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분섭취량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2초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 성인과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 성인의 신체활동 및 영양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 (Study of Physical Activities and Nutrient Intakes of Adults with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and those with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 한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043-7052
    • /
    • 2015
  • 본 연구는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과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을 구분하여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과 영양소들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대상자들은 2013년 1월-12월까지 실시한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참여한 대상자들이며 복합표본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은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에 비해 1주일 동안의 유연성 운동일수(Odds ratio (OR)=1.18, 95% confidence interval (95% CI)=1.01-1.38), 수분 섭취(OR=1.04, 95% CI=1.01-1.06)및 단백질 섭취량(OR=1.07, 95% CI=1.02-1.13)이 높고, 지방(OR=0.99, 95% CI=0.98-1.00)과 탄수화물(OR=0.98, 95% CI=0.97-0.99)의 섭취량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비만 성인에 대한 간호중재는 대사적 상태에 따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대식세포에서 IRAK-4신호조절을 통한 기장(Panicum miliaceum L.)의 항염증능에 관한 연구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Hog Millet (Panicum miliaceum L.) in Murine Macrophages through IRAK-4 Signaling)

  • 박미영;김재현;박동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8-272
    • /
    • 2011
  • 전곡류의 섭취와 만성질환의 유병율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 지방축적억제능이 우수한 소재로 선정된 기장의 항염증능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AW264.7 세포에 기장열수분획($1\;{\mu}g/m\ell$$10\;{\mu}g/m\ell$)과 lipopolysaccharide(LPS)를 함께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시켜 염증매개인자들의 분비량 및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LPS 자극에 대한 첫 번째 신호전달인자로 알려져 있는 interleukin-1 receptor associated kinase-4(IRAK-4)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기장의 열수분획($10\;{\mu}g/m\ell$)은 LPS로 유도된 NO, $PGE_2$, TNF-${\alpha}$, IL-6 및 MCP-1의 생성량 및 mRNA 발현량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p<0.05). 특히 이들 지표 중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와 IL-6의 mRNA 발현량이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IRAK-4의 단백질 발현량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LPS 자극에 대한 기장열수분획의 항염증능은 toll-like receptor(TLR)를 통한 IRAK-4를 매개로 하는 신호전달체계 조절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여러 가지 종류의 사료 섬유질을 섭취하는 수탉의 수분 및 Na대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Water and Na Metabolism of Roosters Fed Various Sources of Dietary Fiber)

  • 이봉덕;이수기;정하연;임재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5
    • /
    • 1985
  • 여러 가지 종류의 사료 섬유질이 수탉의 수분 Na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약 1년 된 SCWL 수탉 15수를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5가지로서, 밀기울, 셀루로스 및 볏짚들로서 대조구의 옥수수를 10% 수준으로 대체하였으며, 펙틴은 8%수준으로 사용하였다. 각 시험사료 처리당 3수의 수탉을 사용하여 3반복으로 하였다. 시험사료의 건물 대사율은 셀루로스구와 볏짚구가 제일 낮았으며 (P$\leq$.05), 대조구와 펙틴구가 제일 높았다. 밀기울사료의 건물 대사율은 이들의 중간 정도이었다. 수탉의 음수량은 사료 g당 음수량으로 표시할 경우 펙틴구가 타 사료구들에 비해 유의하게 (P$\leq$.05) 높았으며, 배설물의 수분 함량도 제일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음수량의 차이는 수탉을 결장척출수술을 하였을 경우 사라져서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음수량은 수탉을 수술하기 전보다 수술한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배설물의 water holding capacity와 bulk density data는 셀루로스>볏짚>밀기울의 순으로 섬유질성이 강함을 보여 주었다. 결장척출수술을 한 탉의 혈장과 요의 $Na^{+}$ 농도와 osmolality는 사료처리구별로 유의성이 없었으며, $C_{Na+}$, $C_{osm}$$C_{H_2O}$에 있어서도 각 처리구 사이에 5 % 수준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요 배설량과 osmolality 및 $C_{H_2O}$의 수치들을 종합하여 볼 때, 공시한 15수의 수탉 중에서 11수가 다요증상을 보였으며, 섬유질성이 높은 사료를 섭취하는 수탉일수록 그 증세가 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시험에서 공시된 4가지의 섬유질들을 섬유질성이 높은 순으로 나열해 보면 펙틴, 셀루로스, 볏짚 그리고 밀기울의 순서라고 하겠다.하겠다.

