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분값

Search Result 1,82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ffed Snacks (ppeongtuigi) with Purple Sweet Potato Flours Using Different Puffing Conditions (자색 고구마 분말을 첨가한 팽화과자(뻥튀기)의 팽화 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

  • Cheon, Seon-Hwa;Hwang, Su-Jung;Eun, Jong-Ba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4 no.1
    • /
    • pp.28-33
    • /
    • 2012
  • The effect of puffing conditions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s of a puffed snack (ppeongtuigi) made of purple sweet potato flour was investigated. The snacks consisted of coated artificial rice with purple sweet potato flour with water, tempered to 7%, 9% and 11% moisture. The coated material was puffed at 236, 241, or $246^{\circ}C$ for 4, 5, or 6 s. The $L^*$ value decreased as the heating time increased. The $a^*$ and $b^*$ values, specific volume, and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Puffed snacks produced under conditions of higher moisture (7%), higher heating temperature ($246^{\circ}C$), or longer heating time (5 s) showed high scores for appearance, col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sensory evaluations.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of water for Koreans: establishment and future tasks (2020 한국인 수분 섭취기준 설정과 앞으로의 과제)

  • Lee, Jae Hyun;Kim, Sun Hyo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5 no.4
    • /
    • pp.419-429
    • /
    • 2022
  • Water accounts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body weight an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physiological functioning of the human body. According to 2013-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the average water intake of Koreans was 2,167.3 mL/day and 62% of them did not meet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for water. However, the consumption of beverag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KDRIs sets the adequate intake (AI) for water, but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UL) and chronic disease risk reduction intake (CDRR) are not provided. Compared to 2015, the AI of total water from both food and fluids in the 2020 KDRIs slight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age. The AI for children 1-2 years old, boys 6-8 years and 9-11 years old, and girls 6-8 years old decreased by 100 mL/day, while that of boys 12-14 years old increased by 100 mL/day. The AI of total water was the sum of the water intake from food and fluids reported by the KNHANES, with an extra milk intake of 200 mL/day. Therefore, it is not appropriate to use the AI of total water intakes for the reference of beverage intakes. It is preferable to consume water or milk rather than beverages containing sugar and others including caffeine, sodium, etc. when drinking fluid water. We suggest the following improvements in the future KDRIs for water: improving the adequacy of the water content ratio of Korean conventional foods, supplementing the fluid water intake survey, reflecting the current water intake status by life cycle, setting KDRIs for water for the elderly considering the physiological changes, health status and dietary habits, and promotion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intake and health for Koreans.

Regional Soil Depth Effects in Estimating Palmer Severity Drought Index (Palmer 가뭄지수산정에 있어서 지역별 토양심도영향 분석)

  • Kang, Boo-Sik;Moon, S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72-1475
    • /
    • 2009
  • SPI(Standard Precipitation Index)가 기상학적 가뭄을 표현하는 지수인 반면,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는 가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문기상학적 요소인 강수량, 기온뿐만 아니라 유효토양수분량과 일조시간 등의 자료에 근거한 물수지 분석에 의해 산정된다. 특히 PDSI 지수는 토양습윤조건의 민감한 영향을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다. PDSI에서 토양수분과 관련된 요소들을 다룰 때, 토양수분저장량은 토양을 상부와 하부의 2개 층으로 나누어 상부 층은 1inch(25.4mm)의 수분을 저장할 수 있고 하부층은 토양의 성질에 따라 유효용량이 결정되는 것으로 하부층의 수분은 상부 층의 수분이 모두 제거 될 때까지 손실되지 않으며 하부 층 손실량은 초기수분함유량과 산정된 잠재증발량(PE) 및 토양유효용량(AWC)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산정방법에서 토양의 유효용량에 따른 물수지 방정식을 통해 각 잠재량들을 구하는 과정은 기후학적으로 필요한 값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PDSI 지수 산정 시, 모든 지역에서 상하부토양심도를 지역적 분포를 고려하지 않고 10inch(25.4cm)로 일정하게 사용함으로써 유효 토양수분함량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S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여 토양심도의 지역적 분포에 근거한 토양수분함량을 산정한 후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PDSI 지수를 산정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고 기존의 PDSI 지수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il moisture Behavior in Unsaturated Zone on a Steep Hillslope (사면불포화조건에서의 토양수분 흐름거동의 측정과 분석)

