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분섭취량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6초

아미노산 후처치의 이종 심낭보철편 석회화 완화 효과 (Mitigation of Calcification in Bovine Pericardial Bioprosthesis after Amino Acids Posttreatment)

  • 안재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131-135
    • /
    • 2003
  • Glutaraldehyde (GA)에 보존한 이종보철편들은 생체 이식 후 석회화 변성을 보이는 문제점을 나타내므로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는 GA 용액에 Mg염을 첨가 칼슘의 반응을 막아 석회화를 완화하며 더불어 chitosan 및 glutamate 등의 아미노산으로 후처치하여 석회화 완화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우심낭을 정방형 조각으로 만들어 40조각의 우심낭편은 대조군으로 MgC1$_2$6$H_2O$를 4g/L 첨가한 0.625% GA 용액에 보존하고(1군), 40조각은 이 GA 용액에 보관하다 이식 24시간 전 2% chitosan 용액에 옮겨 보존(2군), 또 다른 40조각 역시 같은 방법으로 8% glutamate 용액에 후처치(3군)하여, 이들을 40마리의 백서 복부 피하에 각각 한 조각씩 이식하여 1개월, 2개월, 3개월 및 4개월째에 적출, spectophotometry로 침착한 칼슘을 정량하였다. 결과: 이식 후 1개월 및 2개월에는 세균간의 석회화 정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3개월째에는 1군 5.45$\pm$0.42 mg/g, 2군 3.22$\pm$1.31 mg/g, 3군 4.20$\pm$0.55 mg/g의 통계적 차이를 보여, 2군에서 유의한 석회화 완화 효과가 관찰되고 있고 (p<0.05), 4개월째에는 1군 6.01$\pm$1.21 mg/g, 2군 3.78$\pm$1.82 mg/g, 3군 3.92$\pm$0.92 mg/g으로 2, 3군에서 유의한 석회화 완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p<0.05). 결론: 즉 2% chitosan 후처치로 3개월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하에 이식된 보철편의 석회화가 완화되었으며 8% glutamate는 4개월에서 그 완화효과를 보여주고 있다.다. 현대의 실정 에 맞는 과학적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산업화한다면 재래식으로 인해 걸리는 시간, 노력 에 걸맞은 가격, 품질 등을 유지해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는 음식 10위를 조사한 결과 선호음식의 경우 저체중군과 정상군의 경우 순위는 달랐지만 10위에 선별된 음식들이 주로 과 (수박, 귤, 딸기, 복숭아, 바나나, 포도, 사과)과 음료수(사이다, 환타) 등 열량밀도가 낮고 수분함량이 높은 식품인 반면 과체중군은 햄버거, 돈까스, 튀김 만두, 샌드위치, 쇠고기 및 돼지고기 구이 등이 선호음식 10위내에 포함되어 정상군이나 저체중군보다 고지방.고단백 음식들의 기호도가 과체중군에서 높음을 확인하였다., 단맛을 좋아하는 사람이 싫어하는 사람보다 열량과 당질섭취량은 유의 적으로 적게, 지방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짠맛을 좋아하는 사람은 나트륨 섭취량이 7890 mg으로 짠맛을 싫어하는 사람 5579 mg보다 유의적 (p < 0.05)으로 많은 양을 섭취하였다.고, Ca : P 중량비가 각각 2.63$\pm$1.99, 1.79$\pm$0.39, 2.80$\pm$0.53, 8.35$\pm$12.87이었으며, Ca : Mg 중량비는 각각 11.86$\pm$540, 9.29$\pm$1.34, 9.09$\pm$2.09, 32.50$\pm$41.35이었다. 칼슘과 마그네슘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P : Mg 분자량비는 곡류가공품이 4.11$\pm$1.54, 라면류가 4.17$\pm$0.67, 레토르트식품은 2.58$\pm$0.45, 음료류는 2.59$\pm$2.50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에서 볼 때 시료의 93.0%가 실제측정값이 표시량의 80% 이상이어야

