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분값

검색결과 1,822건 처리시간 0.036초

눈꽃과 번데기 동충하초 첨가가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ecilomyces japonica and Cordyceps militaris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 정명희;박금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43-748
    • /
    • 2002
  • 식빵에 단백질을 보강할 목적으로 눈꽃 동충하초와 번데기 동충하초의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과 눈꽃 동충하초 첨가군에서 구수한 맛, 입안에서의 감촉, 향의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수분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J2군이 가장 높았으며 M4군이 가장 낮았다. 부피는 대조군에 비해 눈꽃 동충하초 첨가군은 커졌고 번데기 동충하초 첨가군은 감소하였으며, 동충하초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다. 색도에서 명도 값(L)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동충하초 첨가군이 모두 낮았으며 특히 M4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적색도 값(a)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번데기 동충하초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양의 값을 가졌으며 눈꽃 동충하초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음의 값을 나타내 상반된 결과를 가져왔다. 황색도 값(b)은 대조군과 눈꽃 동충하초 천가군에 비해 M4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경도(Hardness)는 M4군이 가장 높았으며(p<0.001). 탄력성은 대조군에 비해 눈꽃과 번데기 동충하초 첨가 식빵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과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에서, 명도는 관능항목의 색, 경도와 부의 상관관계(p<0.001), 적색도와 황색도, 경도는 관능항목의 색, 묵은 곡식가루 냄새, 경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부의 상관관계(p<0.001)를 보였다. 또한 기계적 검사의 응집성과 탄력성은 관능 항목의 색과 묵은 곡식가루 냄새, 경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눈꽃 동충하초의 경우 2% 첨가군이 대조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기호도, 수분 함량과 부피에서 좋은 특성을 가졌다. 동충하초의 첨가량은 눈꽃 동충하초의 경우 4%까지도 무방하며, 번데기 동충하초의 경우 2%가 적절하였다.

매실추출액 첨가 고추장의 숙성 중 품질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Maesil (Prunus mume) Extract during Aging)

  • 이민지;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22-628
    • /
    • 2006
  • 매실추출액의 농도를 달리 첨가하여 "매실고추장"을 제조하고 실온에서 100일간 숙성시키면서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고추장의 pH는 숙성 중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정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은 숙성 60일까지 다소 증감을 보이다. 숙성후기에는 증가한 반면 수분활성도는 숙성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염은 숙성기간 중 증가하였고, 대조구가 매실추출액을 첨가한 실험구보다 다소 높은 식염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매실추출액 함량이 증가할수록 식염의 함량은 다소 낮았다. 고추장의 L*, a*값은 숙성 중 감소하였고, b*값은 숙성초기 감소하다가 숙성 60일째 값이 크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실추출액을 첨가한 고추장이 대조구에 비해 L*, a*, b*값 모두 낮게 나타났고 매실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a*, b*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당도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고, 환원당은 숙성초기에는 증가하여 숙성기간 40일에 최고치에 달한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초기에 증감하다 숙성 40일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0일 숙성 후에는 $230.00{\sim}246.00mg%$ 수준을 나타내었다.

토양수분 데이터의 거동 및 품질 평가: 용담시험유역 사례연구 (Evaluation of the behavior and quality in soil moisture data: A case study of Yongdam study watershed)

  • 이슬찬;백종진;최민하;조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2호
    • /
    • pp.951-962
    • /
    • 2019
  • 최근 수문 순환 및 자연재해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일관성과 정확성이 높은 토양수분 자료 생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토양수분 데이터의 품질관리 기법 등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UNESCO-IHP 대표 시험유역인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관측소 6개 지점을 대상으로 토양수분의 거동을 분석하고 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ISMN)의 품질관리 기법을 적용하여 토양수분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거동 분석 결과 두 관측소의 경우(i.e., 부귀, 안천 관측소)를 제외한 모든 관측소에서 정상적인 토양수분 거동 형태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질관리 기법을 적용한 결과, 상 범주에 해당되는 관측 값은 없었고, 토양수분의 동결이 일어나는 경우도 일반적인 범위(~20%) 내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 강우 없이 토양수분이 증가하는 경우 또한 ~4% 이내로 나타났으며, spike의 경우 0.01%, plateau의 경우 ~5% 수준으로 선별되어 매우 양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관측소별 토양 특성이 고려된 Site-specific한 품질관리 기준이 마련된다면, 보다 신뢰도 높은 토양수분 기초자료의 생산을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화 특성에 의한 쌀의 분류 (Tentative Classification of Milled Rice by Sorption Kinetics)

