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변구역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Analysis of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of Imha reservoir using Geo-Spatial Data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한 임하호 수변구역 토사유실 분석)

  • Lee, Geun-Sang;Hwang, Eui-Ho;Park, Jin-Hyeog;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08-912
    • /
    • 2006
  • Geology and terrain of Imha basin has a very weak characteristics to soil erosion, so much soil particles flow into Imha reservoir and bring about high density turbid water when it rains a lot. Especially, since the agricultural area of Imha basin is mainly located in river boundary, Imha reservoir has suffered from turbid water by soil ero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influence of soil erosion to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for the reduction of turbid water. By applying GIS-based RUSLE model, this study can acquire 12.23% that is the ratio of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and is higher than area-ratio (9.95%) of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This is why the area-ratio of agricultural district (27.24%)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is higher than the area-ratio of agricultural district (14.96%) in Imha basin. Also as the result of soil erosion in sub-basin, Daegok basin shows highest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second is Banbyeon_10 basin and last is Seosi basin.

  • PDF

The Influence Analysis of GIS-based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GIS기반 수변구역의 토사유실 영향 분석)

  • Lee, Geun Sang;Hwang, Eui 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2D
    • /
    • pp.335-340
    • /
    • 2006
  • Geology and terrain of Imha basin has a very weak characteristics to soil erosion, so much soil particles flow into Imha reservoir and bring about high density turbid water when it rains a lot. Especially, since the agricultural area of Imha basin is mainly located in river boundary, Imha reservoir has suffered from turbid water by soil ero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influence of soil erosion to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for the reduction of turbid water. By applying GIS-based RUSLE model, this study can acquire 12.23% that is the ratio of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and is higher than area-ratio (9.95%) of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This is why the area-ratio of agricultural district (27.24%)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is higher than the area-ratio of agricultural district (14.96%) in Imha basin. Also as the result of soil erosion in sub-basin, Daegok basin shows highest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second is Banbyeon_10 basin and last is Seosi basin.

Deduction of Best Design Factor of Riparian Buffer Zone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ants (비점오염 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최적 인자 도출을 위한 연구)

  • Kim, Sung-Won;Choi, I-Song;Jung, Sang-Jun;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88-1792
    • /
    • 2007
  • 한강 "수변구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인 수변완충구역, 또는 지대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변완충지대 효과 분석 및 설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구역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그 밖의 하천 연안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차단과 처리능력을 증진시키고 수변 생태계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수변완충지대의 수질정화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을 창출하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변완충지의 추가적인 조성과 보완, 시험완충지 생태구조 및 기능 기초조사, 시험완충지 오염부하 저감효과의 실험 및 분석, 수변완충지대 설치 구상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수변완충지대 조성 시 설정 폭을 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수행 지역은 한강수계 지역으로 남한강 수변인 경기도 양평군 병산리에서 실시하였으며, 잔디와 갈대, 갯버들, 혼합지역, 자연그대로의 상태(대조지역)의 5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거리별, 깊이별 샘플을 채취하여 유입수에 대한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변완충지대의 설계 시 필요한 유역의 폭, 면적, 길이 등과 같은 설계인자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Non-Point Source Mitigation Analysis by Applying Riparian Area in Nakdong River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수변구역 조성에 따른 낙동강유역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분석)