한국인 상용 과일과 채소의 계절별 무기질 함량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Mineral Nutrients in Korean Common Fruits and Vegetables)

  • 김주현;김미정;오현경;장문정;김선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60-87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산물 중 한국인이 주로 많이 섭취하는 채소나 과일을 중심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 계절간 성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4계절에 모두 구입 가능하면서 섭취빈도가 높은과일 4종, 채소 17종 총 21종을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로 구입하여 그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다량 무기질의 함유량을 살펴보면, Na의 경우 사과에는 가을에 가장 함유량이 많았고 반면 귤에는 가을에 가장 적었으며, 채소 중에는 시금치, 당근, 상추에 비교적 다량의 Na가 들어 있었다. K는 과일 중에는 딸기가 가장 함유량이 많았으며, 채소 중 오이, 배추, 호박, 미나리의 경우 가을철에 가장 K 함량이 많았다. Ca의 경우에는 겨울철 사과와 봄철 딸기, 가을 배, 가을 배추에 함량이 많았으며, 깻잎, 상추, 시금치에도 Ca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딸기에는 봄철에 가장 Mg 함량이 많았으며, 사과는 겨울에, 배는 가을에, 글은 겨울에 Mg 함량이 많아 제철 과일에 Mg함량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인은 사과는 겨울이, 귤은 가을과 겨울에, 배추는 가을에, 시금치는 봄에 다른 계절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2. 미량 무기질의 함유량을 살펴보면, Fe 함량의 경우에 귤은 겨울철에, 딸기에는 봄철에, 배와 배추에는 가을에 Fe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Cr의 경우에는 가을과 겨울사과가 함량이 많고, 겨울 배와 귤에도 많았다. 그러나 다른 무기질과 마찬가지로 딸기는 봄철 딸기에 가장 Cr이 많이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무기질에서와 같이 Mn 함량도 사과는 여름과 겨울에, 배는 여름과 가을에 Mn함량이 많았으며, 딸기는 봄철에 가장 Mn함량이 많았다. Cu의 함량은 사과는 겨울이 딸기의 경우, 봄에 다른 계절에 비해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채소에서는 깻잎과 양송이버섯, 콩나물, 브로콜리 등이 계절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비교적 Cu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는 겨울이, 무는 봄의 것이 Zn 함량이 높았으며, 채소 중에는 깻잎, 브로콜리, 상추, 시금치, 오이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을의 냉이는 실험한 채소 중 Zn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채소보다는 과일에 다소 많은 Se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과와 귤은 고르게 함량이 높았고, 채소 중 특히 대파, 양파, 당근, 냉이, 콩나물, 깻잎, 브로콜리 등에 $10{\mu}g$정도의 Se가 함유되어 있다. 실험에 사용한 과일과 채소는 전체적으로 Al의 함량이 낮았다. 봄의 딸기와 봄 무와 대파에서 비교적 함량이 높았고 겨울과 봄의 시금치, 당근, 상추에서, 그리고 봄과 여름의 깻잎에서 비교적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이 식품의 종류에 따라 제철 과일이나 채소에서 수분 함량이 적으면서 고형물의 함량이 많고 특히 무기질 함량이 많음을 알 수 있으므로 제철 과일을 섭취함이 권장된다고 볼 수 있다. 미량 무기질의 경우에서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필요한 무기질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면, 당뇨환자의 경우에 Cr, 빈혈환자의 경우 Fe 등의 무기질의 선별적 섭취가 필요하다고 제안된다. 그러나 분석한 시료의 수가 제한되어 계절별 차이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살펴보지 못한 제한점이 있으므로 미량무기질의 우수한 급 원인 채소와 과일의 계절별 무기질 함량을 ICP-mass와 같은 최신 장비를 이용해 분석한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토의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PDF

다시마 첨가 패티가 경계역 고콜레스테롤혈증 성인의 식후 혈청 지질 및 혈당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a Tangle-added Patty on Postprandial Serum Lipid Profiles and Glucose in Borderline Hypercholesterolemic Adults)