  • PDF

한국 노인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 비교: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Comparison of chronic disease risk by dietary carbohydrate energy ratio in Korean elderly: Using the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박민선;서윤석;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247-257
    • /
    • 2014
  • 우리나라 대다수 노인이 고 탄수화물 식사를 하고 있고, 고 탄수화물 식사가 만성질환의 위험과 관련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에서 탄수화물 에너지비 수준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을 파악하고자 2007~2009년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917명을 대상으로 1일 에너지 섭취량이 500~5,000 kcal에 속하면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협심증, 빈혈로 치료받는 자를 제외한 1,535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가 55~70%인 적정군과 70%를 초과한 과다군의 두 군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여 영양섭취상태와 만성질환의 위험 비율을 비교하였다. 모든 자료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가중치를 적용한 후 성, 거주지역, 소득수준, 교육수준 또는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하여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만성질환 위험도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만성질환 위험요인의 판별기준치에 따라 위험군의 백분율과 교차비를 구하고 ${\alpha}$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1) 전체 대상자 중 탄수화물 과다군이 81.4%로 적정군에 비해 4배 이상 많았다. 과다군에 남자보다는 여자가 많았고, 읍면에 거주하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이 많았다. 2) 체질량 지수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허리둘레, 이완기 혈압이 과다군에 비해 적정군에서 높았다. 3) 탄수화물비 과다군에서 육류 및 난류, 우유 및 유제품, 주류의 섭취 빈도가 낮았고, 반면에 서류의 섭취 빈도는 높았다. 남자에서는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육류 및 난류의 섭취빈도가 높았고, 여자에서는 육류 및 난류 외에도, 우유 및 유제품, 스낵류, 해조류의 섭취 빈도가 적정군에서 높았다. 4)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에너지비는 과다군 79.87: 11.66: 8.46, 적정군 64.88: 16.18: 18.94로 두 군 간에 탄수화물비 외에도 단백질비와 지방비에 큰 차이가 있었고, 에너지 섭취량은 과다군의 1,492 kcal에 비해 적정군이 1,722 kcal로 높았다. 조섬유, 칼륨,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C섭취량은 두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나머지 영양소-단백질, 지방, 칼슘, 인, 철분,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수분-의 섭취량이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높았다. 5) 영양소적정섭취비 (NAR)와 영양밀도지수 (INQ) 역시 비타민 C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탄수화물 적정군이 높았다. 성별로 분석하였을 때에도 전체 대상자에서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특히 칼슘, 리보플라빈의 영양소적정섭취비와 영양밀도지수가 여자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매우 낮았다. 6)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과다군에 비해 여성은 복부비만의 위험이 1.719배, 남자는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이 2.094배 높았다. 이를 요약하면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동물성 식품의 섭취빈도가 낮고 에너지 및 다수 영양소의 섭취량이 낮아 영양부족의 우려가 있으나 빈혈 위험도에는 차이가 없었고, 남자에서는 이상지질혈증, 여자에서는 복부비만의 위험이 탄수화물 적정군에 비해 낮게 나타나서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고 빈혈 위험이 높으리라는 연구 가설과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추후 이에 대한 확인과 함께, 노인 연령층을 일반 성인층에서 분리하여 만성질환 위험을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노인의 적정 탄수화물 에너지비 설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수분 섭취 및 배설량의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id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s)

