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미산(須彌山)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4초

백제 노자공이 조성한 수미산에 대한 연구 - 일본 석신유적에서 발굴된 수미산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Shumi-sen, Built by Baekjae Nohjagong - Excavation of Japanese Stone God Ruins, Centered on Mt. Sumeru Stone -)

  • 이규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13-121
    • /
    • 2010
  • 노자공이 일본 아스카시대 궁원 남정을 만들었다는 수미산은 인도의 우주관에서는 성산(聖山:Sumeru),중국의 불교적 세계관에서는 묘고산(妙高山)의 형태를 상징화한 것으로 이해되며, 풍륜-수륜-금륜-지륜을 각각 4개의 돌조각에 조각한 조립형 석조물로 추정된다. 노자공의 수미산기록 외에, 일본서기 수미산 등장 4차례의 기록은 수미산이 옥외에 설치된 정원의 구성요소이자 주요 경물로서의 역할을 하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일본서기 기록의 문구와 그 표현으로 보아 수미산을 중심으로 경물들을 조합하여 활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모두 향연을 위한 특별한 행사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석신유적에서 발굴된 수미산석이 노자공이 오교와 더불어 만든 수미산인지는 현재 확인할 수 없으나, 이후 궁원의 정원시설물로 되풀이되어 조성된 '수미산형의 석조물'은 노자공이 황궁 남정에 조성한 수미산과 동일한 것이거나, 최소한 노자공이 만든 수미산을 원형으로 그 이후 재차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수미산을 기본으로 돌과 연못을 함께 이용하며 원지를 조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노자공이 오교와 함께 만들었다는 수미산은 불교의 수미산의 형상을 최대한 구상화한 형태인 동시에 축경수석이었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수미산의 외형과 기능을 수미산석으로 미루어 추정할 때, 수미산 표면의 문양은 백제시대에 제작된 백제금동대향로나 산수산경문전 그리고 활석제불보살병립상 후면의 문양에서 표현되고 있는 여러 겹으로 겹친 산악 문양 등의 도상과 매우 흡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미산석의 형태 및 구조를 고려할 때 수미산석 분수시설에 적용된 원리는 수위 차에 따른 압력을 이용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를 적용하여 물을 이동 분출한 것으로 보이며, 향연 등을 목적으로 한 실용수석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감자와 유색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neral and Colored Potato)

  • 장혜림;홍주연;김남조;김민하;신승렬;윤경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144-150
    • /
    • 2011
  • 우리나라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일반감자 '수미'와 일반감자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유색감자 6종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성분 및 환원당,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무기질 그리고 색도를 측정하였다. '수미'는 유색감자에 비해 수분 함량이 높았으며, 탄수화물은 '레드'가 18.0%로 감자 중 가장 많았고, 조회분 함량은 모든 유색감자가 '수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단백, 조지방 함량은 '자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섬유 함량은 '블루'가 1.6%로 가장 높았고, 그 함량은 '수미'의 2배였다. 환원당 함량은 유색감자 중 '로즈'와 '블루'가 '수미'의 3배 이상이었으며, fructose와 glucose가 대부분인 '수미'에 비해 유색감자는 sucrose의 함량이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rginine, ${\gamma}$-aminobutyr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유리당은 품종 간 그 함량과 조성이 매우 다양했다. 또한 유기산 함량은 '하령'이 $507.1mg{\cdot}100g^{-1}$으로 가장 높았으며, 무기질은 모든 감자에서 칼륨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Hunter 'L' value는 '자서'에서,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 value는 '블루'와 '자심'에서 높았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b' value는 단면이 노란색을 띄는 '하령'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유색감자는 '수미'에 비해 많은 양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우수한 품질 특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소재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품종별 한국산 감자의 전분 특성 비교(I)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veral Korean Potato Starches)

  • 김경애;김선민;정난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3-62
    • /
    • 1989
  • 분질감자인 남작, 중간질감자인 세풍과 수미, 점질감자인 대지마로부터 전분을 분리하여 입자의 형태, 이화학적 성질 및 호화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전분입자는 모두 원형과 타원형이고 입자의 크기는 남작과 세풍 전분은 $11~30\mu\textrm{m}$ 수미와 대지마 전분은 $21~40 \mu\textrm{m}$의 입자가 주를 이루었다. Blue value, 아밀로오스 함량, 상대결정도, 밀도는 남작 전분이 가장 높았으며 대지마전분이 가장 낮았다. 물결합 능력, 팽윤력, 광투과도,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최고점도와 breakdown은 수미전분이 가장 높았으며 남작 전분이 가장 낮았다. 호화개시온도는 남작 전분이 가장 높았으며 수미 전분이 가장 낮았다. DSC에 의한 호화엔탈피는 품종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 PDF

국내산 신품종 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ew Domestic Potato Cultivars)