  • 김화현;임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22-529
    • /
    • 2014
  • 본 연구는 생리활성이 높은 다시마를 첨가한 패티가 정상 지질혈증을 보이는 사람에서 섭취 후 혈청 지질 양상과 혈당을 개선한 선행연구의 후속으로 경계역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지닌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대표적 패스트푸드인 패티가 정상 지질혈증자는 물론 고콜레스테롤혈증자에서도 섭취 후 혈청 지질 농도나 혈당을 강하시킨다면 건강지향적인 패티 개발의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을 것이다. 실험패티는 표준패티 재료 중 육류의 2.5%를 다시마 분말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실험패티는 표준패티에 비해 열량, 조단백, 조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낮았고, 수분, 조회분, 나트륨 및 조섬유 함량은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탄수화물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경계역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지닌 11명의 성인에게 공복혈액을 채취한 직후 표준패티 또는 실험패티 200 g을 200 mL의 물과 함께 10분 사이에 섭취하도록 하였고, 이후 30분, 60분, 120분 후에 채혈하여 혈청 포도당과 C-peptide 농도를 추적하였으며, 혈중 지질 농도는 240분까지 채혈하여 분석하였다. 패티 섭취 후 240분까지 혈청 TG를 비롯해 T-chol, LDL-C 및 HDL-C의 시간대별 농도와 각 지질 성분의 ${\Delta}-AUC$는 모두 두 패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혈당 농도는 패티 섭취 후 120분까지 실험패티가 표준패티에 비해 모든 시간대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Delta}-AUC$도 유의성 있게 낮았다. 혈청 C-peptide 농도는 패티 섭취 후 120분까지 비록 모든 시간대에서 두 패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elta}-AUC$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패티에 함유된 다시마 분말이 혈당을 낮추고 또한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켰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각각의 패티 200 g을 통한 탄수화물과 지방 및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비교적 적었던 점과 패티 섭취시험 대상자의 수가 많지 않았던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패티 재료 중 육류의 2.5%를 다시마 분말로 대체함으로써 패티의 영양성분 조성이 개선된다는 점과 이러한 영양소 조성의 변화와 함께 패티 100 g에 함유된 2.25 g의 다시마가 경계역 고콜레스테롤혈증 성인에서 섭취 후 비록 혈청 지질 양상을 개선시키지는 못했지만 혈당을 저하시켰고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킨 본 연구결과는 다시마를 건강기능성 패티 제조에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침지조건이 칼슘 강화미 제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aking Conditions on the Manufacture of Calcium Enriched Rice)

  • 양승준;민용규;정헌상;조경주;박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04-609
    • /
    • 2003
  • 칼슘용액에 쌀을 침지하여 침지용액의 온도(20, 30, 40, 50, $60^{\circ}C,\;X_1$), 침지용액의 칼슘 농도(0, 250, 500, 750, 1000 mg/L, $X_2$) 및 침지시간(5, 10, 15, 20, 25 min, $X_3$)에 따른 칼슘의 이행정도와 이들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침지 한 후 쌀의 수분 흡수율, 경도 및 칼슘함량을 분석하고 각 조건별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수분 흡수율은 침지용액의 온도와 침지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1), 상호작용 및 이차항 효과도 5% 이내의 유의성이 있었다. 수분 흡수율$(Y_1)$에 대한 각종 변수들 간에는 $Y=16.14+0.78X_1+1.24X_3-0.23X_1{^2}+0.14X_2{^2}-0.42X_3X_1-0.38X_3{^2}(R^2=0.9123)$의 관계가 성립되었다. 경도는 침지시간 및 침지용액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p<0.01). 침지 쌀의 칼슘함량은 침지용액의 온도, 침지용액의 칼슘 농도, 침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1), 침지시간과 침지용액의 칼슘 농도 사이에 높은 상호작용 효과(p<0.01)가 관찰되었다. 칼슘함량$(Y_3)$에 대한 각종 변수들 간에는 $Y_3=470.80+110.87X_1 +123.47X_2+52.29X_3-7.42X_1{^2}-14.87X_2{^2}-9.49X_3X_2-20.57X_3{^2}(R^2=0.9840)$의 관계가 성립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의 경우 일반 쌀 대신 칼슘을 600 mg/kg 정도, 어린이 및 청소년은 $700{\sim}900\;mg/kg$ 정도의 농도로 강화시킨 쌀 400 g을 하루에 섭취한다면 별도의 칼슘강화제 없이도 권장 섭취량 이상의 칼슘을 섭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블랙커런트 요구르트 첨가 드레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dressing containing black currant extract)