  • Han, Kun-Yeun;Kim, Dong-Il;Park, K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97-601
    • /
    • 2007
  • 1990년대 정부는 비점오염원 부하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1995년부터 한강, 낙동강, 금강 그리고 영산강 이른바 4대강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의 조사연구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비점오염원의 경우 처리시설만으로는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특성 때문에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 마련과 제도적 관리방안의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지매수가 상수원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을 하고, 토지매수를 통한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 분석을 위해 토지매수에 따른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 변화 해석 및 토지매수에 따른 최적 수변녹지대 조성을 위한 식생 효과를 분석 하였다. 수변구역 내의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이 수변구역(riparian buffer strip), 또는 수변완충구역(riparian buffer zone)을 조성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수변구역은 하천유역의 토양, 식물, 동물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하천흐름을 조절하고, 물을 저장하며, 물에서 유해한 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수중 및 육상의 식물과 동물을 위한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수질과 수량 그리고 생태계 측면에서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낙동강 수계에 수변구역 조성시의 수질개선효과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지매수가 상수원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을 위해서 SWAT 모형을 적용하여 유량 및 수질모의를 실시하였다. 유역내 수변구역을 조성시 수변구역의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점오염원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로 대부분의 가정(家庭)은 아침 식사로 밥을 좋아하였다. (8) 편식을 고치는 것이 어렵다고 하였으며, 어린이 간식에 대하여는 깊은 관심을 나타냈다. 2. 영양교육(營養敎育) 현황실태(現況實態) (1)식생활(食生活)에 필요한 지식(知識)은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와 텔레비젼을 통해서 대체로 얻고 있다. (2) 음식과 영양섭취와의 관계성이 있다고 답한 주부(主婦)는 70.8% 이었으며, 가족(家族)의 영양(營養)에 대하여 늘 생각하는 주부는 60% 이었다. 3. 식품섭취 빈도 거의 먹지 않는 식품(食品)으로 버터가 43.%로 가장 높았고, 육류의 섭취율이 낮았다. 반면, 김치와 채소류의 섭취율은 높았다. 집단간의 상관도를 보면 교육별로 김치, 장아찌, 콩이 각각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고, 나머지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멸치가 유의한 차가 없었고(p>0.5), 수입별로는 콩이 유의한 차가 없었다(p>0.5). 4. 영양지식(營養知識) 검토 가정생활(家庭生活)에 필요(必要)한 일반적(一般的)인 영양지식(營養知識)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어린이 영양, 편식의 해로움, 비만증의 해로움, 임신부 그리고 수유부 영양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그다음으로 이유기 영양, 어린이 발육에 필요한 식품, 식품과 영양소와의 관계, 우유의 성분, 노인영양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비율이 낮았으며, 인체의 영양소, 식단작성여부, 간식의 이론, 식품감별법에 대하여는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각 영양지식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영양지식이 높았고, 교육별 집단간의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0.001

  • PDF

An Analysis of Land Use Patterns in Riparian Zones for the Geumho River Watershed Management (금호강 유역관리를 위한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분석)

  • Park, Kyung-Hun;Oh, Jeong-Hak;Jung, Sung-G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2
    • /
    • pp.157-16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patterns of riparian zones and water quality in the Geumho River watershed. A GIS database included digital land use maps (1:25,000), stream network extracted from digital topographic maps (1:5,000) and riparian zones maps by multi-buffering metho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 30 meter buffer strip on each side and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riparian-level land use patterns, sub-watersheds on the lower Geumho River including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mainly developed as urban area such as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ones, while sub-watersheds on the middle Geumho River and the main course of Nakdong River, agricultural ones such as a paddy, a dry field and an orchard. Meanwhile, the area-rate of riparian forest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filtering nitrogen, phosphorus and sediment was estimated below the average 16%. The proportion of urban area in a 30 meter riparian bufferstrip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ater quality in each sub-watershed. But the proportion of forest area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ater quality. Hencefo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ndscape planning for preparing and restoring the riparian buffer zones, concerning land form, soil type, the present land use pattern and economic aspects.

  • PDF

Producing A Digital Orthoimage Cadastral Map For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front (수변구역의 효율적관리를 위한 수치정사영상지적도 제작)

  • 김감래;황보상원;김경록;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13-51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수변구역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토지에 대한 자연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수치정사 영상과 필지를 중심으로 토지에 대한 물리적 현황 및 소유권이 미치는 범위를 나타내는 지적도면을 중첩한 수치정사영상지적도의 제작방법의 효율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변구역 경계관리를 위하여 작성된 수치정사영상지적도는 수변구역의 경계관리 목적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지적재조사사업 시행시 임야 및 농경지의 경계를 새로이 설정할 경우 경제적이고 시각적이며 활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일본의 수변구역 관련 생태탐방시설 견학