  • 최스미;양영희;정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8-98
    • /
    • 1995
  • The Fluid and electrolytes balance in the body is of critical importance in maintaining good health. When the fluid and electrolyte imbalance is present, patients are in great danger. They must be assessed immediately by a nurse so that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started as soon as possible. Patients' fluid intake and output records contain highly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luid imbalance, but, these records are often inaccurate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fluid intake is not universal for every hospital. Be-cause they are few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a patient's hydration, the ne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fluid intake records is very important.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measurements of patients' fluid intake and outp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s used for calculation of fluid intake which is most similar to fluid output in normal adults and hospitalized patients. This study focused on three different calculation methods for fluid intake and compared these to fluid output and developed suggestions as to the ideal way to record fluid in-take. Data for 43 hospitalized patients and 37 normal adul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normal adults, the daily intake of water which enteres by the oral route was 2415m1 (the first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some other beverage was 1365m1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cluding fresh fruits and vegetables, rice, porridges, and Me m which have water content more than 80% were 2186m1 (the second method of calculation). 2) The urine output of the normal adults was 1350m1. This apprroximates the amount of fluid an adult takes in the form of pure water. 3) In patient group, the total intake of water was 2550m1 (the first method of calculation). The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as some other beverage and IV fluid was 1661m1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cluding foods which have high water content was 2356m1 (the second method of calculation). 4) The urine output of the patient's group was 1728m1. This approximates the amount of fluid an adult takes in the form of pure water. 5) Investigation of the method of calculation of the patient fluid intake showed that among the 31 hospitals studied, only eight use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which reflects the most close value to urine output.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wa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fluid taken in the form of pure water reflects the most close value to urine output.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which includes water in-take only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beverage should be used as patients' fluid intake record.

  • PDF

국내 도심지 숲에 방사된 꽃사슴 모니터링을 통한 행동양식 및 서식지 특성분석 연구 (The Analytical Study for Sika Deer's Behaviour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Habitats Through Monitoring the Sika Deer Released at the Urban Forests in South Korea)

  • 진기정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322-332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도심지의 자연산림지와 반자연지에 방사된 꽃사슴 개체군을 모니터링 하여, 그들의 행동양식 및 서식지 특성분석을 통하여 국내 자연 환경에 적응하는 꽃사슴 (Cervus nippon taiouanus)의 개체군 조절기작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 주변부에 인접한 자연산림지와 반자연지에 각각 꽃사슴 12개체 (숫꽃사슴 3개체, 암꽃사슴 9개체)를 정부의 승인을 얻어 방사하였으며, 2011년 5월부터 2012년 1월까지 각 개체별로 서식지 이용 특이성을 나타낸 먹이섭취장소, 수분섭취장소, 주간 휴식장소, 야간 휴식장소 등의 서식지 유형별로 연구조사원들이 유관으로 모니터링을 하였다. 방사된 꽃사슴개체군들이 무리를 이루는 적정 성비 및 개체수는 수컷 1마리와 암컷 4~9마리이었으며, 여러 마리의 새끼들과 함께 무리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사슴 1마리가 소비하는 먹이 섭취량은 연평균 생초 391.62 kg이었으며, 건초는 286.90 kg이었고, 수분섭취량은 생초 섭취 시 218.28 L, 건초 섭취 시 209.89 L이었으며, 건초를 섭취하는 시기인 가을과 겨울에는 더 많은 수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지와 반자연지에 방사된 꽃사슴 방사 시 꽃사슴의 성비 및 방사 개체수 결정, 방사예정지의 자원생산 능력 및 서식지 특성에 따라서 도입 할 개체수와 공간 구성 요건의 기준으로 활용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꽃사슴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국내 다른 대형 포유류의 자연서식지 방사와 관련된 모니터링 방법 및 효과적인 개체군 조절 메카니즘의 기초적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수분 섭취량 측정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id Intake Measurements)

  • 이창관;김유경;서명화;이경미;이주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7-57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d two methods for measuring fluid intake and to assess the most effective method. Methods: Data from 44 hospitalized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was analyzed. Two methods were used. The liquid method is to measure the daily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some other beverage and IV fluid, the liquid-solid method is to measure the daily intake of water which enters by the oral route and IV fluid. Results: The daily intake of fluid was 1483.10mL and 2245.99mL respectively. The fluid output was 1883.72 mL. The Intra-Class Correlation (ICC) between the liquid method and the liquid-solid method and fluid output was 0.64 and 0.69,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ces of fluid in two methods and body weight change was r=.47 (p<.001) and r=.56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asuring methods as to reflecting the most close value to fluid output.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take and output by two methods is correlated with body weight change.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either method could be useful as patients' fluid intake measurement.

