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막종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116초

세침흡인 생검으로 진단된 안와 수막종 - 1예 보고 - (A Case of Orbital Meningioma Diagnosed by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 이지신;김경수;이민철;박창수;정상우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6-179
    • /
    • 1994
  • Orbital meningioma is a rare neoplasm that, even when suspected by CT or echographic examination, requires careful histologic study for precise identification. Fine needle aspiration(FNA) biopsy has become the diagnostic technique of choice in recent years for investigating orbital masses. There have been a few previous reports on FNA biopsy of orbital menigioma. We experienced a case of orbital meningioma in a 11-yr-old boy, diagnosed by FNA biopsy. The cytohistologic features of aspirated material (intranuclear inclusions, psammoma bodies, and cells arranged in whorls) made it easy to diagnose a meningloma.

  • PDF

폐의 원발성 수막종 -1예보고- (Priamry Pulmonary Meningioma -A Case Reprot-)

  • 장운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2호
    • /
    • pp.199-202
    • /
    • 2000
  • Primary pulmonary meningioma is an extremely rare disease. It is mostly benign and asymptomatic. This tumor shows the same cytohigstologic appearance as brain or spinal cord meninioma. It can be diagnosed as a primary pulmonary meningioma only if there is no evidence of metastasis from the brain or spinal cord meningioma. W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pulmonary meningioma in a 60-year-old woman who had asymptomatic 2 cm-sized solitary pulmonary tumor in the right lower lobe. It is rather peripherally locate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ha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either well-differentiated epithelial malignancy such as papillary adenocarcinoma or mucoepidermoid carcinoma or metastatic carcinoma such as from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Right lower lobectomy was performed. The tumor was bilobated and soild with yellowish color. pathologically it proved to be a primary pulmonary and solid with yellowish color. Pathologically it proved to be a primary pulmonary meningioma because there was no evidance of brain or spinal cord tumo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ed in Korea.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 PDF

문화재 수막설비의 소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estion special quality of cultural asset meninges equipment)

  • 김유식;육창일;최현탁;신민종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103-108
    • /
    • 2010
  • 2000년 이후 세계적인 기상이변과 환경변화는 지구촌 곳곳에 많은 인적 물적 피해를 가져 오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화재들은 우리에게도 예외 일 수는 없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반복된 낙산사화재, 숭례문화재, 항일암 등. 문화재 화재는 우리의 유구한 문화유산의 소실은 물론 많은 국민들에게도 적지 않은 충격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일들이 더 이상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문화재 화재안전 및 방재 시스템에 적합한 보다 체계적인 수막설비의 인프라 구축과 문화재 화재 예방에 효과적인 방재시스템의 적용 및 관리규정 그리고 메뉼의 연구가 있어야 한다.

  • PDF

양성 뇌종양에 대한 분할 정위 방사선치료의 예비 결과 (Preliminary Results of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for Benign Brain Tumors)

  • 최병옥;강기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10-18
    • /
    • 2003
  • 목적 : 양성 뇌종양에 대하여 분할 정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의 임상 경과 및 방사선 반응 등을 추적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3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양성 뇌종양으로 진단 받고 분할 정위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36례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대상 환자의 종양은 뇌하수체 선종 12례, 두개인두종 5례, 수막종 10례, 청신경초종 9례 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종양의 위치, 종류, 크기에 따라 5~10회 분할 치료로 85~90%의 등선량 곡선에 25~35 Gy까지 조사하였다. 임상 추적관찰 기간은 2~74개월(중앙값 31개월)이었고, 방사선 추적 관찰 기간은 4~56개월(중앙값 21개 월)이었다. 결과 : 임상 증상이 있었던 35례 중 분할 정위 방사선치료 후 임상 증상의 호전은 13례(37.1%)에서 보였으며, 16례 (45.7%)에서 증상의 변화가 없었고 증상의 악화는 6례(17.2%)에서 관찰되었다. 뇌신경장애를 동반한 28례 중 7례(25%)에서 증상 개선을 보였다. 추적 방사선 검사를 시행한 33례 중 17례(51.5%)에서 종양 크기의 감소를 보였으며, 그 중 7례(21.2%, 뇌하수체 선종-2, 두개인두종-3, 수막종-1, 청신경초종-1)는 종양의 완전 소실을 보였다. 13례(39.4%)에서 종양 크기의 변화가 없었고, 3례(9.1%)는 종양 크기의 진행을 나타내었다. 급성 부작용은 11례(30.6%)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 양성 뇌종양의 분할 정위 방사선치료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시행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었다. 그러나, 정확한 역할에 대해서는 좀 더 많은 환자와 장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뇌 수막종 및 낭종에서 자기공명영상 펄스 시퀀스 변화에 따른 신호대잡음비의 통계적 접근 (Statistical Approach of Measurement of Signal to Noise Ratio in According to Change Pulse Sequence on Brain MRI Meningioma and Cyst Images)