  • 최희돈;이해창;김성수;김윤숙;임학태;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82-388
    • /
    • 2008
  • (주)포테이토밸리에서 개발한 감자 신품종인 구이밸리, 보라밸리, 고구밸리와 기존 품종인 수미의 영양성분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조단백은 수미가, 회분은 고구밸리가, 탄수화물은 보라밸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산은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와 같은 필수지방산의 비율이 높으면서 품종간 함량 차이는 거의 없었다. 무기질 함량은 고구밸리가 가장 높았으며, K와 P가 주요 무기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이밸리는 전분 함량이 높고 환원당 함량은 낮아 가공용 감자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품종이었고, 식이섬유와 vitamin C는 고구밸리가 기타 품종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산의 경우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그리고 ${\rho}-coumoric$ acid 등이 정량되었고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가 주요 페놀산이었으며, 보라밸리가 가장 높은 페놀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DSC 분석 결과 호화개시 온도는 수미에 비하여 밸리 품종이 비교적 높은 호화개시 온도를 나타내었고, 피크온도도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호화 엔탈피는 구이밸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RVA 상의 페이스트 온도는 DSC 결과에서의 호화개시온도 경향과 유사하였으며, 구이밸리가 가장 높은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를 나타내었다.

국내산 감자 주요 품종의 아미노산 및 단백질 조성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Domestic Potato Cultivars)

  • 권오윤;김미연;손찬욱;류희문;김형진;윤원기;김환묵;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7-123
    • /
    • 2008
  • 국내에서 생산된 감자 중 세풍, 남서, 수미, 조풍 및 대서의 5가지 품종에 대하여 단백질 profile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총 질소함량은 $1.27{\sim}1.64%$이었으며, 남서가 높았고 수미가 낮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품종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한편, 주요 감자 단백질은 papatin(40 kDa), trypsin inhibitor(20 kDa) 및 protease inhibitor(15 kDa)이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각각 $22.16{\sim}25.81%$, $25.22{\sim}20.91%$$14.12{\sim}25.23%$이었다. Papatin 함량은 조풍, 세풍, 수미감자가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 trypsin inhibitor는 조풍감자가 5.22%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Protease inhibitors인 20 kDa와 15 kDa를 합한 값은 $24.7{\sim}35.0%$이었으며, 세풍이 가장 적었고 조풍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젖산 발효 감자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actic Acid Fermented-Potato Juice)

  • 김남조;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42-549
    • /
    • 2013
  • 본 연구는 일반감자와 내부에 적색 또는 보라색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하는 유색감자에 probiotic 기능을 가진 젖산균을 이용하여 칼로리가 낮고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난 젖산발효 감자주스를 제조하여 이들 감자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감자주스의 유리당 함량은 발효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glucose의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다. 감자주스의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malic acid, tataric acid, citric acid 등 다양한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발효에 의해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하령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반면 수미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기능성 아미노산인 ${\gamma}$-aminobutyric acid(GABA)가 모든 감자주스에서 높은 함량 검출되었고 특히 자영에서 발효 전후 각각 232.9와 214.7 mg/100 mL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후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유색감자 중 자영주스에서 가장 높았고 하령과 자영에서는 발효에 의해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수미와 홍영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모든 감자주스에서 약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자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에 의해 소거능이 크게 감소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자영주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령을 제외하고 발효 후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모든 감자주스에서 약 45%로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발효에 의한 감소율은 적었다. 이상의 결과, 발효 후 감자주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감소하였지만 대부분의 영양성과 기능성이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기능성 probiotic 효과와 항산화 활성을 갖춘 기능성 음료로써의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편성물의 아크릴산 그라프트 중합시 키토산 첨가에 따른 항균성 및 물성 (Antimicrobial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Acrylic Acid Grafted Cotton Kintted Fabrics added with Chitosan)

  • 김수미;송화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52-125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lti-functional fabrics by chitosan added on acrylic acid grafted cotton kintted fabrics. Therefor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ntimicrobial activity, deodorization rate, moisture regain, whiteness, and tensile strength of chitosan added on acrylic acid grafted cotton kintted fabric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increased chitosan's concentration, grafting yield was decreased. Therefore thickness of film by treated chitosan added on acrylic acid grafted cotton kintted fabric became thin. FT-IR spectra of chitosan add on acrylic acid grafted cotton kintted fabric clearly showed peaks of COOH and NH$_2$. Antimicrobial activity and deodorization rate of chitosan add on acrylic acid grafted cotton kintted fabrics were increased greatly than untreated. And their durability of laundry were good, Moisture regain of treated fabrics was higher than untreated. Whiteness and tensile strength of treated fabrics were lower than untreated.

불교우주론(佛敎宇宙論)과 사원구조(寺院構造)의 관계성 고찰 (A Consideration on Relationship of Buddhist Cosmology and Temple Structure)

  • 염중섭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1호
    • /
    • pp.65-84
    • /
    • 2008
  •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temple structure in Korea was formalized by the ceremonial principle based on the Buddhist cosmology. But, there have been no concrete studies on how far the two ha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what significance it implies in it.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temple structure reflects the Sumeru Mount cosmology which is the Buddhist cosmology, there is still uncertain asp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research is a more concrete approach on what kind of corelation the Sumeru Mount cosmology has with the Korean temple structure. For this, the levels of related documents on the Buddhist cosmology and the Sumeru Mount cosmology have been arranged first. Then, on this basis, it is searched with what symbolism the cosmology has been accepted in the temple structure. The temple is a sacred space that holds Buddha and a profane space which the sattva (ordinary people) can approach at the same time. The site of the temple is also a land that is connected to the residence of sattva and a blissful area of prayer that they can be born again through Buddha at the same time. Thus, the double characteristics of sanctity and profanity are finally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 view point of Jinsokburi(Truth and Worldliness are not different), and the temple structure reflects this significance through the symbolism very well. Therefore, the correct recognition on the temple structure can be said as an important aspect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Buddhism.

