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변 식생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Vegetation of Doombeong selected as a reference site for restoring wetland (습지 복원을 위해 하나의 대조지소로 선정된 둠벙의 식생)

  • An, Ji Hong;Lim, Chi Hong;Jung, Song Hie;Lee, Chang Seo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2
    • /
    • pp.193-201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required for wetland restoration in Korea where wetland is very deficient. To arrive at the objective, we collected the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for wetland restoration in four Doombeongs located on Goesan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central Korea where maintains relatively integrate feature of Doombeong. Synthesized horizont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based on vegetation established naturally except that established by artificial interference, Potamogeton distinctus community,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Sagittaria aginashi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Scirpus triangulatus community, and Sparganium japonicum community,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Ludwigia prostrata community, Humulus japonicus community, Persicaria nodosa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 P. japonica community, and Scirpus radicans community, S. gracilistyla community,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community, and Rosa multiflora community, and Salix koreensis community and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community tended to be established in aquatic zone, herbaceous plant dominated vegetation zone, shrub dominated vegetation zone, and tree and sub-tree dominated vegetation zone, respectively. As the result of DCA ordination based on vegetation data collected from several Doombeongs and their surrounding areas, plant communities tended to be classified into aquatic, wetland, and riparian plant dominated stands. Spatial niche and species composition of major plant communities composing those stands were suggested as the reference information for creating ecological pond as a type of wetland. Further, the importance of wetland and the necessity of wetland restoration was discussed based on functions that the wetland displays.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river bed and biological health (하상 변화와 수생태계 건강성과의 관계 분석)

  • Choi, Mikyoung;Felix, Micah Lourdes;Zhang, Ning;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6-456
    • /
    • 2021
  • 하상 변화는 유량이나 유사의 흐름에 따라 침식, 운반, 퇴적되어 변화하며, 하상변동에 의한 결과는 하천의 형태 (직렬,복렬, 곡렬 등)나 서식처의 구조 (여울과 소, 웅덩이, 습지 등) 형성 로 나타난다. 이어서 서식처 구조의 다양성은 생물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 (유량이나 유사량)-지형(서식처 구조)-생태 (생물다양성)을 연계하여 관리하기 위한 생태적인 하천관리 프레임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형과 생물상의 관계를 우선 파악하고자 한다. 국내 하천은 수생태 건강성 평가 중 서식 및 수변환경 지수(HRI, Habitat and Riparian Index)를 활용하여 하천의 형상 및 자연성을 평가한다. 해당 지수는 하천의 자연성을 판단할 수 있으나 유량이나 유사량 등과 같이 수리적 조건과 연계하여 하천환경 변화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자연성을 판단하는 지형변수들을 제안하고, 생물상과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수질 변화가 급격하지 않는(년간 변화폭이 일정한) 금강 유역의 지천 (갑천, 미호천, 논산천, 유구천 등) 중 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수가 산정되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류 약 5 km 구간들을 대상으로 한다. 지형 변수로는 (항공사진을 이용한)사주 비율(사주면적/제방 내 홍수터 면적), 사주 식생비율(식생면적/사주면적)과 사주 변동량(연간 사주 이동량), 서식처 구조의 다양성(여울, 소, 웅덩이 등), 기존의 서식 및 수변환경 지수 등을 활용하고, 생물 변수로는 저서동물지수(BMI, Benthic Macroinvertebrate Index), 저서동물의 우점도, 어류생물지수(FAI, Fish Assessment Index), 어류생물지수에 활용하는 국내종의 총 종수, 여울성 저서종수, 민감종수 등을 활용한다.

  • PDF

Improvement of Small Wetland and Stream in Cultivated Area in point of Landscape Ecology (경작지 내 소규모 습지 및 소하천의 경관생태적 개선방안)

