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양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7초

『전경』에 나타난 대순사상의 생사관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Jeon-gyeong)

  • 쩡쯔밍
    • 대순사상논총
    • /
    • 제27집
    • /
    • pp.79-132
    • /
    • 2016
  • 대순진리회의 생사관은 천지귀신이 함께 하는 것이고, 인심을 근본적인 핵심으로 삼는다. 심성 수양의 정도에 따라 자신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을 일심(一心)의 묘용(妙用)으로 보고 있다. 즉, 인간의 잠재적 능력에 주목함으로써 인간이 수행을 통해 신성의 초월적 영역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순진리회의 생사관은 삼계공사의 종교적 사명으로 건립되었다. 여기서 삼계공사는 천지인 삼계의 개벽을 말한다. 이 개벽은 천지 운행의 원래의 규칙으로 돌아가서 새로운 우주적 질서를 짜는 것이다. 천지는 스스로의 운행규칙이 있다. 그것은 직접적으로 도에서 비롯하고 발현하는 작용이다. 대순진리회는 인간의 행위에 의해 천지운행의 규칙이 손상을 입었고, 그 결과 상도를 잃었다고 진단한다. 따라서 대순진리회는 인간과 천지에 원래 존재하던 도를 바로 세우는 것에 중점을 두고, 상도를 잃은 천지와 인간의 화해를 시도한다. 요컨대 무너진 신도(神道)의 질서를 바로잡아 만고의 원한을 풀어주는 것이다. 더 나아가 천지도수를 다시 짜는 것으로 상생의 도가 생기게 하고, 인간과 귀신은 자기실현을 통하여 완성에 이룰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인간은 천지와 통할 뿐 아니라 귀신과도 감응한다. 귀신 역시 초월적인 생명 형태로 인간의 심성과 통한다. 이와 관련해 대순진리회는 인간이 귀신의 힘에 의해 좌우지 되는 것이 아니라, 심성의 초월적인 힘을 통해 귀신을 조종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순진리회의 목적은 인심의 수행과 함께 천지자연의 조화에 참여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인간의 심성이 우주적 도의 화신과 합일을 이룸으로써 천지의 신명과도 합일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한 실천과정으로 외적인 의식이나 법술에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심성의 도덕적 수양을 통해 완성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역설한다. 즉, 일심불이(一心不二)의 수행으로써 초월적 심성의 경지에 이르게 되고, 생사의 모순과 여러 가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생사는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과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생을 기뻐할 필요가 없고, 죽음을 슬퍼해야 할 이유도 없다. 오히려 육체를 초월하는 공부를 통해 심성의 에너지를 충만 시키면 죽음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초월할 수 있다. 불로불사란 형체를 가진 육체의 장생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존재의 본질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신적인 차원에서의 영원함을 이루는 것이다. 대순진리회는 정기신을 개발하여 도와 합일하는 경지에 이르고, 인성의 자아실천 작용을 촉발시켜 불로장생의 초월적 경지를 추구한다. 인도(人道)의 윤리실천으로써 천지의 도화(道化)작용과 통하고, 천도의 합일로서 생명존재의 조화와 영원함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인간은 육체적인 생사를 초월한다. 즉, 도인들은 일심을 지킨 수도를 통해 도와 합진(合眞)을 이루는 경지에 이르면, 인간의 개체적 자아를 완성함과 동시에 여러가지 재난과 고통을 피하고 행복한 삶의 가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무소오 소세키(夢窓疎石)의 작정기법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Method of Mus${\bar{o}}$ Soseki)

