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분 안정성

검색결과 595건 처리시간 0.028초

Polycaprolactone이 PEG/HMX 추진제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caprolacton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EG/HMX Propellant)

  • 정병훈;홍명표;임유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62-69
    • /
    • 1998
  • Polycaprolactone (PCP)과 coupling agent로 silane 유도체를 polyethylene glycol(PEG)/cyclo-tetramethylene tetranitramine(HMX) 추진제에 첨가하였을 때 추진제의 기계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PEG의 일부를 Polycaprolactone(PCP)으로 대체 사용하면 추진제의 기계적 성질은 증가하였으며, PCP/HMX 추진제는 PEG/HMX보다 최대 인장 강도가 17%, 최대 응력하의 신율은 59% 증가하였다. 그러나 PCP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에 대한 안정성은 저하됨을 $40^{\cire}C$의 온도와 90% 상대 습도 분위기에서 보관된 추진제의 경도 변화와 PEG/PCP바인더의 부피 팽윤 실험에 의해 알 수 있었다. 또한 PEG/PCP/HMX 추진제를 $60^{\cire}C$에서 가속 노화시키면 triethoxysilyl propionitrile(TESPN)과dinitrosalicylic acid((DNSA) 함량이 증가할수록 추진제의 경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를 위한 자외선 및 수분 안정성 향상 전략 (A Brief Review on Strategies for Improving UV and Humidity Stability of Perovskite Solar Cells Towards Commercialization)

  • 황은혜;권태혁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49-55
    • /
    • 2022
  • With rapid growth in light-harvesting efficiency from 3.8 to 25.8%,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solar cells (PSCs) have attracted great attention as promising photovoltaic devices. However, despite of their outstanding performance, the commercialization of PSCs has been suffered from severe stability issues, especially for UV and humidity: (i) UV irradiation towards PSCs is able to lead UV-induced decomposition of perovskite films or catalytic reactions of charge-transporting layers, and (ii) exposure to surrounding humidity causes irreversible hydration of perovskite layers by the penetration of water molecules, resulting considerable decrease in their power-conversion efficiency (PCE). This review investigates current status of strategies to enhance UV and humidity stability of PSCs in terms of UV-management and moisture protection,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multifunctional approach to increase long-term stability as well as performance is discussed as advanced research direction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PSCs.

고온처리 및 방사선 조사가 미강 지방질의 가수분해 및 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Irradiation on Lipid Hydrolysis and Oxidation of Rice Bran)

  • 황금택;정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28-934
    • /
    • 1996
  • 미강을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거나, 고온처리 또는 방사선 조사하여 저장하면서 수분 및 유리지방산 함량, peroxide value (POV)등의 변화를 측정하여 미강 지방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무처리 미강을 $-15^{\circ}C,\;4^{\circ}C,\;37^{\circ}C$및 실온$(15-30^{\circ}C)$에 저장하였을 때, 수분은 초기에 약 14%이었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수분 손실이 많았고, $37^{\circ}C$에서 80일 저장시 수분이 9%로 되었다. 유리지방산은 초기에 약 2.5%이었으며 저장중 $-15^{\circ}C$에서는 거의 일정하였으나 그외의 온도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현저히 증가하여 $37^{\circ}C$에 80일 저장하였을 때 약 9배 정도 증가하였다. POV는 $37^{\circ}C$ 이외의 온도에서 약 80일 저장한 미강의 경우에 초기보다 약 2배 증가하였는데 $37^{\circ}C$에 저장한 미강의 경우에는 5배 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미강을 $70^{\circ}C,\;90^{\circ}C,\;105^{\circ}C$에서 열처리하여 $37^{\circ}C$에서 2주간 저장하였을 때 수분은 열처리 온도가 높고 시간이 길수록 저장 후에 수분함량이 낮아졌다. 미강을 $90^{\circ}C$에서 2시간 또는 $105^{\circ}C$에서 1시간 이강 열처리했을 때 유리지방산의 생성이 저지되었으며, 미강 지방의 POV는 열처리에 의해서 특이한 변화가 없었다. 미강을 1-30 kGy의 방사선 조사를 하여 $5^{\circ}C$$30^{\circ}C$에 4주간 저장하였을 때 수분은 방사선 조사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리지방산은 10 kGy까지 큰 차이가 없었으나 30 kGy 처리한 미강은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약 1.5배 정도 증가하였으나 저장 중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 조사 직후의 POV는 방사선 조사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여 30 kGy의 경우에 무처리보다 약 4배 정도 높았으나, 저장 중에는 방사선 조사한 미강의 경우에 POV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Phyllite를 이용한 퇴비 시용에 따른 토양 특성 변화 및 작물에 대한 효용성 평가 (Changes of Soil Properties and Evaluation of Plant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ompost Used with Phyllite)