  • Cho, Hyun-Ju;Ra, Jung-Hwa;Kim, Jin-Hyo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29
    • /
    • pp.11-19
    • /
    • 2011
  • This research gives weight to establish practical improvement based on analysis of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 and valu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mall wetland and stream in cultivated areas functioning as a residual landscape element in rural landscape and to deal with ecological depression effectively. The results of summary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 analysis of wetlands biotop in total of 7 sites, for example, size of surface in site 5 was widely formed about $10,600m^2$, which was assessed satisfactory in terms of slope of waterfront, width of hedgerow, vegetation condition of composition and so on. Also, The number of flexibility showed 2 in site 8-1, the highest, and morphological diversity showed 1.47, the highest. 2) The results of problem analysis of wetland biotop, most of wetlands are analyzed that the width of hedgerow was below 1m. Also, the 4 wetlands in site 8 are appeared that hard to live slope vegetation in there because of slope of waterfronts are above $45^{\circ}$. 3) The results of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 analysis of stream in total of 6 sites, for example, width of waterfront in site 4 showed 55m, the widest, and investigated consist of natural ingredients such as soil, rock, gravel. However, width of waterfront in site 2-2 showed 4m, the narrowest, and inclined angle of slope was formed a right angle. 4) The results of problem analysis of stream, width of waterfront hedgerow in site 2-1 showed about 5m, which was very narrower than width of waterfront, and toxic chemicals discharged from near cultivated area without any filtering. Also, all areas of site 2-2 was formed concrete, and was assessed dissatisfactory in terms of capacity of nature purification, flood control, habitat living space because of straight stream. 5) Based on the result abov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 and problem analysis, main improvement guidelines are set in terms of shape, vegetation, topography in case of wetlands, and which are set in terms of vertical, horizontal structure in case of stream.

  • PDF

Non-Point Source Mitigation Analysis by Applying Riparian Area in Nakdong River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수변구역 조성에 따른 낙동강유역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분석)

  • Han, Kun-Yeun;Kim, Dong-Il;Park, K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97-601
    • /
    • 2007
  • 1990년대 정부는 비점오염원 부하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1995년부터 한강, 낙동강, 금강 그리고 영산강 이른바 4대강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의 조사연구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비점오염원의 경우 처리시설만으로는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특성 때문에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 마련과 제도적 관리방안의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지매수가 상수원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을 하고, 토지매수를 통한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 분석을 위해 토지매수에 따른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 변화 해석 및 토지매수에 따른 최적 수변녹지대 조성을 위한 식생 효과를 분석 하였다. 수변구역 내의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이 수변구역(riparian buffer strip), 또는 수변완충구역(riparian buffer zone)을 조성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수변구역은 하천유역의 토양, 식물, 동물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하천흐름을 조절하고, 물을 저장하며, 물에서 유해한 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수중 및 육상의 식물과 동물을 위한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수질과 수량 그리고 생태계 측면에서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낙동강 수계에 수변구역 조성시의 수질개선효과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지매수가 상수원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을 위해서 SWAT 모형을 적용하여 유량 및 수질모의를 실시하였다. 유역내 수변구역을 조성시 수변구역의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점오염원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로 대부분의 가정(家庭)은 아침 식사로 밥을 좋아하였다. (8) 편식을 고치는 것이 어렵다고 하였으며, 어린이 간식에 대하여는 깊은 관심을 나타냈다. 2. 영양교육(營養敎育) 현황실태(現況實態) (1)식생활(食生活)에 필요한 지식(知識)은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와 텔레비젼을 통해서 대체로 얻고 있다. (2) 음식과 영양섭취와의 관계성이 있다고 답한 주부(主婦)는 70.8% 이었으며, 가족(家族)의 영양(營養)에 대하여 늘 생각하는 주부는 60% 이었다. 3. 식품섭취 빈도 거의 먹지 않는 식품(食品)으로 버터가 43.%로 가장 높았고, 육류의 섭취율이 낮았다. 반면, 김치와 채소류의 섭취율은 높았다. 집단간의 상관도를 보면 교육별로 김치, 장아찌, 콩이 각각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고, 나머지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멸치가 유의한 차가 없었고(p>0.5), 수입별로는 콩이 유의한 차가 없었다(p>0.5). 4. 영양지식(營養知識) 검토 가정생활(家庭生活)에 필요(必要)한 일반적(一般的)인 영양지식(營養知識)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어린이 영양, 편식의 해로움, 비만증의 해로움, 임신부 그리고 수유부 영양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그다음으로 이유기 영양, 어린이 발육에 필요한 식품, 식품과 영양소와의 관계, 우유의 성분, 노인영양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비율이 낮았으며, 인체의 영양소, 식단작성여부, 간식의 이론, 식품감별법에 대하여는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각 영양지식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영양지식이 높았고, 교육별 집단간의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0.001

  • PDF

River Ecosystem and Floristic Characterization of Riparian Zones at the Youngjeong River, Sacheon-ci, Korea (사천시 용정천에서 하천 생태계와 하안단구 지역의 수변식물상)

