이 간호학생의 학습성과와 수업 경험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02-212,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2.202
  7. 이인숙, "스마트러닝 학습효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4권, 제1호, pp.347-357, 2013.
  8. 임정훈, "블랜디드 이러닝 및 SNS 기반 교수 전략 개발과정,"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고등교육연수원, Issue Brief No.2015-10-1303, Retrieved January 23, 2015.
  9. M. Grgurovic, "Blended learning in an ESL class: A case study," The Computer Assisted Language Instruction Consortium Journal, Vol.29, No.1, pp.100-117, 2011.
  10. 임정훈, 김상홍,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9권, 제1호, pp.1-24, 2013.
  11. 한국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 진흥원, "2012년 상반기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 Retrieved February 28, 2013, from http://isis.kisa.or.kr/board/?pageId=060100&bbsId=7&itemId=795&pageIndex=3
  12. 조훈, 홍성정, 김화선,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앱 사용 의도 및 적용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4권, 제12호, pp.6403-6412, 2013.
  13. J. C. Phillippi and T. H. Wyatt, "Smartphones in nursing education,"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Vol.29, No.8, pp.449-454, 2011. https://doi.org/10.1097/NCN.0b013e3181fc411f
  14. 주효진, 김민정, 송예림, 고성현, 김요한, 황지민, "스마트 러닝 학습활동의 특성과 인식도에 대한 실증분석 : 청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지역정보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8-46, 2015.
  15. 임걸,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 설계 모형 탐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3-45, 2011.
  16. M. Balitanas and R. J. Roble, "Peer to peer content sharing on smart phones technolog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2, No.2, pp.77-84, 2012.
  17. 임진형, 고선영,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용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6권, 제8호, pp.5232-5239, 2015.
  18. 이상기, 권민화, "스마트 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탬색적 연구: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4권, 제2호, pp.258-294, 2014.
  19. 임정훈, 안순선, "초등학교 스마트패트 활용 수업의 교육적 유용성과 문제점에 관한 질적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75-87,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1.75
  20. 임정훈, 성은모, "IPTV 학습환경에서 중, 고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교과태도, 학습 몰입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7권, 제3호, pp.423-446, 2011.
  21. 나일주, 성은모, "웹 기반 학습환경에서 그림자료와 텍스트 내용과의 관련성이 내용 이해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제8권, 제4호, pp.1-22, 2007.
  22. 이지연, 김영환, 김영배,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교육공학연구, 제30권, 제2호, pp.163-191, 2014.
  23. 박기범, "사회과 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함의," 사회과교육, 제53권, 제3호, pp.107-120, 2014.
  24. 편경희, 송동주, "영남대학교 리더십 학습성과 교육 CQI 방안에 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pp.64-72, 2009.
  25. 김정식, "교과목 및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의 전략적 접근," 공학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pp.73-86, 2007.
  26. 이지연, 김영환, 김영배, "학습자중심 플립러닝 수업의 적용 사례," 교육공학연구, 제30권, 제2호, pp.163-191, 2014.
  27. 백영균, 정재엽, 윤성철, 교육매체제작의 실제, 문음사, 2006.
  28. L. K. MIichaelse, D. X. Parmelee, K. K. McMahon, and R. E. Levine, "Team-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 a guide to using small groups for improving learning," The Journal of Chiropractic Education, Vol.23, No.1, pp.47-48, 2009. https://doi.org/10.7899/1042-5055-23.1.47
  29. 윤진,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 간호학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30. 김성렬, 김종두, "사이버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과학과 문화, 제3권, 제2호, pp.1-15, 2006.
  31. 박기훈, 김영민, "e-learning에서 스마트폰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지니스 연구, 제14권, 제2호, pp.25-45, 2013.
  32. 박승미, 권인각,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 영향요인," 한국간호과학회지, 제37권, 제6호, pp.863-871, 2007.
  33. 장금성, 김은아, 김남영, "간호학과 졸업예정자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에서 정보활용능력의 매개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7권, 제5호, pp.2823-2835, 2015.
  34. L. Chenoweth, "Facilitating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for nursing," Nurse Education Today, Vol.18, No.4, pp.281-292, 1998. https://doi.org/10.1016/S0260-6917(98)80045-2
  35. A. M. Bostrom, A. Ehrenberg, J. P. Gustavsson, and L. Wallin, "Registered nurses' application of evidenced-based practice: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Vol.15, No.6, pp.1159-1163, 2009. https://doi.org/10.1111/j.1365-2753.2009.0131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