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식어표현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he Modification Scope Analysis of the Embedded Sentences in Korean and Japanese Machine Translation (한일 기계번역을 위한 보문의 수식 Scope 해석)

  • Lee, Soo-H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346-350
    • /
    • 1996
  • 한일 양언어의 복합문은 여러가지의 통어 현상을 가지며, 주어, 목적어 등의 생략 현상으로 문장의 표층상에 나타나지 않는 것이 있기 때문에 수식구조의 처리가 복잡해지고, 구문해석에 있어서 애매성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PN에 의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의 수식 scope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한일 양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한국어와 일본어의 보문을 표현형식으로 나타내고, 동사의 격정보로부터 DPN을 구성하여 DPN상에서 보문의 수식 Scope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 PDF

한국어 부사어의 분류와 분포 제약

  • 채희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1.06a
    • /
    • pp.95-96
    • /
    • 2001
  • 문장에서 술어를 수식하는 대표적인 표현은 부사어이다. 부사어는 일반적으로 문장 구성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지 않는 첨가어(adjuncts)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보충어(complements)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이루어진 분야이다. 그렇지만 부사어는 피수식어의 의미를 구체화/한정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어순, 호응(concord)등의 통사적 현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이러한 부사어를 통사적, 의미적 기준에 의해 정확하게 분류하고 그들의 분포제약을 밝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부사어와 관련된 통사 현상으로, 부사어와 피수식어의 공 기(co-occurrence)관계 및 부사어와 술어 어미의 호응 관계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려고 한다. 부사어는 통사적인 기준과 의미적인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손남익 1995, 김경훈 1996, 임유종 1998). 통사적 기준으로는 단어나 구를 수식하는 성분부사와 문장을 수식하는 문장 부사로 나누는 방법과 위치에 대한 제약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제약부사와 자유부사로 나 누는 방법이 있다. 이 두 통사론적 기준에 의해 분류되는 부사들은 서로 어떤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장부사는 문두에 놓여야 한다는 위치적 제 약 이 있기 때문에 제약부사로 분류된다. 의미적 기준으로 부사어를 분류할 수도 있는데, 시간/ 공간 부사어, 양태/정도 부사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의미적 기준에 의해 분류된 부사어는 통사적 기준에 의해 분류된 것들과는 어떤 상호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일 반적으로 시간부사와 장소부사는 자유부사에 속하며 양태부사와 정도부사는 제약부사에 속 한다. 부사어와 피수식 요소와의 통사적 공기 관계 및 의미적 관계 그리고 그와 관련된 문 법 현상도 연구의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 부사들이지만 “*순이는 빨리 과연 달린다”에서 볼 수 있는 종류의 분포적 특성을 알아 볼것이다 (심재기 1982, 송 철의 1989). 또한 “길이/*길게 빛나다”와 “*길이/길게 드리워졌다”와 같은 대조에서 나타나는 통사, 의미적 기능의 상관 관계 및 제약들의 상호 작용도 살펴 볼 것이다.

  • PDF

Mathematical Equation Retrieval by Converting Plaintext Queries into MathML Terms (평문 질의어 MathML 용어 변환을 이용한 수학식 검색)

  • Lee, Jun-Young;Yang, Seon;Ko, Young-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312-314
    • /
    • 2012
  • 본 논문은 한글로 입력된 질의어를 이용하여 웹상의 MathML (Mathematical Markup Language) 수학식을 검색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웹상의 수학식은 과거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대부분 MathML과 같은 수학식 표현 마크업 언어로 작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식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해당 언어를 알고 있거나 수식 입력 툴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수학식 검색을 하는 데에는 제약점이 따랐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이 전통적인 검색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마크업 언어가 아닌 일반 평문으로 작성된 질의어를 입력하여 수학식을 검색 가능 하도록 하기 위해, 평문 질의어를 MathML 표현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질의어로 입력될 수 있는 다양한 수학식 표현을 미리 구축한 사전을 이용하여 MathML 표현으로 변환하는 간결한 기법만으로도 MRR 0.495 의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융합설계

  • Kim, Yong-Se
    • Journal of the KSME
    • /
    • v.53 no.3
    • /
    • pp.32-35
    • /
    • 2013
  • 이번 기계저널 테마기획의 주제는 융합설계이다. 설계 자체가 바로 융합적인 성격인데, 여기에 수식어로 융합을 또 더했다. 요즈음 기술개발의 여러 분야에서 융합이란 표현이 많이 사용된다. 융합설계에서의 융합은 다학제간의 융합이란 의미를 말한다. 따라서 영어로 표현하자면 Interdisciplinary Design이란 의미인 것이다.