  • Huh, Man K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7 no.3
    • /
    • pp.301-309
    • /
    • 2017
  • This study is examined river naturality and vegetative composition of river riparian zones to identify their most important sources of variation. Information on plant species cover and on physical characteristics that occur at upper, medium, and low areas was collected for 30 riparian plots located throughout the Youngjeong River in Korea. The riparian areas of river banks are dominated by mixed sediment and the vegetation is composed of herbs, shrub, and trees. The floristic characterization of riparian at this river during 2015 season was identified with a total of 28 families, 72 genera, 75 species, 13 varieties, 23 associations. The vegetations of low water's edge and flood way at upper region were naturally formed various vegetation communities by natural erosion. Forty plant species were identified around the upper region, where the dominant growth form was mostly trees. The flood way vegetation at middle region was both of natural vegetation and artificial vegetation. Land uses in riparian zones river levee at low region were bush or grassland as natural floodplain. The values of cover-abundance at upper, middle, and low region were total 9.26, 7.24, and 7.56, respectively. Grasses and forbs at the Youngjeong River have similar cover-abundance values. Recent, many riparian areas of this river have been lost or degraded for commer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s. Thus, monitoring for biological diversity of plant species of this river is necessary for an adaptive management approach an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cosystem management.

Field Survey of River Environment at River Basin of Cheongmi-Cheon (청미천 유역의 하천환경 조사 - 2008년 식생 및 어류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

  • Kim, Jin-Hong;Jeong, Sun-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84-198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식생 및 어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청미천 유역의 본류에 대한 하천 수변환경을 평가하였다. 하천 식생은 홍수 전과 후로 구분하여 2회 조사하였다. 식생 조사는 Braun-Blanque의 조사 방법에 따라 표본구 내의 출현식물에 대해 조사하였고 표본구 면적은 자생지 주변의 특징과 형성된 군락의 최소면적에 근거하여 $2{\ast}2m^2$ 결정하였다. 1, 2차 조사 결과 공히 국화과 식물이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식물이 많이 출현하였다. 청미천 조사구간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은 21개과 38종이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국화과 7종과 벼과 5종, 콩과 4종으로 출현종이 많이 조사되었다. 화봉천 합류점에서는 총 123마리를 포획하여 동종 분류한 결과 1개과 3개아과 7개종이 출현하였다. 1지점의 경우 출현어종은 모두 잉어과로 피라미가 48%로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었다. 죽산천 합류지점에서는 총 83마리를 포획하였으며, 출현어종은 1개과 2개아과 7개종의 어류이며 그중 붕어와 피라미가 각각 31%와 23%로 우점하고 있었다. 청미천 조사구간의 출현어종의 개체수를 보면 피라미 68.5%, 붕어 44.3%, 떡붕어 18.1%, 모래무지 14.3%, 왜매치 14.1%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타 출현어종은 대부분 4% 내외로 피라미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Accumulated Soil Carbon and Soil Respiration on Vegetation in Namhangang Basin (남한강 수변역식생의 토양탄소축적량과 토양호흡 특성)

  • Jung, Jisun;Yi, Joonseok;Lee, Jaeho;Shim, Kyomoon;Lee, Jaese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2 no.4
    • /
    • pp.363-370
    • /
    • 2014
  • Various ecosystem carry out fundamental function of material circulation and energy flow through interrelationship with many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it is crucial to scientifically understand the value of nature to deduc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 and change of ecosystem function.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accumulated ecosystem carbon and characteristics of soil respiration on grassland vegetation in Namahangang basin in Namhangang Basin.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soil respira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oil temperature in all communities. The measured soil respiration rates were $1,539mgCO_2\;m^{-2}h^{-1}$, $1,200mgCO_2\;m^{-2}h^{-1}$, $1,215mgCO_2\;m^{-2}h^{-1}$ in Miscanthus sacchariflorus, Phragmites japonica, Salix koreensis communities, respectively. Also, carbon quantities accumulated in litter and soil layers were $40.6tCha^{-1}$ (1.9+38.7), $46.9tCha^{-1}$ (43.0+3.9), $31.2tCha^{-1}$ (28.9+2.3) in M. sacchariflorus, P. japonica, S. koreensis communities, respectively.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Dongjin River (동진강의 식물상과 식생)

  • Lee, Kyeong-Bo;Kim, Chang-Hwan;Lee, Deog-Bae;Kim, Jong-Gu;Park, Chan-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3 no.1
    • /
    • pp.34-40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some vegetation information and to find out a way to conseue the ecosystem in the Dongjin River. The riparian vegetation was investigated by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from June 2001 to March 2002. The number of riparian plants were 73 families, 188 genera, 238 species, 33 varieties or 272 Taxa in Dongjin River. The characteristics of life farm spectra were 97 therophytes (35.7%), 78 hydrophytes (28.7%), 41 hemicryptophytes (15.1%) 22 geophytes (8.1%), and 12 chamaephytes (4.4%). The riparian vegetation was identified 8 plant communities (Potamogeton brechtoldii, Hydrilla verticillata, Ceratophyllum demersum, Potamogeton malaianus, Phragmites japonica, Persicaria thunbergii, Cardamine scutata, Persicaria hydropiper) in upstream, 4 plant communities (Zizania latifoliar, Phragmites communis, Persicaria thunbergii, Humulus japonicus) in midstream and 8 plant communities (Hydrocharis dubia, Ceratophyllum demersum, Trapa japonica, Zizania latifolia, Paspalum distichum, Phragmites communis, Pericaria thunbergii, Amphicarpaea edgeworthii) in downstream of the Dongjin River.

