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의 질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3초

COLT와 TALOS 활용 동영상 분석으로 살펴본 우수 초등영어수업의 의사소통성 양상 (Analysis of Communicative Features in an Excellent Elementary English Class Using COLT and TALOS)

  • 유희연;김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69-279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 영어 우수 수업으로 선정되어 교육포털사이트에 업로드 되어 있는 수업 동영상을 전사하고, COLT 2부와 TALOS 저추론 분석법을 사용하여 이를 분석하여 의사소통성과 수업의 특징을 파악한 연구이다. 그동안 COLT를 사용하여 초등 영어 수업의 의사소통성을 파악한 연구는 많았지만, TALOS 분석을 한 연구는 부족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초등 영어 수업이 의사소통적이지 않다는 결론이 대다수였다. 이에, COLT 2부와 TALOS를 사용하여 초등 영어 수업을 분석하여 의사소통성을 파악하고, 초등영어의 성격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특징을 알아보았다. 서울교육포털사이트에 우수 수업 동영상으로 업로드되어 있는 1개의 수업 동영상을 COLT(Communitive Orientation of Language Teaching)와 TALOS(Target Language Observation Scheme)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 수업은 높은 학생 발화의 양과 질, 학생의 높은 참여, 주도적인 발화의 시작, 예상 불가 정보 발화의 높은 비율, 확장 비율이 높은 발화 지속의 양태 등으로 의사소통중심 수업임을 확인하였다. 수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학생의 높은 참여, 정의적 요소의 중시, 재미있게 몰입하는 활동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충분한 반복을 통한 내재화 등은 초등 영어 특성과 관련된 본 수업의 특징이다.

수학 교사교육 연구와 실천과제: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으로 분석한 고등학교 수열 단원 수업과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소고 (Connecting Research and Practice: Teaching for Robust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Framework in a Korean Mathematics Classroom Context)

  • 김희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639-66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수학 교실 수업 관찰 프레임인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을 한국어로 소개하고, 이 프레임을 이용하여 한국의 고등학교 수업을 분석한 결과를 논의한다. 교사의 교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를 평가를 하였던 기존의 많은 수업 관찰 프레임에서 보여졌던 것과는 달리,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은 교실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어떤 질 좋은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그 기회에 학생들이 참여하게 하는 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본 고에서는 단순히 이 프레임을 번역하여 소개하는 것이 아닌, 연구 수업 및 교사 공동체가 학교와 교사의 문화로 자리매김한 한국 상황에 맞게 적용하여 한국 고등학교 수업을 케이스 스터디로 분석한 것으로, 한국의 학교 문화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고의 말미에서는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의 다른 버전인 교사 전문성 신장 가이드를 이용하여 교사들과 교사 연수자들이 수학 교실 수업 개선을 목표로 하는 교사 전문성 신장에 관한 실천적 측면의 함의점을 논한다.

CAI 시스템에서 평가 컴포넌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Testing Component for CAI System)

  • 김행곤;신호준;길준형;김성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337-1340
    • /
    • 2000
  • 정보화 사회에서의 컴퓨터의 가치는 교육분야서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수업보다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덜 받게 되는 원격교육은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웹 상에서의 원격교육에서는 필수의 강의가 끝나면 수업의 평가 후 학생에게 수업의 결과를 알려주는 형식이었고, 또한 학습자에게는 일률적으로 평가가 적용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할 수가 없었으며 교수의 입장에서도 학생들의 평가 결과가 수업의 질을 높이거나 내용을 변경시킬 근거가 될 수 는 없었다. 따라서,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 시스템에서 수준별 학습을 위한 단계별 예비 테스트와 학습 후 테스트의 평가 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가시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교수 방법을 지원할 수 있는 평가 컴포넌트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는 평가의 방법이 체계적으로 되고 또한 학습의 패러다임을 바꾸거나 과목을 변경할 경우 또한 그 결과에 따라 교수 방법의 변화나 수업내용의 변경을 하려할 때 용의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다른 패러다임의 원격교육 시스템에서도 이미 개발된 구성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용이성과 이식성,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 PDF

공과대학생들의 학습 과정 분석에 기초한 학습지원 방안 연구 : 수도권 S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Learning Support based on the analysis of learning proces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 전영미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61-7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가정 아래, 공과대학생들의 학습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습지원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학습과정 분석은 다섯 가지 영역-수업내활동, 수업외활동, 상호작용, 학습성과, 학습지원체제-으로 이루어졌으며, 수도권에 위치한 S대학의 공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T-test, Anova, 위계적선형모형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과 교양 수업 만족도는 높았으나,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이나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낮았으며, 고등사고력 활동에 많이 참여하고 있지 않았고 학습성과 역시 낮았다. 학습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와의 상호작용, 고등사고력 활동, 수업에의 적극적인 참여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고등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 수업에의 적극적 참여와 고등사고력 활동을 강조하고 글쓰기 지원 및 교수-학생간 상호작용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교양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교수자의 역할과 학습 성취도 및 만족도 분석 (For Improving Quality of Classes in Liberal Arts Programming Classes Analysis of role of Instructor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 김현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745-75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K대학의 교양 프로그래밍 강좌에서 실시한 교수법, 학습 성취도, 교수자 역할 만족도 설문을 기반으로 교수자의 역할이 수업의 질적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며 교수자의 역할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한다.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과목에서 교수자의 역할과 학습 성취도를 분석하여 수업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한다. 대학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 대학에서는 교수자들의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해 교수자들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증진시키고 학생들의 질의에 성실한 대응을 하며 학생들의 수업 중 발생 하는 여러 상황 및 학습을 조력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수업의 만족도 및 성취도를 향상 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K대학의 교양 프로그래밍 강좌에서 실시한 교수법, 학습 성취도, 교수자 역할 만족도 설문을 기반으로 교수자의 역할이 수업의 질적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며 교수자의 역할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 대한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중한다.