  • Gwak, Yong Seok;Kim,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71-471
    • /
    • 2015
  • 토양내의 수분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변화와 유출기작을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마천유역의 작은 사면에서의 장력측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3차원의 흐름방향에 대해 잠재적 흐름구배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흐름구배를 평가하기 위한 일반적 산술적 계산방법인 평균적 흐름구배와 측정시스템의 구조적 영향 및 흐름구배의 공간적 평가 기준을 고려한 계산방법론을 개발하여 비교 평하였다. 3차원의 흐름방향은 사면의 지표경사를 기준으로 x, y, z축을 기준으로 하여, 각 축 방향에 해당하는 흐름구배 값과 흐름방향을 각각 계산하였다. 그 결과, 강우사상에 따른 토양내의 장력변화는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였으며, 이에 따른 각 흐름구배 값과 흐름방향의 반응이 빠르게 반응을 하였다. 특히, 습윤, 건조기간동안의 흐름구배의 발달 및 방향이 바뀌는 천이되는 상태인 흐름 굽힘 현상(flow Bending)을 확인하였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Soil Water Content using Soil Moisture Monitoring Network (토양수분관측망을 활용한 토양수분의 실측값과 추정값 상관성 평가)

  • Ok, Jung-hun;Kim, Dong-Jin;Han, Kyung-hwa;Jung, Kang-Ho;Lee, Kyung-Do;Zhang, Yong-seon;Cho, Hee-rae;Hwang, Seon-ah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1 no.4
    • /
    • pp.297-306
    • /
    • 2019
  • Soil moisture monitoring is an important task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soil water prediction can provide large-scale soil moisture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and predicted soil water content, and to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water content. The selected sites in soil moisture monitoring network were 76, and the soil with high sand content (sand, loamy sand, and sandy loam in soil texture) accounted for 77% of the total. Organic matter and bulk density were 0.03 to 3.50% and 1.01 to 1.69 Mg m-3, respectively. Predicting values of field capacity and wilting point were lower than the measured soil water content,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asured and predicted values were low as 0.548 to 0.748. However, a significantly high positive correlation (p<0.01) found between the measured and predicted soil water content. Soil water (field water capacity and wilting point) content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ilt, clay, and organic matter (p<0.01) and high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nd (p<0.01).

Influence of Flocculants During Vacuum Dewatering of Radioactive Slurry Waste (방사성 슬러리 폐액의 탈수에서 응집제 효과)

  • 정경환;이동규;정기정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2
    • /
    • pp.114-119
    • /
    • 2001
  • TRIGA Mark-II&III 연구로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된 방사성 슬러리 함유 폐액에 대하여 음이온, 앙이온, 그리고 비이온 응집제를 첨가하였을 때의 여과 효과를 실험실 규모의 진공여과 장치로 연구하였다. 여과 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Darcy’s Law에서 유도된 여과 케익 저항 값을 산출하였다. 응집제 사용으로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롸 비교하여 케익 저항값의 개선은 있었지만, 수분함량은 증가하였다. 각각의 응집제 사용에 따른 침전율, 여과 케익의 수분함량, 그리고 여과 케익 저항 값을 비교한 결과 음이온 응집제 12~16ppm/$\ell$ waste를 사용하였을 경우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쌀가루의 입자크기 비율에 따른 품질 특성