  • 권용우;박금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78
    • /
    • 2018
  • 본 연구는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영양분 섭취와 질병 예방 차원에서 각종 과실과 이를 활용한 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베리류 중 블랙커런트 농축액을 요구르트 대체 0, 5, 10, 15, 및 20% 비율로 첨가하여 요구르트 드레싱의 품질특성과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에서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요구르트 드레싱의 조회분과 탄수화물은 증가하고 수분함량, 조단백, 조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와 점도는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p<0.001) 당도는 블랙커런트의 당도로 인하여 첨가량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색도는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은 감소하였으며, a 값과 b 값은 증가하였다. 블랙커런트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의 유기산 결과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는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tartaric acid와 lactic acid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르트의 항산화능에서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의 경우 대조군이 0.62 mg/100 mg로 가장 낮았으며 블랙커런트 20%첨가 요구르트 드레싱이 190.09 mg/100 mg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도 블랙커런트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나 블랙커런트를 첨가함으로써 요구르트 드레싱의 항산화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콜라겐 펩타이드 및 GABA 복합물의 섭취가 피부 및 수면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 (Beneficial Effect of Collagen-Peptide Mixture with GABA on Improvement Skin and Sleep Quality)

  • 김정기;임성환;김완기;조창희;하재현;서대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77-284
    • /
    • 2018
  • 콜라겐 펩타이드(collagen peptide)는 단백질의 가수 분해물로서 주름 완화, 보습력 증대, 탄력 개선 등의 특정 피부 효능을 나타낼 수 있어 화장품 혹은 피부 개선 기능식품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gamma}-aminobutyric$ acid (GABA)는 척추 동물의 뇌,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 물질로서 수면의 질과 양을 개선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라겐 펩타이드와 GABA의 복합물이 수면 장애가 있는 여성에게 8주 경구 섭취를 통해서 수면 및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확인하였다. 복합물(J85091900)은 8주간 연속적으로 섭취 시, 수면장애지수(PSQI)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수면 시간을 7% 증가시켰다. 또한, 피부 거칠기, 눈가 주름 및 피부 수분량(capacitance)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콜라겐과 GABA의 복합물은 복합 수면 장애에 따른 피부의 노화 현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먹는 화장품의 핵심 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차전자피와 글루코만난의 혼합 첨가가 고지방 식이를 한 흰쥐의 혈청지질과 변지방배설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syllium Husk and Glucomannan on Serum Lipids, Fecal Fat Excretion and Body Fat in Rats Fed High-Fat Diet)

  • 임문이;장순애;이승근;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69-473
    • /
    • 2003
  • 비슷한 특성을 보이는 두 가지의 수용성 식이섬유, 차전자피와 glucomannan는 모두 혈청 지질과 변 배설, 체지방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20% 고포화지방 식이와 동시에 식이 무게의 1.58%에 해당하는 차전자피와 glucomannan의 혼합분말을 8주간 섭취하게 하고 체중과 혈청지방 및 변배설, 그리고 체지방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과 pair-fed control군, 식이섬유 섭취군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차전자피와 glucomannan은 수용성 식이섬유 중 비교적 적은 복용량으로 체중을 감소시키고, 변의 건조 중량, 수분 함량, 지방함량 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부작용 없이 변 배설을 도와주었으며 장에서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고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낮추어줌으로서 바람직한 체지방 저하 효과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들은 차전자피와 glucomannan의 혼합투여가 체지방 감소와 혈청지질 개선, 변비 해소 등에 효과적인 방법이며 특히 지방 섭취가 많은 현대인에게 지방 배설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임을 시사한다.