  • 김성곤;정순자;김관;채제천;이정행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204-210
    • /
    • 1984
  • 일반계 12품종 및 다수계 9품종에 대한 수화속도를 비교하였다. 실온에서의 쌀의 수분흡수 속도 또는 물의 확산 계수는 품종마다 독특한 값을 보였다. 쌀은 수분 흡수 속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식미가 좋은 품종으로 알려진 쌀은 수분 흡수 속도가 낮았으며, 대부분의 다수계 품종은 중간 정도의 수분 흡수 속도를 보였다.

  • PDF

취반 가수율에 따른 품종별 쌀밥의 텍스쳐 특성 (Water Addition Ratio Affected Texture Properties of Cooked Rice)

  • 이수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10-816
    • /
    • 1996
  • 침지온도 $20^{\circ}C$에서 침지 후 30분에서 35분 사이에 대부분의 품종이 평형에 도달했으며, 평형수분 함량은 0.3247~0.3577(g $H_2O/g$ dry matter)로 나타났다. 초기 수분흡수 속도에서는 품종간에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낙동벼의 경우 0.123g $H_2O$/$min^{1/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취반 후 밥의 수분 함량은 가수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가수율이 1.3에서 1.6(v/w)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밥의 수분 함량은 품종에 따라 약 6.0~7.0%증가하였다 가수율에 따른 취반 후 밥의 경도는 가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끈기와 끈기대 경도의 비는 대체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바이오폴리올 함량에 따른 친환경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Eco-friendly Waterborne Polyurethane according to Bio-polyol Contents)

  • 장윤희;정부영;천정미;천제환;허필호
    • 접착 및 계면
    • /
    • 제23권2호
    • /
    • pp.33-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bio polyol 함량에 따라 bio polyol based 친환경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합성하고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olyester polyol(DT-1040)과 castor oil based polyol(COP)의 비율에 따른 bio polyol based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성공적으로 합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된 bio polyol based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Tg는 -70 ℃와 -30 ℃ 부근에서 나타났으며, COP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 구간이 넓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P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는 감소하였고, 접착력은 DT-1040:COP=7:3일 때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생물학적 복원기술에 의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 강희만;이주광;이용은;권수열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64-167
    • /
    • 2001
  • 현장에서 채취한 토양을 이용하여 Microcosm test를 실시한 결과 온도 및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BTEX 분해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소 농도는 21~32% 정도가 적당하였다. 그러나 BTEX 초기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생분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oventing 공법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 OUR(Oxygen Utilization Rate)값은 6.3~16.3%O$_2$/day로 조사되었으며 Biodegradation rate 값은 3.4~8.8 mg hydrocarbon/kg soil/day로 조사되어 생물학적 처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토양수분(土壤水分) 분포(分布)에 따른 토양내(土壤內) 양수분(養水分) 이동(移動) 모형(模型) -I. 불포화(不飽和) 토양(土壤)에서 용질(溶質)의 이동지연(移動遲延)과 수리동적(水理動的) 분산계수(分散係數)의 측정(測定) (Soil Water and Nutrient Movement Model Under Different Soil Water Conditions -I. Determination of Retardation and Hydrodynamic Dispersion Coefficient of Solute of an Unsaturated Sandy Loam Soil)