  • 최미영;홍광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5-53
    • /
    • 2013
  • 본 연구는 무소오 소세키의 작품을 통해서 그의 작정기법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소오 소세키의 삶과 종교관을 통해서 무소오 소세키를 인간적으로, 종교적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그의 작품 가운데 가장 대표적이라고 생각하는 에이호지, 에린지, 사이호지, 텐류지 등 4사찰을 대상으로 무소오 소세키가 추구한 작정관과 작정기법을 찾아보았다. 연구결과, 무소오 소세키는 불교의 선사상을 기본으로, 본인이 터득한 다양한 사상과 철학을 공간구성으로 상징화하고, 석조와 지천이라는 두 가지 정원요소를 통해서 구체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처의 세계를 형상화한 석조와 마음 심(心)모양의 지천 구성기법에서 작정자의 절대적인 종교미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그의 작정기법은 당시 중국을 모티브로 한 일본 정원에서 벗어나, 선 공부를 위한 전용공간, 즉 방장정원을 고안하였으며, 이는 대표적인 일본정원 형식이 되었다. 만약 무소오 소세키의 작정술이 일본정원에 도입되지 않았다면 일본정원은 지금과 같이 상징적 개념을 가진 사유정원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아쉽게 생각하는 것은 또 다른 선승 셋슈와 무소오 소세키를 비교연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 대해서는 다음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지역(地域) 수집종(蒐集種)쑥의 차광재배시(遮光栽培時) 생육특성(生育特性) 및 성분함량(成分含量)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Chemical Components in Shade-cultured Artemisia spp. Collected from different areas.)

  • 노태홍;서관석;심재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05-210
    • /
    • 1994
  • 1. $m^2$당(當) 생체수량(生體收量)은 전남 순천 수집종(蒐集種)이 3,975g으로 가장 많았으며, 충북 옥천 수집종(蒐集種)은 713g으로 가장 적어 5.6배(倍)의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수집종간(蒐集種間)에는 황해쑥이 3,420g, 명천쑥이 3,173g, 실제비쑥은 3,148g 순으로 많았으며, 뺑쑥은 2,093g, 큰제비쪽이 2,078g으로 가장 적었다. 2. 황해쑥과 실제비쑥, 명천쑥은 향미(香味)가 좋고 색택(色澤)은 연녹(軟綠)으로 상품성(商品性)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3. 수량(收量)과 품질(品質)이 좋았던 황해쑥은 철, 마그네슘이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던 반면(反面)에 동은 적게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상품성(商品性)이 가장 뛰어났던 명천쑥과 템쑥은 단백질함량(含量)이 않았던 반면(反面)에 칼슘과 철, 아연이 적 게 함유(含有)되었다. 4. 차광매배시 황해쑥과 실제비쑥의 수양(收量)이 가장 높았고 맛과 색택등(色擇等) 품질(品質)이 우수(優秀)하여 상품성(商品性)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양경(手陽經) 경혈(經穴) 자침(刺鍼)이 백서(白鼠)의 족과 염좌(捻挫) 통증(痛症)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cupuncture applied to Hand Yang Meridian on the Rat Model of Ankle Sprain Pain)

  • 김일;안성훈;구성태;김선영;김경식;손인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1권4호
    • /
    • pp.69-82
    • /
    • 2004
  • Objectives :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EA) applied to hand yang meridian on the ankle sprain model was examined. Methods & Results : A common source of persistent pain in humans is the lateral ankle sprain. To model this condition, the rat's right ankle was bent repeatedly, overextending lateral ligaments, for 4 min under halothane anesthesia. The rat subsequently showed swelling of the ankle and a reduced stepping force of the affected limb for the next several days. The reduced stepping force of the limb was presumably due to a painful ankle. EA was applied to the several acupuncture point on the contralateral forelimb for 30 min under gaseous anesthesia. After the termination of EA, behavioral tests measuring stepping force were periodically conducted during the next 4 h. EA applied to SI-6 point produc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of the sprained foot lasting for at least 2 h. However, neigher LI-4 point nor TE-3 point produced any significant increase of weight bearing force. The improvement of stepping pressure was interpreted as an analgesic effect. The analgesic effect was specific to the acupuncture point since the analgesic effect on the ankle sprain pain model could not be mimicked by EA applied to a nearby point, LI-4 or TE-3. The analgesic effect of EA applied to SI-6 was more powerful when EA was applied by low-frequency and high-intensity stimulation. In addition, this effect need to be stimulated more than 15 min. Conclusions : These data suggest that EA produces a potent analgesic effect on the ankle sprain pain model in the rat. This analgesic effect is produced by applying EA to a Tae-Yang meridian at opposite side from the painful area in a stimulus point-specific way.