  • 박영희;장기운;홍재구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2호
    • /
    • pp.92-99
    • /
    • 2002
  • 본 연구는 phyllite를 수분조절제로서 이용한 퇴비에 대하여 작물에 대한 효용성 평가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hyllite 퇴비의 물리성과 화학성 및 부숙도와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작물재배시험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변화의 실험결과 상추 및 열무의 생육 및 수확량은 PSPC10에서는 20 Mg/ha의시용량이, PSPC20에서 10 Mg/ha이 가장 좋았으며 다른 비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변화는 퇴비의 EC값이 높기 때문에 시비한 토양의 EC가 초기보다 높게 상승하였으며, 퇴비의 40 Mg/ha을 처리한 토양에서는 EC 값이 2dS/m 이상으로 나타났다. 공시작물인 열무와 상추의 재배시험에서는 상추의 경우가 유효인산 및 EC가 크게 증가하였다. 열무의 경우는 질소, 유기물과 EC의 함량은 시험전보다 감소하였으며 이것은 열무의 질소 이용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토양 물리성의 변화는 phyllite의 첨가량이 많은 퇴비일수록 용적밀도가 낮아지며 토양의 수분보유력이 증가하였다. phyllite를 이용한 퇴비를 토양에 시용하였을 경우 작물의 비해는 없었으며, 토양의 이화학적인 특성변화에서도 우려할 만한 사항은 없는 것으로 보아 phyllite를 이용한 퇴비의 활용기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 PDF

추출 pH가 분리대두단백질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Extraction pH on the Functionality of Soybean Protein Isolate)

  • 배송환;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7-56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산성(pH 2.0, 3.0), 중성(pH 7.0) 및 알칼리성(pH 10.0, 12.0)영역에서 각각 추출된 SPI들의 기능성을 상호비교하였다. pH 3.0에서 추출된 SPI의 단백질함량은 93.31%로 최고값을, pH 7.0에서 추출된 SPI의 단백질함량은 73.93%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pH 3.0에서 추출된 SPI의 추출수율은 0.36%로 최소값을, pH 12.0에서 추출된 SPI의 추출수율은 47.54%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SPI의 기능성(용해도, 수분흡수력, 유지흡수력, 기포형성력, 기포안정성, 유화형성력 및 겔형성력)은 대두단백질 추출시 추출용액의 pH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다. pH 2.0과 3.0에서 추출된 SPI의 용해도는 산성영역에서 크게 나타났고 pH 3.0과 7.0에서 추출된 SPI는 중성 영역에서 높은 용해도를 보였으나 pH 2.0, 3.0, 7.0, 10.0 및 12.0에서 추출된 SPI는 모두 알칼리성 영역(pH 9.0-10.0)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pH 2.0과 pH 12.0에서 추출된 SPI의 수분흡수력, 유지흡수력, 기포형성력 및 기포안정성은 다른 pH에서 추출된 SPI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유화력의 경우 추출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유화력이 증가하였다.

  • PDF

우렁이 생체 및 가공제품의 저장안정성 조사 (Preservative Safety Analysis of the Fresh Apple Snails and their Processing Products)

