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Fifteen 1-yr old roosters were employ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arious dietary fibers on the water and Na metabolism of chicken. Wheat bran, pure cellulose and ground rice straw replaced corn in the control diet at 10% level; Pectin replaced corn at 8% level. Three roosters were allotted per dietary treatment and one rooster per replicate. The limit of probability accepted as being significant was P$\leq$.05. The dry matter metabolizabilities of cellulose and rice straw diets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those of control and pectin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wheat bran diet. Pectin fed roosters seemed to drink more water than did the other birds. Also, excreta from roosters fed the pectin diet were significantly wetter than those from other treatments. However, no difference in water intake and fecal moisture were found when !he roosters were colostomiz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lostomized birds drank more water than did intact ones. Data of water holding capacity and bulk density of dried excreta showed that cellulose, rice straw and wheat bran in decreasing order were strong in fibrous proper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_{Na+}$ , Cosm and C$_{{H_2}O}$ among all treatments. When the values of urine volume, urine osmolality and C$_{{H_2}O}$ were put together, it can be concluded that 11 out of 15 roosters developed diuresis. More severe diuretic symptoms were developed in roosters when they were fed more fibrous diets. In conclusion, when the four dietary fibers were graded in terms of fibrous property, it turned out to be pectin, cellulose, rice straw and wheat bran in decreasing order.
여러 가지 종류의 사료 섬유질이 수탉의 수분 Na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약 1년 된 SCWL 수탉 15수를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5가지로서, 밀기울, 셀루로스 및 볏짚들로서 대조구의 옥수수를 10% 수준으로 대체하였으며, 펙틴은 8%수준으로 사용하였다. 각 시험사료 처리당 3수의 수탉을 사용하여 3반복으로 하였다. 시험사료의 건물 대사율은 셀루로스구와 볏짚구가 제일 낮았으며 (P$\leq$.05), 대조구와 펙틴구가 제일 높았다. 밀기울사료의 건물 대사율은 이들의 중간 정도이었다. 수탉의 음수량은 사료 g당 음수량으로 표시할 경우 펙틴구가 타 사료구들에 비해 유의하게 (P$\leq$.05) 높았으며, 배설물의 수분 함량도 제일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음수량의 차이는 수탉을 결장척출수술을 하였을 경우 사라져서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음수량은 수탉을 수술하기 전보다 수술한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배설물의 water holding capacity와 bulk density data는 셀루로스>볏짚>밀기울의 순으로 섬유질성이 강함을 보여 주었다. 결장척출수술을 한 탉의 혈장과 요의 $Na^{+}$ 농도와 osmolality는 사료처리구별로 유의성이 없었으며, $C_{Na+}$, $C_{osm}$ 및 $C_{H_2O}$에 있어서도 각 처리구 사이에 5 % 수준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요 배설량과 osmolality 및 $C_{H_2O}$의 수치들을 종합하여 볼 때, 공시한 15수의 수탉 중에서 11수가 다요증상을 보였으며, 섬유질성이 높은 사료를 섭취하는 수탉일수록 그 증세가 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시험에서 공시된 4가지의 섬유질들을 섬유질성이 높은 순으로 나열해 보면 펙틴, 셀루로스, 볏짚 그리고 밀기울의 순서라고 하겠다.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