과학과 수업평가 기준의 역할 및 개발 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Role of Science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and How to Develop the Standards)

  • 곽영순;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67-37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설문 조사, 수업관찰 및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수업평가 기준의 목적, 개발이 필요한 이유, 수업평가 기준의 역할 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장 교사들이 생각하는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바람직한 주체가 누구이며, 수업평가 기준이 개발될 경우 누가 가장 많은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수업평가(기준) 정착을 위한 선결 요건을 고찰하였다. 요약하면, 수업 평가기준은 (1) 초보자를 위한 지침, (2) 숙련된 전문가를 위한 지침서 (3) 개선 노력을 집중할 부분을 파악하는 구조, (4) 교직이외의 다른 공동체들과의 의사소통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수업평가는 물론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주체는 교사들이어야 하며, 일반 기준과 차별화 되는 교과별 기준, 즉 과학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즉, 교과별 수업평가 기준 개발은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교육과 관련된 주요 이해당사자들이 폭넓게 참가하지 않고서는 성공하기 어렵다. 이러한 수업 평가기준 개발의 성공 여부는 이러한 평가기준이 일반 공동체, 특히 교육 공동체에 의해 수용되는 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사이버대학 콘텐츠품질관리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 consulting in cyber university content quality management center)

  • 서용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31-341
    • /
    • 2017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컨설팅의 사례를 분석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원격대학에서 활성화하여 질 높은 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되기 위해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지역 A사이버대학의 콘텐츠품질관리센터에서 수행하고 있는 수업컨설팅 자료를 분석하고 본 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연구원들과 인터뷰 자료를 토대로 현상학적 접근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수업컨설팅에 참여하는 교수들은 많은 부담을 가지고 있었으나, 강의 질 개선을 위해 비교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으며, 원격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생소한 환경에서의 교육법을 알고 싶어 했고 피드백을 제공받고 싶어 하였다. 또한 연구원들은 강의평가의 객관적인 틀을 가지고 여러 번 강의 촬영한 영상을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 교수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지만, 전달과정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보다 원활한 의사전달을 하기 위하여 교수자와 연구자 사이의 라포 형성이 되어져야 하며 강의 촬영 전 충분한 사전협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일반대학과 다르게 사이버대학은 학습자가 없는 강의실에서 카메라만 응시하며 수업컨설팅이 진행이 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촬영 및 녹화에 대한 부담감은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사이버대학의 교수자들은 수업컨설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질 높은 강의를 하고자 하는 의욕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결과를 논의하고 사이버대학의 수업컨설팅의 확산과 효율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교수자 코칭에 기반한 대학의 플립러닝강좌 개발 모델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ourse model based on instructor coaching)

  • 김은희;변호승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9-52
    • /
    • 2018
  • 그 동안 플립러닝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여러 연구가 있었지만, 고등교육기관에서 교수들의 플립러닝 과목 개발을 돕고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교수학습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CTL과 같은 기관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플립러닝강좌 개발 컨설팅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모델안을 개발하여 전문가들의 피드백을 통해 최종 '수업코칭에 기반한 플립러닝강좌 모델'을 개발하였다. 총 8단계 모델의 1단계는 수업 개발사항 검토, 2단계는 수업 오리엔테이션, 3단계는 플립러닝 운영, 4단계는 전문가 수업분석, 5단계는 플립러닝 수업코칭 및 수업개선 모임, 6단계는 플립러닝 운영, 7단계는 교수자 성찰, 8단계는 환류 및 보완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는 플립러닝을 개발하는 교수자에게 수업의 개선을 위해 보다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안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개발된 모델을 기반으로 수업의 질적 제고가 가능하다.

언택트시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효율성 연구 -대학 수학 수업에서의 다양한 수업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Online Classes -Focused on Various Teaching Methods in College-)

  • 홍예윤;임연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63-73
    • /
    • 2021
  •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일반 대학에서 갑작스럽게 시행된 온라인 수업은 학력저하에 대한 많은 우려감이 팽배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던 같은 과목(미적분학I)의 같은 내용의 수업을 100% 온라인수업으로 수행하면서 그에 걸맞은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통해 수업의 질을 유지하고자 했다. 그 결과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는 오프라인 수업 때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우월한 성과를 보여주었고 학습자들의 인식 및 만족도에 있어서도 온라인수업의 장점들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온라인수업의 성과라기보다는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에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테크놀로지 활용이 더하여진 교수자의 강의 운영에서 비롯된 결과로서 오프라인과 온라인이라는 매체의 차이보다는 교수학습방법의 완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음을 파악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로도 온라인수업의 잠재성과 비전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연구로서 향후 더욱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검증 연구가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Covid-19이후 학생 수업참여를 위한 교수자의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rofessors for Student Participation after Covid-19)

  • 이은주;김민정;송연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04-413
    • /
    • 2022
  • Covid-19이후 대학에서 비대면 수업이 필수적인 수업방식으로 채택되면서 학생의 수업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수업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업참여는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선행 요건이기에 비대면 수업에서는 더욱 중요한 요건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 이후 비대면 혹은 비대면과 대면 수업의 혼용으로 운영되어 온 D대학의 교수자 3인이 학생의 수업참여를 높이기 위해 시도한 경험과 고민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비대면 수업 초기 교수자와 학생 모두 시행착오를 거쳤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뿐 아니라 자발적으로 수업활동을 확장시켜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수자 주도의 수업이 대면과 비대면의 적절한 조화와 다양한 매체의 활용으로 학습자 참여형 수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자서전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