  • 오병태;강성원;최성길;허호진;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0-346
    • /
    • 2008
  • 저장안정성을 검토하여 품질개선방안을 확립하고자, 우렁이 생체 및 반건조 우렁이 제품을 저장하는 기간중, 처리조건별 미생물의 경시적 변화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우렁이의 초기 총균수(${\log}_{10}\;CFU/g$)는 5.6으로 나타나 식품가공과 유통을 위해서는 살균처리가 필수적이라고 판단되었다. 염침지농도, 건조온도, 건조시간에 따라 우렁이 생체의 조직감, 수분활성도, 건조 특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기 때문에 가공 시에 약 10%의 염농도를 가진 침지액에 침지한 후 냉풍 건조하여 처리하여 저장성이 뛰어난 반건조제품을 제조하였다. 천연 보존제 및 연화제를 첨가하여 진공 포장하여 미생물 검사를 한 결과, 총균수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장균, 효모 및 곰팡이, 호염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가공처리 후 필수적으로 진공 포장을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천연 식품첨가물의 첨가시 우렁이 중간수분식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에, 가공시에는 파인애플 착즙액을 원료 대비 5% 첨가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결과 개발된 우렁이 가공품은 우렁이가 함유한 여러 생리활성기능(항산화, 항염 및 간기능 개선)의 건강식품 이미지를 살리면서 우렁이를 주원료로 한 반건조 제품, 통조림, 건강음료, 분말 등 가공품의 품질특성을 부여된 가공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포스파젠 고분자의 친수성 겔을 이용한 효소의 고정 (Enzyme Immobilization with Polyphosphazene Hydrogels)

  • 권석기;음성진
    • 공업화학
    • /
    • 제5권2호
    • /
    • pp.321-326
    • /
    • 1994
  • 에테르기를 가진 수용성 포스파젠 고분자를 감마광선에 노출시켜 좋은 수분-팽윤도를 가진 친수성 겔을 만들었다. 이 친수성 겔들의 물리적 강도가 감마광선의 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었다. 트립신과 수용성 포스파젠 고분자를 함께 감마광선에 쪼여 트립신을 겔의 망 사이로 고정시켰다. 고정된 트립신의 활성도는 N-${\alpha}$-benzoyl-1-arginine-p-nitroanilide와 반응시킨 후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고정된 트립신은 적어도 500시간 후에도 상당히 좋은 활성도 수율과 안정도를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 PDF

물리적 처리조건 변화에 따른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 유래 안토시아닌 함량변화 특성 (Changes in Anthocyanin Content of Aronia (Aronia melancocarpa) by Processing Conditions)

  • 김보미;이경민;정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2-159
    • /
    • 2017
  • 식품의 가공 시 농축, 건조, 살균 등을 목적으로 가열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다양한 원료가 혼합될때 원료 본연의 pH는 타 혼합원료의 영향으로 변화되게 된다. 본 연구는 아로니아의 가공조건에 따른 안토시아닌의 함량감소에 영향에 미치는 인자인 온도, pH, 가온시간, 수분함량 및 citric acid 첨가 등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감소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가공공정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는 pH, 온도, 가온시간, 수분함량이 가장 영향을 주었다. 아로니아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산성에서 안정하다고 보고된 바가 있으나, 수분함량 9%이하의 분말의 경우 pH 6이하에서는, 가열온도와 시간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감소가 고수분함량 시료에 비하여 적었다. 가열온도에 따른 총 안토시아닌 함량변화는 $40^{\circ}C$이하에서는 안정한 편이나, $40^{\circ}C$ 이상 $60^{\circ}C$는 감소속도가 서서히 증가하고, $60^{\circ}C$ 이상에서 급격하게 감소속도가 증가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열풍순환건조기를 이용한 건조에서 건조효율을 참작한 적정최저온도라 할 수 있는 $65^{\circ}C$에서 수분함량 9%의 아로니아 분말은 40시간 가열처리로 50%가 소실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로니아를 건조할 때 유효성분인 안토시아닌의 감소를 억제하기 위하여 가열온도를 $40^{\circ}C$ 이상에서 장시간 건조하지 않아야 함을 나타낸다. Juice 상태의 $65^{\circ}C$ 수용액 중에서는 10시간 만에 50%가 감소되었으며, juice 상태의 $85^{\circ}C$ 수용액 중에서는 4시간만에 50%가 감소되었다. 저수분 함유 조건에서 아로니아 분말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온도 및 시간 변수가 가장 큰요인이며, 이러한 요인은 아로니아 뿐만 아니라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과일류에 공통으로 적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아로니아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분석은 이전부터 사용하던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방법은 최근 방법인 LC-MS/MS 분석법에 비하여 신속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안토시아닌 종류(Cyanidin-3-Galactoside, Cyanidin-3-Glucoside, C3-Arabinoside)별 함량의 구분도 불가능하다. 이러한 분석의 어려움으로 2013년, 2015년 특허(Jang and Park et al., 2013; Lee and Jung et al., 2015)에서도 아로니아에 함유된 주종 안토시아닌으로 Cyanidin-3-glucoside를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LC-MS/MS 분석결과 아로니아에 함유된 주종 안토시아닌은 Cyanidin-3-galactosid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호숙기와 황숙기 멥쌀을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Dough Ripe Stage Rice and Yellow Ripe Stage Rice)