  • 정영상;우덕기;임형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4
    • /
    • 1990
  •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이 다른 조건(條件)에서 물이 이동(移動)할 때 동반(同伴)되는 용질(溶質)의 이동특성(移動特性)을 결정(決定)하는 지연계수(遲延係數)와 수리동적(水理動的) 분산계수(分散係數)를 수학적(數學的)으로 해석(解析)하고 일차원수평계(一次元水平系)의 사양토(砂壤土)에서 실험적(實驗的)으로 측정(測定)하였다. 용적밀도(容積密度)를 $1,350{\pm}50kg/m^3$인 사양토(砂壤土) 토양(土壤)에 수평(水平)으로 침투(浸透)되는 0.05% $CaSO_4$ 용액(溶液)의 수분전진(水分前進)을 Boltzman transform으로 나타내고 이를 표준(標準)으로 하였을 때 0.5% KCl, $CaCl_2$$KH_2PO_4$ 용액(溶液)의 용질전진(溶質前進)을 비농도(比濃度)로 표시(表示)하여 비교(比較)하였다. 용질농도(溶質濃度)의 분포(分布)와 수분분포(水分分布)로 부터 Laryea법(法)에 의하여 수리동적(水理動的) 분산계수(分散係數)를 계산(計算)하였다. 토양(土壤)-용액계(溶液系)에서 비반응성(比反應性) 용질(溶質)인 $Cl^-$의 전진(前進)은 물의 전진(前進)보다 늦었으며, 음(陰)ion 배제효과(排除效果)는 무시(無視)되었고 지연(遲延)은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 ${\theta}_n$의 함수(函數)로 ${\theta}/({\theta}-{\theta}_n)$로 해석(解析)되었다. 토양입자(土壤粒子)에 의하여 흡착(吸着)이 일어나는 $K^+$, $Ca^{{+}{+}}$, $H_2PO^-_4$의 전진(前進)은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과 지연계수(遲延係數) R의 함수(函數)로 $\frac{1}{1+R}{\cdot}\frac{{\theta}}{{\theta}-{\theta}_n}$으로 해석(解析)되며 R치(値)는 $Cl^-$를 1.0으로 보았을 때 $K^+$는 0.64, 0.80 및 2.6이었다. Langmuir 등온흡착식(等溫吸着式)을 이용(利用)한 지연계수(遲延係數) 계산(計算)은 다소의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적용가능성(適用可能性)이 있었다. 수분분포곡선(水分分布曲線)으로부터 산출(算出)된 물의 확산계수(擴散係數) $D({\theta})$는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에 관계(關係)없이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과 단일지수함수관계(單一指數函數關係)로 표시(表示)되었다. $$log\;D({\theta})=13.448{\theta}-9.288$$ $Cl^-$의 수리동적분포계수(水理動的分布係數)는 수분함량(水分含量) 0.36 이상(以上)에서는 물의 확산계수(擴散係數)와 비슷하였고 그 이하(以下)에서는 급격히(急激)히 감소(減少)하여 수분함량(水分含量) 0.2부근에서 자기확산계수(自己擴散係數)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K^+$, $Ca^{{+}{+}}$$H_2PO^-_4$의 수리동적분산계수(水理動的分散係數)는 수분함량(水分含量) 0.38에서 각각(各各) $5.5{\times}10^{-6}$, $2.4{\times}10^{-6}$$7.1{\times}10^{-7}m^2/sec$의 값을 보였고 0.36% 이하(以下)의 수분함량(水分含量)에서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으며 감소(減少) 경향(傾向)은 $H_2PO^-_4$가 가장 심(甚)하였다.

  • PDF

Scaling Factor를 이용한 토양수분특성곡선 추정모형 (Model Equations to Estimate the Soil Water Characteristics Curve Using Scaling Factor)

