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면 유도

Search Result 22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a Character for the Sleep Induction of Infants (영유아 수면 유도 캐릭터에 관한 연구)

  • Oh, Jeong-seok;Youn, Ho-chang;Jeon, Hyun-joo;Kim, Tae-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87-388
    • /
    • 2017
  • 영유아의 경우 심리적 안정과 어머니 품의 대용품으로 애착 인형을 갖고 자는 경우가 있다. 수면 유도 제품들의 특징과 ICT와 융합을 통한 캐릭터 개발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캐릭터의 분석과 아이의 수면의 형태에 대한 관찰일지를 바탕으로 캐릭터 구현의 개요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Stress and Dyspepsia, Sleeping, Satisfaction of Adult Women in Rural Area (성인 여성들의 스트레스와 소화불량 및 수면장애와의 관련성)

  • Kim, Yeong-Hee;Cho, Soo-Yeul;Kang, Pock-Soo;Lee, Kyeong-Soo;Kim, Seok-Beom;Kim, Sang-Kyu;Kang, Young-Ah;Hwang, Young-Lor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5 no.1
    • /
    • pp.51-63
    • /
    • 2000
  • Ten Dong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cluster sampling in Koryong Gu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71 women in the age between 30-69 years. The first survey was performed for 6 days between August 27 to September 1, 1999 with the investigation rate of 60.3%, and the second survey was performed in November with the investigation rate of 91.8%. The contents of survey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dyspepsia symptom score, sleeping induction time and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and degree of stress in the subjects. The dyspepsia symptom score was in the average 13.4 points out of a total 44 points and was the highest in the 50-59 year-old age group with 13.9 points. The sleep induction time was in the average of 35 minutes and was the highest in the 50-59 year-old age group with 40.9 minutes;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was in the average of 7.9 points and was the lowest in the 50-59 year-old age group with 7.5 points. The stress score was in the average of 18.3 points and was highest in those subjects in their 40's and 50's with 18.7 points. When the correlation among the stress score,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and dyspepsia symptom score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he stress score and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that the stress score and dyspepsia symptom sco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lso,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and dyspepsia symptom score. According to each age group,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revealed among the stress score, dyspepsia symptom score and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in those subjects over 40 years of age compared to those subjects who were younger than 40 years of age. As for educational level, the correlation among the stress score,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and dyspepsia symptom score was higher in those subjects with less than middle school education compared to those subjects with more than high school education. When those factors that effects on the dyspepsia symptom score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stress and chronic disease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When those factors that affected on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e sleep induction time and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and stres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ose women in their 50's who live in rural area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tress, lowest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and highest level of dyspepsia, indicating that they need stress management. Also, since stress was showe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effecting on dyspepsia or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it is concluded that health promotion is possible through stress management. More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on coping resources that would strengthen coping against stress, and by conducting studies on stress and related factors on community people, the measures of mental health promotion need to be developed.

  • PDF

Design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mprovement of Sleep Disorder Based on Multi-sensor (멀티센서 기반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설계)

  • Lim, Sung-Hyun;Park, Seok-Cheon;Park, Jang-Ho;Kim, Eung-Hwa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11a
    • /
    • pp.243-245
    • /
    • 2012
  • 대표적인 수면장애로 수면 무호흡증과 코골이가 있는데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수면다원검사는 비용적,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수반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려는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수면장애와 그 요인을 검출하기 위해 가속도센서, 소음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로 구성된 측정 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와 건강, 운동, 생활습관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떤 요인에 의해 수면장애의 정도가 악화되고 개선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설계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와 뷰어 역할에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일반인이 보다 쉽게 측정하고 측정결과와 추론결과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sleep stage classifier for the sleep-inducing portable neurofeedback system (포터블 수면유도 뉴로피드백 시스템 구현을 위한 수면뇌파 상태 분류기 성능 평가)

  • Lee, Tae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1
    • /
    • pp.83-90
    • /
    • 2018
  • Recently, many people have suffered from insomnia, labor loss, cognitive decline, and mental illness.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almost entirely cognitive therapy or medication, but it is not recommended in the long term due to side effects and dependency problem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uro feedback system based on portable EEG that helps induce sleeping. We design and evaluate the EEG classifier,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to implement the system, and propose an optimized classifier modeling method for various factors that can affect performance. When using the proposed classifier, we could distinguish 97.9% of awakening and sleep phase in portable EEG.

Study of sedation according to neurologic and non-neurologic pediatric patients (소아연령에서 질환별 진정에 관한 연구)

  • Kim, Jeong Hwa;Kim, Min Seon;Lee, Dae-Yeol;Kim, Sun J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1 no.10
    • /
    • pp.1047-1051
    • /
    • 2008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sedatives for pediatric patients using noninvasive procedures. Methods : We performed a prospective study in 446 (aged 1 month-21 y) consecutive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sedation to study noninvasive sedation techniques from February to August 2007. We reviewed demographic data, sedative drugs, dosage, complications, and successful rates of sedation according to the underlying diseases. Results : The overall successful rate of sedation was 435/446 (97.5%). The overall rate of successful sedation using chloral hydrate was 99.1% (420/424), and was 70.6% (12/17) and 60.0% (3/5) with ketamine and midazolam, respectively. Of the neurologic patients (n=172, aged 1 month to 21 years), 136 patients were sedated for EEGs, 5 patients for renal scans, and 31 patients for neuroimaging studies such as brain CT or MRI. All non-neurological patients (n=274, aged 1 month to 5 years) were diagnos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and sedated for renal scan. The overall success rate of sedation for this group was 99.6% (273/274). A total of 14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3.1%). Most adverse reactions were mild in severity and clinically insignificant. Conclusion : Using chloral hydrate alone has enough effect to sedate non-neurologic patients. However, neurologic patients in the severe course group, especially those suffering from intractable epilepsy, autism, or severe cerebral palsy, must be medicated with chloral hydrate 2 times at most; instead, injections of ketamine or midazolam in the early stage may result in a more promising outcome.