돈방바닥 면적과 형태가 비육돈의 생산과 행동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Floor Space and Type on Performance, Behaviour and Carcass Quality of Finishing Pig)

  • 김두환;하덕민;송준익;전중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5-172
    • /
    • 2012
  • 비육돈사의 돈방 바닥면적과 형태가 체중 80 kg 이상 버크셔종 비육돈의 생산효율과 행동특성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336두를 공시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육돈사 돈방바닥 형태는 콘크리트 슬랏 바닥과 톱밥바닥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두당 바닥면적은 $1.0m^2$$2.5m^2$를 비교하였는데, 사료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등 생산효율과 눕고, 걷고 먹는 등의 동작으로 보낸 시간의 비율 등 행동특성 및 부분육 생산량 비교, 등심근 pH, 보수성, 육즙손실, 전단력과 같은 도체품질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육돈의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등 생산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두당 바닥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돈방바닥을 톱밥으로 처리하여도 생산효율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옆으로 누운 자세와 걷는 동작으로 보낸 시간 비율에 영향을 미치지만, 앉고 걷고 먹고 마시는 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돈육 등심근의 수분함량, pH, 보수성, 육즙손실 및 전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m^2$$2.5m^2$의 두당 바닥면적 및 콘크리트 슬랏 바닥과 톱밥바닥 간에 등심근의 육질특성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제1형 당뇨모델 흰쥐에서 Bulnesia sarmienti 열수추출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lnesia sarmienti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Type-1 Diabetic Rats.)

  • 박창호;김정옥;이기동;김길수;홍주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52-857
    • /
    • 2008
  • STZ 투여로 제1형 당뇨를 유발시킨 다음 B. sarmienti 열수 추출물을 8주간 급여 후 혈당 및 혈중지질 변화를 알아보았다. 시험기간 동안 당뇨 대조군 및 당뇨 실험군의 체중 증가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 sarmienti 열수 추출물 급여가 당뇨 실험군에서의 체중감소 개선 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분 섭취량, 사료 섭취량, 혈당 모두 정상군과 비교하여 당뇨 대조군 및 당뇨 실험군에서 8주 동안 유의적으로 높게 지속되었다. 혈중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함량 번화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할 때 당뇨 대조군에서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B. sarmienti 열수 추출물 급여로 유의적인 감소현상과 함께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하였다. 특히, B. sarmienti 열수 추출물 급여에 따른 혈중 total cholesterol 변화는 BWO 30.0%, BW1 21.1%, BW2 27.7%로 평균 26.2%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중 중성지방 변화는 BW0 40.2%, BW1 53.7%, BW2 50.9%로 평균 48.3%의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B. sarmienti 열수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 지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는 제1형 당뇨모델에서 8주 동안 B. sarmienti 열수 추출물을 투여하면서 혈당 조절 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 지질 성분인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B. sarmienti 열수 추출물 투여가 고혈당을 중심으로 한 지질대사 이상과 함께 많은 합병증 유발이 문제시 되고 있는 당뇨병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에는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llite의 첨가가 비육돈의 생산성과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Illite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Pigs)

  • 김희윤;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72
    • /
    • 2007
  • 본 시험은 illite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illite를(0, 0.5, 1.0 및 2.0%) 삼원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평균체중 $68.3{\pm}1.6 kg$) 비육돈 48두를 공시한 후 50일간 급여하여 증체량, 사료섭취량, 육등급과 도체율, 육의 pH, 육색, 지방색 및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illite를 첨가함으로서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도체중량과 도체율 및 등지방두께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A등급 출현율은 illite를 1.0% 첨가함으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육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는 없었으나 조지방 함량은 illite를 1.0% 첨가할 경우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낮았다. 육의 pH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5.55-5.68로 차이는 없었고 lllite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육색의 명도($L^*$) 값은 낮았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 값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불포화지방산인 palmit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illite 1.0%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illite를 0.5-1.0% 급여함으로서 포화지방산 함량은 낮았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