  • 엄기철;송관철;유관식;손연규;이상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7-232
    • /
    • 1995
  • 토양수분장력을 실측하지 않고도 토양수분장력을 추정하기 위하여, 입경분포가 서로 다른 10가지 토성의 134점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수분함량과 토양 수분장력을 측정한 후 scal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토양수분특성곡선을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별도의 205개 토양에 대하여 이 모형에 대한 실효성 검정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수분함량 측정치(${\theta}i$)에 대하여 토양수분장력이 10KPa 때와 1.5MPa 때의 수분함량을 이용하여 ${\theta}^*=[{\theta}i-{\theta}(1.5MPa)]$/$[{\theta}(10KPa)-{\theta}(1.5MPa)]$와 같이 scale변화된 수분함량(${\theta}^*$)을 구하도록 하였다. 2. Scale변환된 수분함량(${\theta}^*$)을 이용하여 토양수분 특성곡선을 구한 결과 토성별 계수의 차이가 거의 없이 H[unit : 0.1MPa]=$0.13{\cdot}({\theta}^*)^{-2.04}$로 나타낼 수 있었다. 3. 포장용수량과 위조점에서의 수분함량은 scale변환된 모래([S]) 및 미사함량([Si])과 유기물함량([OM])을 다음 식에 의해 그 추정이 가능하였다. ${\theta}(10KPa)=26.80-3.99ln[S]+2.36{\sqrt{[Si]}}+2.88[OM]$ ($R=0.81^{**}$) ${\theta}(1.5KPa)=15.75-2.86ln[S]+0.55{\sqrt{[Si]}}+0.70[OM]$ ($R=0.76^{**}$) 위 식에 의해 205개 토양별로 $\theta$(10KPa) 및 $\theta$(1.5MPa)를 측정한 후 이 값에 의거하여 산출된 ${\theta}^*$를 추정식에 적용하여 ${\theta}(1/30MPa)$를 추정하고 이 추정치와 실측치를 1 : 1 line상에서 비교해 본 결과, 실측치와 추정치는 아주 근사한 값($R=0.85^{**}$)을 나타내었다.

  • PDF

기상청 농업기상관측망 토양수분 관측자료 보정식 개발 (Development of Correction Formulas for KMA AAOS Soil Moisture Observation Data)

  • 최성원;박주한;강민석;김종호;손승원;조성식;전현정;정기열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34
    • /
    • 2022
  • 기상청은 농작물의 생육 및 관개를 비롯한 여러 농경활동에 미치는 토양수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국 11개 농업기상 관측지점에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자료가 폭넓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어 우선적으로 관측자료의 신뢰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업 토양수분 자료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품질 향상을 위해 적용할 보정식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먼저 관측 노장의 토양을 채취하여 토양수분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용적밀도, 용적수분함량, 토성 및 보수력 등의 물리적 성질을 분석하였다. 토성은 대부분의 관측지점에서 모래가 주성분인 사양토 또는 양질사토로 분류되었으며, 1.5 g/cm3 내외의 용적밀도를 나타냈다. 미사와 점토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능주와 익산 지점은 용적밀도와 보수력도 다른 곳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토성과 용적밀도, 보수력 사이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체 설계·제작한 '레퍼런스 토양수분 관측시스템'에 이러한 관측지 토양의 특성을 반영하여 레퍼런스 센서로 사용할 EnviroSCAN 모델의 실험실 보정이 이루어졌다. 보정 작업은 load cell에서 측정한 무게 변화로부터 계산된 토양수분함량과 보정할 센서의 측정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제조사의 default 보정식에 대해 추가 보정의 필요성은 없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보정이 완료된 레퍼런스 센서와 현업 센서의 비교 관측 실험이 11개 각 지점에서 3회 이상 실시되었다. 전반적으로 레퍼런스 센서와 현업 센서의 측정값이 변화하는 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현업 센서가 레퍼런스 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양수분을 과소평가하는 지점이 많았다. 두 센서 간의 편차는 장기간 건조 상태가 지속될 경우 일정한 추세를 유지하지만, 강수가 빈번한 시기에는 그 양상이 복잡해지는 특징이 있다. 비교 관측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기간별로 두 센서에 의해 관측된 자료의 범위와 평균을 이용하여 지점 및 깊이별 선형보정식을 개발하였다. 이 보정식을 수원 지점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뚜렷한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연속데이터에 보정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보정식이 산출되지 않은 기간의 구체적인 보정값 산정 방법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모든 관측지점에 대해 1년에 2회 정도의 주기적인 보정 작업이 토양수분 관측자료의 품질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