  • 환경보전협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6 no.5_6
    • /
    • pp.24-29
    • /
    • 2004
  • 환경보전협회와 한강유역환경청에서는 지난 4월 27일부터 30일까지 4일간 일본의 생태탐방시설을 견학하였다. 이번 탐방의 주요 목적은 남한강변에 위치한 한강생태학습장의 운영, 관리에 접목시킬 수있는 일본의 수변구역 생태탐방시설의 운영, 관리 사례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중략>

  • PDF

A Study on Producing Digital Orthophoto Cadastral Map of Waterfront (항공사진에 의한 수변구역 수치정사영상지적도 제작에 관한 연구)

  • Kim Kam Lae;Hwang Bo Sang Won;Lim Gun Hyuk;Park Se 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2 no.4
    • /
    • pp.349-357
    • /
    • 2004
  • In order to manage the waterfront efficiently, we are to find the efficiency of producing method for digital orthophoto that presents natural form on lands and digital orthophoto cadastral map that presents the range of physical situation and property on lands in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We can check that digital orthophoto cadastral maps for the boundary management of the waterfront are utilized widely at various field except the main purpose. Thus, we resolve the leading subjects that include the accuracy evaluation on produced maps and the bond edge of map sheet for the cadastral maps in order to drive activistic utilization and application.

The effects on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Yong-dam Reservoir according to the BMP techniques (BMP 기법에 따른 용담호 호수수질 개선효과)

  • Kim, Soon-Tack;Kim, Tae-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39-243
    • /
    • 2008
  • 본 연구는 용담호 유역을 대상으로 BMP 기법 중 하나인 수변구역이 호수수질의 개선효과를 규명하였다. 용담호의 수변구역 조성은 호수주변 1km, 금강본류 양안 500m로 지정되었고, 지정된 수변구역으로 인해 개발이 억제되며, 비점오염물질의 원인이 되는 논, 밭, 과수원, 기타재배지, 기타나지를 초지로 변경하여 호수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제한한다. 저감되는 비점오염물질량을 정량화 하기 위하여 유역모형인 SWAT 모형으로 호수로 유입되는 부하량의 감소를 산정하였고, 감소된 유입부하량을 호수모형인 WASP 모형에 연계하여 개선된 호수수질을 정량화 하였다.

  • PDF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Change for Riparian Buffer Zone KyangAn Watershed (경안천 유역 수변구역 경관구조 변화 분석)

  • Kim, Kyung-Tak;Kim, Joo-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3
    • /
    • pp.74-83
    • /
    • 2005
  • The Riparian Buffer Zone has many potential values including the preservation of water quality as well as being ecologically friendly.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landscape structure index of the Riparian Buffer Zone in the Kyoung-an stream and to produce base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per management. The study used aerial images that were applied to geometric corrections for a time series from 1966 to 2000 for land data and also used FRAGSTATS, which is a type of ARCVIEW extension module, as an analysis tool. An analysis of land use change and the Landscape Index revealed that the area of farm land has decreased and that the area of residential property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re was a slight change for land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farming or for residenc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andscape Structure Index, revealed that the NP has increased from 437 in 1966 to 695 in 2000. This data reveals that the change of land use is influenced by various artificial factors. The NPS, which represents the declining degree of patch, decreased from 9.441 to 5.934, revealing that the change of land use has been progressing considerably. In regard to forest areas, land use reduced somewhat but did not indicate a significant change. Therefore, an analysis of the total index reveals that the edge of patch has become more complicated and that the variation index of patch has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is study reveals that barriers to block pollution have weakened as a result and that there is a need to concentrate on the implementation and the management of the Riparian Buffer Zone. Consequently, this study reveals that substantial research is necessary in order to carry out the proper management of the Riparian Buffer Zone, especially in light of the distribution type of each patch and the change in conditions regarding th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