  • PDF

경기지방(京畿地方)의 농업공해(農業公害)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제1보(第1報) 황구지천유역(黃口池川流域)의 오수류입답(汚水流入畓)에서 질소수준(窒素水準)과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Agricultural Pollutions in Gyeong Gi Area 1. Effect of Nitrogen Level and Soil Improvement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the Paddy Field Irrigated with Polluted Water of Hwangguji River)

  • 최영진;조광동;박창규;박준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6-122
    • /
    • 1982
  • 1981년(年) 황구지천(黃口池川)의 수질(水質)을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황구지천 유역(黃口池川 流域)의 오수 유입답(汚水 流入畓)에서 주구(主區)로 실소수준(室素水準)을 달리하고 세구(細區)로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의 종류(種類)를 달리하여 수양반응(收量反應)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황구지천(黃口池川)의 수질(水質)은 중류(中流)인 안영리(安寧里)에서 파종기(播種期)에 COD 54ppm, $NH_4-N$는 6.5ppm이고 이앙기(移秧期)는 COD 52ppm, $NH_4-N$ 5.2ppm으로 기준치(基準値)를 상회(上廻)하였다. 수질오염(水質汚染)은 주(主)로 유기성 폐기물(有機性 廢棄物)의 유입(流入)에 의(依)한 것으로 생각된다. 2) 질소적량(窒素適量)은 NPK 3요소(要素)인 표준구(標準區) 7.2㎏/10a에 비(比)하여 가리배양(加里倍量)+규회석(珪灰石)+석회(石灰)+생고(生藁) 500 ㎏/10a인 종합개량구(綜合改良區)는 7.3㎏/10a, 석회구(石灰區)는 7.5㎏/10a, 규회석구(珪灰石區)에서는 8.2㎏/10a로 증가 경향(增加 傾向)이며 황구지천변(黃口池川邊)에서 수도재배시 질소량(水稻栽培時 窒素量)은 $7{\sim}8Kg/10a$가 적양(適量)이었다. 3) 질소적정 사용시(室素適正 施用時)의 수량(收量)은 NPK 3요소(要素)인 표준구(標準區) 569㎏/10a에 비(比)하여 3요소(要素)+석회(石灰)+규회석(珪灰石)+가리배양(加里倍量)+생고(生藁) 500㎏/10a인 종합개량구(綜合改良區) 8%, 석회구(石灰區) 5%, 가리배양구(加里倍量區)에서 4% 증수(增收)하였다.

  • PDF

담수직파재배시(湛水直播栽培時) 질소분시방법(窒素分施方法)에 따른 벼 생육(生育)과 수량성(收量性) (Effect of Nitrogen Split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in Direct Seeding Rice on Flooded Paddy)

  • 유철현;신복우;이상복;이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2-318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벼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시(栽培時) 질소(窒素) 분시방법별(分施方法別) 토양(土壤)의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 함량(含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생육(生育) 및 수양성(收量性)을 검토하고자 호남(湖南) 평야지(平野地) 대표토양(代表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요소(尿素)와 벼 측조시비용(側條施肥用) 완효성복비(緩效性複肥)(LCU)를 공시비종(供試肥種)으로 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시비효율(窒素施肥效率)은 기비(基肥)-3엽기-5엽기-수비(穗肥)에 40-0-30-30%와 70-0-0-30%로 시용시(施用時) 담수표면직파(湛水表面直播)보다 무논 골뿌림재배(栽培)에서 높았고 LCU전양기비구(全量基肥區)에서는 요소(尿素) 시용구(施用區)보다 효율(效率)은 높았으나 파종방법간(播種方法間)에는 요소시비구(尿素施肥區)와 같았다. 2. 정조(精粗)로의 질소전이률(窒素轉移率)은 추비(追肥)중점(0-40-30-30%)을 제외(除外)하고는 분시방법(分施方法) 공히 무논골뿌림재배(栽培)보다 담수표면직파(湛水表面直播)에서 높았다. 3. 무논골뿌림재배시(栽培時) 논 굳힘을 위해 시비(施肥) 1일후 강제(强制) 배수(排水)에 의해 유출(流出)되는 질소량(窒素量)은 0.1134ton/ha이었다. 4.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 토양중(土壤中) $NH_4-N$ 발현(發現) 양상(樣相)은 요소(尿素)로 시용(施用)할 경우(境遇) 담수표면직파(湛水表面直播)보다 무논골뿌림재배(栽培)에서 높았던 반면 LCU시용시(施用時)는 재배법간(栽培法間)에 요소시용시(尿素施用時)와는 상반된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작약 신품종 "의성작약" 의 주요특성 및 수량성 (Plant characters and yield of "Euiseong-Jakyak" a New Paeony Variety)