  • PDF

A Treebank-Based Approach to Preferred Nominal Words in Grammatical Relations and their Semantic Types (구문분석 말뭉치를 이용한 문법 관계의 선호 체언 어휘와 의미 유형 연구)

  • Hong, Jungh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8.10a
    • /
    • pp.35-41
    • /
    • 2008
  • 이 논문은 각 문법 관계(grammatical relation)에서 선호되는 체언 어휘를 파악하고, 이 어휘들의 의미적 유형 및 그 위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80만 어절의 21세기 세종계획 구문분석 말뭉치에서 그 분포를 추출하고, 통계적 검증을 통해 각 문법 관계에서 선호되는 체언 어휘를 선별한다. 이 연구에서 관찰하는 문법 관계는 주어, 목적어, 용언수식어로 하며, 이들 문법 관계에서 선호되는 어휘 추출 대상 품사는 대명사, 고유명사, 일반명사로 한다. 한정성의 강도에 따라 주어 분포 경향이 나타나며, 이에 따라 대명사 > 고유명사 > 일반명사 순으로 주어 분포 경향이 나타난다. 그러나 일반적 예측과 다르게 한정성의 강도가 더 강한 것으로 알려진 대명사가 고유명사보다 목적어와 용언수식어에서 분포 경향이 더 강하여, 일반명사 > 대명사 > 고유명사의 순으로 분포 경향이 나타난다. 대명사, 고유명사, 일반명사는 공통적으로 주어에서는 사람 지시어, 목적어에서는 사물과 장소 지시어, 그리고 용언수식어에서는 시공간 표현이 선호되어 분포한다. 특히 대명사는 각 문법기능에서 인칭대명사의 경우 인칭에 따라, 그리고 지시대명사의 경우 원근칭에 따라 선호도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체언 어휘의 의미적 분포 특성은 문법 관계에 통사적 기능 외에도 의미적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 PDF

Sign Language Generation with Animation by Adverbial Phrase Analysis (부사어를 활용한 수화 애니메이션 생성)

  • Kim, Sang-Ha;Park, Jong-C.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27-32
    • /
    • 2008
  • Sign languages, commonly used in aurally challenged communities, are a kind of visual language expressing sign words with motion. Spatiality and motility of a sign language are conveyed mainly via sign words as predicates. A predicate is modified by an adverbial phrase with an accompanying change in its semantics so that the adverbial phrase can also affect the overall spatiality and motility of expressions of a sign languag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emantic features of adverbial phrases which may affect the motion-related semantics of a predicate in converting expressions in Korean into those in a sign language and propose a system that generates corresponding animation by utilizing these features.

  • PDF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Design Modifier appearing in Korea and Japan in the Overseas Licensed Fashion Magazine 『VOGUE』 (해외 라이선스 패션잡지 『VOGUE』에 나타난 디자인 수식어표현의 한일 비교 연구)

  • Yum, Haejung;Kim, Eunjung;Kim, Jiseon;Kim, Chorong;Chung, Sungsuk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18 no.4
    • /
    • pp.45-65
    • /
    • 2014
  •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identity of each country is emphasized among the new cultural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Leading world-wide trends, overseas licensed fashion magazines have expressed characteristics close to the culture and lifestyle of each country at the same time. The goal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finding out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overseas licensed fashion magazine, or if the content would be compared 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criteria of the country they were published in. To accomplish this, we extracted the color, material and modifier from the scripts of the Korean and Japanese editions of VOGUE published during S/S in 2012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spects of color, fabrics and modifier between Japan and Korea. There were common but also unique characteristics, as the issues of VOGUE KOREA and VOGUE JAPAN published during the research period had modifier to fit each season and trend, the emergence of color and fabric. Especially, the kind and frequency of color, fabric and modifier could be considered as expressing their own unique fashion culture. In case of Korea, maximal with colorful and decorative image is especially strong, while in Japan the soft and gentle feminine image was rather strong.