A study on sound sleep effects of a sleeping pack (슬리핑팩의 숙면효과에 관한 연구)

  • Park, Se-Jin;Jeon, Byeong-Bae;Jeong, Eun-Hui;Gu, Jun-Mo;Hong, Yeon-Ju;An, Seong-Yeon;An, Sun-Ae;Choe, Ji-Yeong;Gwon, Mi-Jeong;Seo, Hyeo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5-148
    • /
    • 2009
  • 심신의 편안함과 안정이 숙면에 미치는 영향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향에 대한 심리생리적 효과 또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숙면 유도 향과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 슬리핑팩의 효과에 대한 생리적 반응과 설문지를 통한 숙면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수면지연시간, 3-4 단계의 비율을 비교 하였다. 실험결과 슬리핑팩 A와 B는 일반적 및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상태에 비해서 입면지연시간이 짧았고, 3-4 단계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설문지 결과 또한 슬리핑팩을 사용하고 수면을 취했을 때 숙면을 취한 것으로 피실험자들이 느꼈다.

  • PDF

HEC-RAS를 이용한 수위-유량곡선 유도

  • 이영화;이창수;박기범;조현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106-11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수위-유량곡선식의 정도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수위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수면경사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수위와 HEC-RAS 3.1.1 의 부정류 계산을 하여 얻어진 수위를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한 값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관측된 유량과 계산된 유량의 상대편차는 5.37%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수면경사법을 이용하여 수위를 계산하여 수위-유량곡선식을 유도하는 것보다 HEC-RAS 3.1.1 부정류 모형을 이용한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수위-유량곡선식을 유도하는 것이 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The System for Inducing Sleep Using Neuro-Feedback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수면 유도 시스템)

  • Kim, Min-Gwan;Lee, Jung-Been;Lee, Taek;Lee, Heon-Jeong;In, Hoh Peter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3.11a
    • /
    • pp.1706-1708
    • /
    • 2013
  • 최근 규칙적인 수면을 이루지 못해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좌시하기 어려울 정도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수면장애 치료를 위한 보편적인 방법은 수면제 투여이나, 약물의 지속적인 투여로 인해 약물의 내성 및 의존성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비약물적인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를 통해 환자가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이완시킬 수 있는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치료를 위해서는 병원과 환자 모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자 혼자서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좀 더 효율적인 수면장애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우리 나라 성인 중 73.4%가 불면증 경험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4 no.4 s.257
    • /
    • pp.11-11
    • /
    • 2000
  • 수면은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삶의 영역이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많은 현대인들이 수면의 즐거움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수면 장애에 의한 졸리움증으로 생기는 사회적ㆍ개인적 손실의 규모를 연간 약 150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을 정도다. 우리나라 성인 중에 수면 장애의 하나인 불면증을 경험한 사람의 비율은 73.4%나 될 정도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정작 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면장애에는 크게 불면증을 보이는 수면 장애, 낮에 과도한 졸리움을 일으키는 수면 장애, 자다가 이상한 행동을 보이는 수면 장애로 구분되어지는데 우리가 일상에서 인식하는 수면 장애는 불면증 정도로 그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이러한 수면 장애를 해결하는 방법의 이해 부족으로 수면제나 담배, 술 등에 의존하기 쉽고 단순히 잠을 자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려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면 장애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다면 그 해결 방안은 의외로 간단하다. 우리의 몸속에 있는 생체 시계의 주기를 규칙적으로 맞추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면은 신체적인 요소보다는 정신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편안한 마음가짐과 무의식적인 수면 유도가 필요하다. ('이달의 건강길라잡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건강길라잡이 홈페이지(http://healthguide.hihasa.re.kr)에 있습니다.)

  • PDF

Accuracy Analysis of SIV(Surface Image Velocimetry) according to Interval Change between Images (영상간의 시간간격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분석)

  • Kim, Seo-Jun;Yu, Kwon-Kyu;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56-1960
    • /
    • 2010
  • 최근 이상홍수 및 하천정비 등으로 인해 갈수시 또는 홍수시 하천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량측정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존 유량측정 방법은 고비용과 다수의 측정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전자장비를 이용한 비접촉식 유량측정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 중에 있다. 이 중 간편하고 측정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표면영상유속계(SIV, Surface Image Velocimetry)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표면영상유속계는 일정 시간 간격을 갖는 두 영상을 분석하여 유속을 계산하기 때문에 수표면이 움직이는 시간보다 두 영상 사이의 시간 간격을 길게 할 경우 잘못된 상관영역을 찾게 되어 유속 측정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영상간의 시간간격 변화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간의 시간간격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분석을 위해 현장에서 수면 요철이 발생하는 근경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내의 수면 움직임의 최소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대부분의 수면 요철은 0.1 ~ 0.2 초 내에서 발생하였다. 측정 결과 일반 캠코더를 이용하여 초당 최대 30장의 영상을 이용하여 하천 표면유속을 측정한다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