  • 금준석;이현유;조윤성;최봉규;태현주;최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22.1-222
    • /
    • 2003
  • 쌀가루 제조 후 입자크기 비율에 따른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혼합 쌀가루의 색도를 보면 100-200메쉬 사이의 쌀가루 색도에 있어 자기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고 혼합쌀가루가 습식의 함량이 많을수록 쌀가루의 밝기가 증가됨을 나타내었다. 건식과 습식의 비율에 있어 밝기는 유의성을 나타내었지만 a값과 b값의 경우 혼합비율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혼합쌀가루 역시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건식쌀가루의 혼합 비율이 높을 수록 수분흡수지수(WAI) 및 수분용해지수(WSI)의 값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80메쉬의 혼합쌀가루는 건식쌀가루의 혼합 비율에 상관없이 거의 같은 WAI의 값을 나타내었고, 100-140메쉬의 혼합쌀가루의 WAI 값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WAI와 WSI의 값은 각각 쌀가루의 수분함량과는 유의적인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쌀가루의 입자의 크기와 건식, 습식쌀가루의 종류와 혼합 비율에 따라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의 크기에 따른 호화엔탈피의 변화는 200메쉬 이하의 입자 크기에서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200메쉬 이상에서는 호화엔탈피 값에 차이가 있었다. 혼합쌀가루의 경우 입자가 클수록 전분손상도가 낮게 나왔으며 건식쌀가루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분손상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Assessment of Soil Moisture for a Soyanggang Dam Watershed using SWAT and MODIS Satellite Image (SWAT모형과 MODIS위성영상을 이용한 소양강댐 유역의 토양수분 평가)

  • Park, Geun-Ae;Hong, Woo-Yong;Jung, In-Kyun;Lee, Mi-Se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66-1470
    • /
    • 2010
  • 토양수분은 지표의 다양한 과정을 통제하는 중요한 수문학적 변수며 이에 신뢰할 수 있는 토양수분의 정보를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정확한 토양수분의 실측자료는 그 설치비용과 인력부족으로 매우 빈약하여 이를 대체할 만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요즘, 많은 수문모형의 개발로 토양 수분 또한 결과물로써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모형에서 모의된 토양수분의 신뢰성을 판단할 때는 실측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토양수분의 실측값이 부족하므로, 유역의 토양수분 실측자료 대신 모의된 토양수분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양강댐 유역에 대하여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실측 토양수분자료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토양수분을 모의하였다. 또한 모의된 토양수분을 Terra MODIS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LST(Land Surface Temperature)과의 상관성을 계절별, 월별로 분석하여 그 관계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using optical sensor-based soil moisture (광학센서 기반의 토양수분을 이용한 농업적 가뭄 감시)

  • Sur, Chan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6-296
    • /
    • 2022
  • 농업적 가뭄은 토양의 수분함량(토양수분)이 마르기 시작하면서 식생 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광범위한 농업적 가뭄을 판별하기 위해 인공위성 자료를 토대로 토양수분을 산정하고 이를 이용해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가뭄 상태를 판별한다. 기존 인공위성 기반의 토양수분의 경우, microwave sensor에서 제공되는 밝기온도(brightness temperature)를 통해 토양수분을 추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microwave sensor에서 제공되는 자료들의 공간해상도가 10 km 이상이기 때문에, 한반도나 더 작게는 유역 단위, 행정 단위별 가뭄 분석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 해상도 500m의 광학센서(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sensor (VIIRS))에서 제공되는 지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와 지표 반사도(land surface albedo) 자료들을 조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산출된 토양수분으로 농업적 가뭄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microwave sensor로 산출된 토양수분 결과 값과의 비교 및 검증을 통해 광학센서를 통한 토양수분 산출물의 한반도 내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Dry Weight-Based Nutritional Deviations in Rice Foods for Normalization of Food Data (식품 데이터 정규화를 위한 쌀 음식의 건물중 기반 영양 편차 고찰)

  • Kim, Sang Cheol;Lee, Woon Yong;Park, Woo Pung;Yun, Ki Oh;Kim, Jong Rin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7
    • /
    • pp.76-84
    • /
    • 2022
  • In Korea, where rice is the staple foo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food is different at the same weight, even though the same ingredients are used and the food or food name is the same. The cause is closely related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ood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and cooking process. In order to design a diet tailored to individual health and supply accurate calories and nutrients, a method of expressing food data that is not affected by the cooking process or cooking method is required. Usually, the same ingredients or foods show a lot of deviation from the nutritional components presented in the standard food database due to the difference in moisture content. For this reason, there are problems that increase the complexity of the food ingredient database and the difficulty in using it. As a method to improve these problems, we would like to propose a food data expression method based on dry weight. As an example of this, the characteristics of rice as a food material and changes in major nutrition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moisture of various rice-processed foods made from rice were considered.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how to normalize food data through this, the dry weight-based nutrition label of rice was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