  • PDF

홍합 모사 카테콜기가 도입된 키토산 지혈제 연구 동향 (Recent Progress in Mussel-inspired Catechol-conjugated Chitosan Hemostats)

  • 조성연;김수미;박찬우;홍승원;김홍기;류지현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4호
    • /
    • pp.113-119
    • /
    • 2023
  • 홍합의 수중 접착능력은 도파(DOPA)와 라이신(Lysine), 히스티딘(Histidine)과 같은 홍합접착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고, 이에 따라, 카테콜과 아민기를 동시에 갖는 접착성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물질을 기반으로 다양한 의공학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카테콜기가 도입된 키토산은 아민이 풍부한 키토산에 카테콜기를 도입한 카테콜아민으로, 이를 이용하여 조직접착제나 창상치유제, 지혈제, 약물전달체 및 조직공학용 담체 등 다양한 의공학적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키토산-카테콜 물질은 지혈제로 미국 및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아, 연구개발에서부터 제품개발까지 이루어진 홍합 모사 물질이다. 이에 본 총설에서는 지혈제로써의 키토산-카테콜 물질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카테콜기가 도입됨에 따라 나타나는 키토산-카테콜의 특성, 지혈 메커니즘, 다양한 제형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무수동 유회당 원림(하거원(何去園))의 산수체계와 공간구성 (A Study on the Natural Landscape System and Space Organization of Musudong Village's Yuhoidang Garden(Hageohwon))

  • 신상섭;김현욱;강현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06-115
    • /
    • 2011
  • 대전 무수동에 가꾸어진 유회당 원림(하거원)의 산수체계 및 문화경관 구성요소를 '유회당집'(18C)에 근거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회당(권이진)은 보문산 남쪽 지맥 무수동에 자신의 이상세계를 반영한 하거원 원림을 경영했다. 즉, 1707년 마을 뒷동산에 선묘를 자리잡은 이후 시묘소(삼근정사) 조성, 1713년 납오지, 1714년 반환원, 그리고 1727년에 외부공간을 확충하여 하거원 원림을 완성했다. 마을의 산수체계는 대둔산-오대산-보문산이 차례로 이어져 주맥을 이루는데, 주산인 보문산의 지맥(응봉)에서 동쪽으로 뻗은 구릉이 청룡이며, 보문산의 서쪽 지맥(천근과 사정)이 백호이고, 남산은 안산이 된다. 한편, 주륜산에서 발원한 서남쪽 내(川)가 외명당수가 되고, 응봉에서 발원한 계류(내명당)가 마을 동쪽을 관류하여 남서쪽으로 출수되는 배산임수 체계를 보여준다. 마을 동쪽으로 펼쳐지는 계류와 자연 암반 등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조성된 초기의 정원(반환원)은 납오지, 활수담, 고수대, 수미폭포, 도경(복숭아나무 오솔길), 오덕대(감나무), 매룡(매화나무), 샘, 배경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반환원을 확장하여 조성된 하거원은 계류와 4개의 연못, 5개의 대(臺)와 3개의 대숲(竹林), 그리고 석가산 축경원 등 수목석 경색(景色)이 어우러진 원림을 구축했다. 의미경관 요소로 (1) 부모님 추모를 위한 유회당, (2) 가문 화합을 염원한 납오지, (3) 절개를 귀하게여긴 고수대, (4) 덕과 지혜의 의미를 일깨운 오덕대, (5) 고매한 인간됨을 염원한 수미폭포, (6) 상서로움을 취한 요천대, (7) 은일자의 삶을 대입시킨 수만헌과 기궁재, (8) 가문과 학문 발전을 염원한 활수담, (9) 선조의 은혜를 일깨운 몽정, (10) 은둔자의 모습을 표현한 석가산, (11) 묘역지킴의 기쁨과 은퇴후의 삶을 위한 하거원 등을 들수 있다. 하거원의 공간구성체계는 (1) 유회당 내원(內園: 납오지와 죽천당, 오덕대, 도경과 후정 등), (2) 수만헌별업(유회당 후원(後園): 석연지와 요천대, 수만헌과 배경대, 암석원 등), (3) 석가산(12봉) 축경원(縮景園, 수만헌 동원(東園): 활수담과 수미폭포, 12봉 가산 등), (4) 마을 뒷동산에 자리잡은 선조들의 묘원(墓園), 그리고 여경암 암자와 산신각(공동체 토속신앙 제례처), 거업재(서당) 등은 유불선(儒彿仙)이 융화된 선경처로서 원근의 계절미를 시원스럽게 부감(俯瞰)할 수 있는 차경원(借景園)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