  • 정상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9-193
    • /
    • 1995
  • 최근(最近) 질병(疾病)의 예방(豫防) 및 치료(治療) 한약재(韓藥材)와 국민건강증진(國民健康增進) 식료품(食料品)으로 수요(需要)가 증가(增加)하고 있는 작업(芍業)의 신품종(新品種) 육성(育成)을 위(爲)하여 경북(慶北) 농촌진흥원(農村進興院)에서는 1987년(年)부터 1993년(年)가지 7개년간(個年間) 국내(國內) 산야(山野)에서 지방재내종(地方在來種)을 수집(蒐集) 공시(供試)하여 순계(純系)를 분리(分離)하고 우량계(優良系) 통(統)에 대(對)한 생산력검정(生産力檢定)과 지방적응성(地方適應性) 및 농가실증시험(農家實證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기존(旣存)의 지방재래종(地方在來種)보다 양질다수성(良質多收性)인 의성작업(義城芍業)을 육성(育成)하였던바 그 主要特性(주요특성)과 수량성(收量性)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의성작업(義城芍業)은 홀꽃의 적색(赤色)으로 풍기재래종(豊基在來種)에 비(比)해 맹아수(萌芽數)와 근수(根數)가 많고 줄기도 굵으며 뿌리도 직근(直根)이어서 초기생육(初期生育)이 왕성(旺盛)하여 양질(良質)의 생약재생산(生藥材生産)에 유리(有利)한 품종(品種)이었다. 2. 출현기(出現期)와 개화기(開化期)가 빠르고 경장(莖長)이 짧으며 주당(株當) 경수(莖數)와 근수(根數)가 많아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으로 유망시(有望視)되었다. 3. 일반적(一般的) 품질(品質) 특성상(特性上)으로 의성작업(義략城릇芍)은 근육색(根肉色)이 백색(白色)이고 직근(直根)이며, Paeoniflorin 함량(含量)도 높았다. 4. 화학적(化學的) 품질특성상(品質特性上)으로는 풍기재내(豊基在來) 대비(對比) 총당(總糖)은 12.22%, 전분(澱粉)도 9.8%나 많았으며 조단백(粗蛋白)과 조회분(粗灰分)은 대등(對等)하였고 조섬유(粗纖維)는 1.17% 적었다. 5. 의성작업(義城芍業) 병충해(病蟲害) 및 도복성(倒伏性)도 대비(對比) 품종(品種)인 풍기재래종(豊基在來種)보다 강(强)하였다. 6. 10a당(當) 수량성(收量性)으로 볼때 의성작업(義城芍業) 대비(對比) 품종(品種)보다 생산력검정시험(生産力檢定試驗)에서 총수량(總收量)은 42%, 상품수량(商品收量)은 13% 많았고, 지성적응시험(地城適應試驗)에서 각각(各各) 32%, 17% 증수(增收)되었고 농가실증시험(農家實證試驗)에서도 총수량(總收量)은 27%, 상품수양(商品收量)은 19% 증수(增收)되는 양질(良質)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이다.

  • PDF

백가수도의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Cyanachum wilfordii)