Effects of weir on the change of water quality (하천수계의 보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o, Yong-Chul;Ahn, Hong-Kyu;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33-1037
    • /
    • 2007
  • 하천의 수위를 유지하거나 농업용수를 취수할 목적으로 현재 국내에 약 18,000개 정도의 크고 작은 보가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 중에는 극히 일부에 어도와 같은 생태통로가 인위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더욱이 도시 인구 집중황 따른 도심부의 확대로 인한 농경지의 도시화, 경작 방식의 변화에 의한 논농사 위주에서 비닐하우스 단지로의 변화와 같은 토지이용의 변화, 대형 저수지의 축조/양수장 설치 등에 따른 취수 시설물의 통합,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매년 50-150개 정도의보가 폐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폐기되는 보는 하천에 그대로 방치되어 하천생태통로의 단절, 수질악화, 수변 서식처악화 등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야기시키고 있다. 연구지역은 경기도 고양시 곡릉천 곡릉2보로 선정하여 보 철거전 과 보 철거 후의 모니터링을 통한 수질분석을 시행하였다. 곡릉2보는 과거 취수용 보로 이용되었으나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로 용도를 상실한 보이다. 보 철거 전에는 보로 인한 보 상류 지역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정체구역이 생기고 부유물질이 많아지면서 수질 악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 철거 후에는 화학적으로 상류 하류지점에서 SS 및 BOD의 농도가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수질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 철거에 따른 수질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그 주변에 대한 상세한 이론은 아직 미미하다. 따라서 현재 국내외 보의 현황 및 보 철거 기술을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조건이 다른 보를 선정하여 하천의 보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보 관리방안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조성효과가 정성적으로 검증되었고 정량적인 관계 도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질개선 및 생태서식처 조성,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정책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한 예로 정부에서는 수변구역을 지정 고시하여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생태서식처를 조성함으로써 양질의 상수원과 건전한 생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를 시행 중이다. 수변 구역의 범위는 한강수변구역의 경우 약 $500{\sim}1,000m$로 설정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관리적 성격이 강하며, 향후에는 구체적인 조성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변구역 내에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변완충지대의 물리적 조건과 국내 지역 토착식생을 적용하여 시험완충지대를 조성하였고, 실험조건 하에서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 검증한 결과와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EX>$\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

  • PDF

Preliminary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ground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in riparian vegetation zones (식생사주 역에서 지하수위와 토양수분의 현장 기초 조사.분석)

  • Woo, Hyo-Seop;Chung, Sang-Joon;Cho, Hyung-Jin;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4-114
    • /
    • 2011
  •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 사주가 경관생태의 대부분을 이룬 이른바 'White River'이었으나, '70년대 이후 댐건설, 하천정비 등으로 유황과 유사이송 특성이 변하면서 수변에 식생이 번무하는 이른바 'Green River'가 진행 중이다. 하천에서 식생활착은 생태 측면에서 생물 종의 다양성에 일부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에, 고유종이 감소, 소멸하는 문제가 생긴다. 치수 측면에서는 흐름저항 증가와 하도의 고착화를 촉진시켜 치수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주 상 식생활착 현상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시작으로서, 하천 식생사주역에서 식생활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소류력과 토양 수분 등 2대 물리 요소 중에서 후자에 초점을 맞추어 토양수분 요인과 식생 이입, 활착, 천이와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모래하천인 낙동강 제1지류 내성천의 국가하천 구간 하류 지점인 회룡포 직상류 약 4km 지점을 시험하천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천수위, 지하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관측 시설을 가지고 1차적으로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 초까지 지하수위와 하천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주 상 식생 활착 특성도 주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번 일차 기초 조사 및 분석 결과, 하안에서 약 140-240m에 위치한 지하수위 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는 하천수위 변화에 비해 시간적으로 약 20시간 지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주 토양수분은 일반적으로 지하 깊이에 따라 커지나, 동시에 토층구조(soil texture)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