트리튬($^{3}H$)의 단일(單一) 및 만성섭취(晩性攝取)에 대한 한국인(韓國人)의 내부피복(內部被曝) 선량(線量) 계산(計算) (Calculation of Internal Exposure Dose in Korean Man Resulting from Single and Chronic Intake of Tritium)

  • 김장렬;육종철;하정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8-14
    • /
    • 1983
  • 삼중수소의 단일 피폭과 만성피폭에 의한 한국인의 내부피복 선량을 삼단계형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 모델은 체내수분과 조직체 사이의 삼중 수소의 축적량을 잘 나타내 주는 것이다. 그 결과 삼단계형의 축적 반감기 9, 30과 450일을 사용한 단일 피폭의 총 선량은 1mCi/kg 섭취당 17.64mrad였고 이것의 97%는 체내수분에 있는 삼중수소에 의한 선량이고 나머지 3%는 조직내 삼중수소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1 mCi/day의 삼중 수소를 섭취하는 만성 피폭의 경우, 총 선량은 85.5mrad/day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 대한 최대허용 농도값을 선질계수 1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ICRP의 최대허용 농도값은 약 50%가량 낮게 평가되었으므로 한국인의 최대허용 농도값은 ICRP의 결과보다 약 50%높게 책정되어야만 한다.

  • PDF

스마트 텀블러 (Smart Tumbler)

  • 우영운;유용찬;배민석;김경민;김미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181-18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흔히 사용되는 텀블러에 사물인터넷을 접목시켜 좀 더 스마트한 텀블러를 제작하였다. 이 스마트 텀블러는 블루투스를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하루 물 수분섭취, 권장량 설정, 남은 물의 양, 마신물의 양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인바디를 통해 그 사람의 하루 물 권장량을 설정하여 그 권장량만큼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였고, 텀블러의 뚜껑을 닫을 때 마다 초음파 센서로 값을 계산하여 어플리케이션에 값이 나오도록 정보를 새롭게 갱신한다.

  • PDF

한국 노인의 일일 수분섭취 상태에 따른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 및 탈수 예측 생리적 지표 탐색 연구: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Exploratory Study of the Prevalence of Major Chronic Disease According to Daily Water Intak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related to Dehydration in Korean Elderly: Based 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 홍현정;김나현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67-75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valence of major chronic diseases related to daily oral water intake and to identify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related to dehydration in Korean elderl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ixth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ANES), which was a nationwide and cross-sectional survey in 2015. We analyzed 1,392 participants using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ll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adequate water intake (AWI) group and the non-adequate water intake (NAWI) group based on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ater intake between the AWI (6.8 cups in a day) and NAWI (2.8 cups) groups (p< .00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water intake and any of the major chronic diseases. Blood urea nitrogen (BUN) and BUN/Creatinine (Cr)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AWI group. Especially, BUN/Cr ratio shows that the NAWI group reached dehydration status. Older age (adjusted odd ratio, OR= 1.0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4-1.10]), female gender (adjusted OR= 1.56, 95% CI [1.05-2.33]), lower body mass index (BMI) (adjusted OR = 1.00, 95% CI [0.92-1.00]), higher BUN (adjusted OR = 1.04, 95% CI [1.01-1.08]), and higher urine specific gravity (USG) (adjusted OR= 1.56, 95% CI [1.19-2.05]) wer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AWI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level of water intake needs to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age, gender, BMI, BUN, and USG. These are sensitive physiological parameters used for predicting dehydra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daily oral water intake. It would be helpful to develop strategies to prevent dehydration in elderly individuals and enhance their water in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