  • 박소라;이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3-359
    • /
    • 2013
  • 쌀의 미성숙상태의 whole grain인 dough ripe stage rice(DRSR, 호숙기)와 yellow ripe stage rice(YRSF, 황숙기) flours의 호화특성을 분석하고, 각각 30% 첨가한 백설기를 제조하여 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RVA 분석 결과, 30% DRSR와 YRSR flour은 완숙기 멥쌀(FRSR, control) flour 보다 호화 속도와 호화액의 안정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RSR과 YRSR을 중량대비 30%를 첨가하여 제조한 백설기의 수분함량은 DRSR와 YRSR flour 자체의 낮은 수분함량에 의해 완숙기(FRSR, control) flour로 제조된 백설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백설기의 색도는 강한 greenness와 yellowness가 나타났는데, 이는 DRSR와 YRSR flour자체의 고유색에 의해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조직감의 경우,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와 resilience는 30% DRSR와 YRSR를 첨가한 백설기가 control보다 낮게 분석되었는데, 이는 DRSR과 YRSR 자체의 낮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백설기 제조 시 위의 조직감 특성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검사 결과, 30% DRSR와 YRSR 백설기의 green color와 greenish taste는 DRSR와 YRSR 고유의 색과 향에 의해 cont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30% DRSR 백설기가 가장 높았으나 control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미성숙 전곡립 DRSR를 30% 첨가하여 백설기를 제조한다면 색과 맛 그리고 향이 부여되며 전반적인 기호도가 완숙기 일반 멥쌀로 제조한 백설기와 유사하여 백설기의 부재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 제시된 결과들은 제조당일의 백설기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 앞으로 저장기간을 통한 백설기의 노화에 관한 품질특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양생방법에 따른 고결모래의 일축압축강도 특성 (Effect of Different Curing Methods on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ed Sand)

  • 박성식;김기영;최현석;김창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C호
    • /
    • pp.207-215
    • /
    • 2009
  • 시멘트 혼합토나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습윤상태를 유지하면서 양생이 되며 양생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수화작용으로 강도는 증가한다. 하지만 양생기간 동안 시멘트 혼합토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이는 수화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시멘트 혼합토의 강도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비가 20% 미만인 시멘트 혼합토가 현장에서 시공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분공급 조건을 고려하여 네 가지 양생방법(대기중 양생, 밀봉 양생, 습윤 양생, 수중 양생)으로 제작된 고결모래의 양생조건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전기간(3일) 대기중 양생한 공시체의 강도는 시멘트비가 10% 미만인 경우 밀봉 및 습윤 양생한 공시체보다 크지만 시멘트비가 10% 이상인 경우는 더 작았다. 시멘트비에 관계 없이 대기중 양생한 공시체가 수중 양생한 공시체보다 더 큰 강도를 발휘하였다. 양생방법이 동일한 경우 시멘트비 4%의 강도를 기준으로 시멘트비 증가에 따른 강도 증가율은 대기중 양생한 공시체가 가장 낮았으며, 밀봉, 습윤 및 수중 양생한 공시체의 강도는 시멘트비 증가율의 제곱으로 증가하였다. 공시체를 2일 양생 후 1일 동안 수침시켰을 때 밀봉 또는 습윤 양생한 공시체의 강도는 수침시키지 않은 공시체보다 시멘트비에 관계없이 평균 10% 정도 저하되었으나, 대기중 양생한 공시체는 시멘트비가 낮은 경우 최대 30% 정도까지 크게 저하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수분공급 조건과 수침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강도 변화를 예측하여 시멘트 혼합토를 사용한 댐과 같은 지반구조물의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