Korean-Japanese Comparative Study on Material Related Modifier which is Represented in Oversea Licensed Fashion Magazine 『VOGUE』 (해외 라이선스 패션잡지 『VOGUE』에 나타난 소재 관련 수식어표현의 한일 비교 연구)

  • Yum, Haejung;Kim, Eunjung;Kim, Jiseon;Kim, Chorong;Chung, Sungsuk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18 no.5
    • /
    • pp.116-133
    • /
    • 2014
  •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garment which are 'written(or described)' in fashion magazines. With examples particularly of Korea and Japan, this study aims at pointing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escribed by modifier in oversea licensed fashion magazine. It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to provide fundamental document, which can estimate the aspects of fashion that has global features and localized characteristics. This is a follow-up of a previous study, covering its range of "Vogue Korea" and "VOGUE Japan" research document, and we researched on the materials that have been mentioned most frequently in each country from May to August of 2012. To target analyzing list of top 6 material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d of material represented by Korean and Japanese fashion magazines and modifier's properties. As established in the previous study, to designate each contrary concept to a total of 8 groups as an analyzing frame, we researched the properties of each material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Sijo Works seen in terms of Sentence Structure (문장구조에서 본 현대시조 연구)

  • Im, Jong-Chan
    • Sijohaknonchong
    • /
    • v.25
    • /
    • pp.5-27
    • /
    • 2006
  •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how sijo works, including ancient sijo works, those published before the 1960s, those written by China-residing Koreans, and those published in the 2000s, convey the poetic meaning in terms of sentence structure. Firstly, ancient sijo works, those published before the 1960s, and those written by China-residing Koreans, have sentences. whose meaning the readers can easily grasp, with simple structures and little rhetoric words. But moderns works published In the 2000s (modern sijo works after) are mingled with too many rhetoric expressions, sometimes misused. Secondly, ancient sijo works, those published before the 1960s, and those written by China-residing Koreans, having a clarified subject-verb context. are easily understood by the readers. But, in modern sijo works, there are many cases with an unclarified subject-verb context and redundant rhetoric words, which will cause mis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work. Thirdly, in ancient sijo works. those published before the 1960s and those written by China-residing Koreans, each of the three statements (called in) in a stanza is separate from the others in context. But, in some modern sijo works, the first and second statements (called chojang and jungjang) fall into just rhetoric parts for the last statement (called jongjang), and each of them is not read as an independent statement. Fourthly, there are some cases whose forms are distant from those of siio works. but are written in three statements like traditional sijo works. Regular poems, though written in regular rhythm, should be also acoustically regular. Sijo works should be easily understood when recited. If not, they are basically far from sijo works. If modern sijo works should overcome their easy expressions and simplicity of themes, they should be composed through using not complicated sentence structures but brand-new metaphors, clear images, and fresh themes.

  • PDF

On the development of a computational lexical database of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frmework of 21st Sejong Project (21세기 세종계획 관용표현 전자사전 구축에 대하여)

  • Pak, Man-Ghyu;Yi, Sun-Woong;Na, Yun-Hee;Lee, Kwang-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334-340
    • /
    • 2001
  • 본고는 올해 처음 시도하는 세종계획 관용표현 전자사전 구축에 관한 글이다. 본 전자사전이 완성되면 관용표현의 총체적 정보(형태, 통사, 의미, 화용 정보)를 수록하는 최초의 업적이 될 뿐만 아니라 실제 언어 자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습적 표현까지 모두 포괄하는 4만 표제어의 대규모 사전이 될 것이다. 본 사전에서는 관용표현의 형태 통사적 구성과 그 분포적 속성뿐 아니라, 관용표현이 가지는 논항의 존재 유무, 구조, 조사 통합 양상, 그리고 고정명사에 대한 수식어 제약, 어휘적 통사적 변형 양상, 선어말어미 제약, 어말어미 제약, 문장 유형 제약 등이 수록된다. 또한 각 논항의 의미역과 선택제약에 관한 정보, 그 외 다양한 의미 화용 정보 어원 표기 정보 등도 담기게 된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정보의 표기 양식을 하나하나 명시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