  • 최인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9-215
    • /
    • 1995
  • 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백하수오(白何首烏) 재배시(栽培時) 적정(適正) 재식밀도(栽植密度)를 구명(究明)하고자 충북(忠北) 지방(地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10a당(當) 시비(施肥)는 웅비(施肥) 1,000kg, N-P-K=8-4-4kg을 전량(全量)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였다. 처리(處理)는 휴폭(畦幅)을 주구(주구)로, 주간(株間)을 세구(細區)로 하여, 휴폭(畦幅)은 40, 50, 60cm, 주간(株間)은 10, 15, 20cm로 하여 분류구배치(分劉區配置) 3반복(反復)으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5월(月) 25일(日)로 처리간(處理間)에 차이가 없이 균일(均一)하였다. 2. 위장(萎長)은 휴폭간(畦幅間)에서 40cm는 219cm, 50cm는 220cm, 60cm는 225cm 였으나, 주간(株間)에는 10cm에서 225cm, 15cm는 219cm, 20cm는 218cm로 주간(株間)이 좁을수록 길었으며, 엽수(葉數)는 양장(養長)과 같은 경향(傾向)으로, 주간(株間)이 좁으면 엽수(葉數)는 증가(增加)되었다. 3. 근장(根長)은 휴폭(畦幅) 40cm에서 24.5cm, 50cm는 24.6cm, 60cm는 24.2cm로 큰 차이가 없으나, 주간(株間) 10cm에서 23.5cm, 24.4cm, 20cm는 24.9cm로, 주간(株間)이 넓을수록 $0.9\sim1.4cm$가 길었으며, 근수(根數)는 $1.2\siml.4$ 개(個)로 처리간(處理間)에 큰 차이가 없는 경향(傾向)이었다. 4, 10a당(當) 수양(收量)은 휴폭(畦幅) 40cm의 395kg/10a에 비(比)하여 50cm는 11%, 60cm는 4%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으나, 주간(株間) 10cm의 495kg/10a에 비(比)하여, 15cm는 17%, 20cm는 32%가 각각(各各) 감수(減收)되어, 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백하수오(白何首烏) 재배시(栽培時) 재식밀도(栽植密度)는 휴폭(畦幅) 50cm, 주간(株間) l0cm로 재배(栽培)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황산수를 사용한 저속 습식 마쇄법에 의한 순환잔골재의 최적 마쇄조건 (Optimum Abrasing Condition for Recycled Fine Aggregate Produced by Low Speed Wet Abraser Using Sulfur)

  • 김진만;김하석;박선규;김봉주;곽은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557-563
    • /
    • 2008
  • 순환잔골재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습식공정에서 사용되는 파 분쇄 방법만으로는 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시멘트페이스트 성분을 효율적으로 떨어내지 못하며, 씻기 작업에 사용되어지는 세척수는 씻기 작업 후 별다른 처리 없이 순환하여 사용되어 지고 있기 때문에 칼슘 성분을 다량 함유한 pH $12{\sim}13$의 고알칼리성수로 변화된다. 따라서 골재 내 폐모르타르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할 뿐더러 용수 또한 지정폐기물로 분류되어 방류 시 별도의 처리를 해야만 하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순환골재 생산 방식 중 문제시 되어온 파 분쇄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강알칼리수를 중화시켜 순환골재의 품질기준에 만족하는 순환잔골재의 최적 생산조건에 대하여 실험적 및 통계적으로 검토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순환잔골재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세척수양, 피분쇄물인 굵은골재량, 마쇄시간을 실험인자로 선정한 후 실험계획법에 의하여 순환 잔골재와 물비, 순환 잔골재와 굵은 골재비 및 마쇄시간에 대하여 그 유효성을 검토하였으며, 품질규격에 적합한 순환잔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마쇄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순환골재의 품질기준에 만족하는 순환잔골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연구결과, 물비, 굵은골재비, 마쇄시간 변화에 따른 순환잔골재 품질 변화는 마쇄시간이 밀도 변화에 있어 마쇄조건 중 가장 유효하며 물비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쇄시간 15분, 굵은골재비 1.0 이상이 목표품질 절건밀도 $2.5\;g/cm^3$ 이상 흡수율 3% 이하의 골재를 생산하는데 최적조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경호무도 구성원리의 미학적 탐색 (A Study of Aesthetical Value of Composition Principle on Security Guard Martial Arts)

  • 김평수;임대용;손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25호
    • /
    • pp.131-14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그간 사회의 요구로 인하여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경호 경비학의 전공과목으로서 무도의 역사와 함께하는 경호무도의 학문적 체계 정립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경호무도의 철학적 가치 연구를 위하여 그 한 방법으로 경호무도 구성원리 내에서 발견될 수 있는 미학적 가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호무도관련 학위논문 및 무도와 미학 관련 문헌을 광범위하게 조사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학의 개념과 무도에서의 미학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경호무도 수련자의 반복 수련을 통한 기술습득과 경호원의 실제현장에서의 기술구사능력이 미학적 구성요소에 대한 체험을 가능하게 하고 심미적 감흥을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경호무도는 상대성 반복성 정신수양 신체일치성 힘의 방향 충격의 강화 및 완화 힘의 극대화 중심자세와 타격점 호흡조절 및 정신집중 등 그 구성원리를 따라 완성되어가는 기술연마 과정 속의 심미적 요소들로 인하여 미학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