  • 이을규;최관우;정회원;장서구;김기원;손순룡;민정환;손진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345-352
    • /
    • 2016
  • 본 연구는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질환관심영역(ROI)을 설정하여 신호대잡음비(SNR)를 펄스 시퀀스 별로 분석하여 MRI CAD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200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서울소재 대학병원에서 뇌 조영자기공명영상(Brain MRI Contrast Enhancement)을 검사한 환자 117명이다. 측정이 용이한 질환 2종류 수막종(Meningioma), 낭종(Cyst)을 측정대상으로 하였고, 측정방법은 Image J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뇌질환의 SNR값을 측정하여 SPSS Statistics21 통계프로그램으로 ANOVA 분석을 하였으며 p < 0.05에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시퀀스별 SNR의 평균값, 95% 신뢰 구간 값, SNR 평균차이 값 등을 분석하였다. 각 질환의 시퀀스별 분석결과는 Meningioma: T1CE > T2 > T1, FLAIR (p<0.05); Cyst: T2 > T1, T1CE > FLAIR (p < 0.05)였다. SNR 수치로 시퀀스들의 특징을 조합하여 질환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 향후 자기공명영상검사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고, 판독보조진단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1예 수막 혈관외피세포종에 있어서의 재발 및 신경계외 전이 (Recurrence and Extraneural Metastasis in 31 Meningeal Hemangiopericytomas)

  • 김정훈;김준수;김창진;황승균;정희원;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349-357
    • /
    • 2001
  • 목 적 : 높은 재발율과 전이 가능성의 특징을 갖고 있는 수막 혈관외세포종은 perivascular pericytes에서 기원하는 드문 종양으로, 저자들이 경험한 수막 혈관외세포종에 있어서 종양의 재발 및 신경계외 전이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82년부터 1999년까지 수술을 시행하여 수막 혈관외세포종으로 진단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진단 후 재발까지의 기간, 재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인자들, 그리고 신경계외 전이의 기간 및 부위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31명의 환자들 중 12명의 환자들에서 원발성 부위에 종양이 재발하였다(38.7%). 전체의 환자들에서 재발이 발생하지 않았던 평균 기간(recurrence-free period : RFP)은 104개월이었으며 처음 수술 후 5년, 그리고 10년의 재발이 발생하지 않았던 율(recurrence free period : RFP)은 각각 59.2%, 33.6% 이었다. 원발성 부위에 종양의 재발을 보였던 12명의 환자들 중 4명의 환자들에서 첫 수술 후 5년 이후에 재발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처음 수술시의 절제 정도가 재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처음 수술시에 완전 절제한 군의 RFP는 111 개월이었으며, 추적 관찰 5년째 RFR는 완전 절제한 경우 72.7%, 불완전 절제한 경우 20.8%로 그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p=0.0060).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지만 완전 절제 후 부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을 경우가 완전 절제만을 시행한 경우보다 RFR가 높아 추적 관찰 5년째의 RFR는 각각 100%, 그리고 70.3% 이었다(p=0.3359). 4명의 환자들(12.9%)에서 수막 혈관외세포종의 신경계외 전이가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신경계 외 전이의 평균 기간은 107개월, 그리고 추적 관찰 5년, 10년째의 신경계외 전이율은 각각 4.4%, 24.9% 이었다. 결 론 : 수막 혈관외세포종은 수술적 제거 후 원발성 부위에 또는 원발성 부위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재발의 가능성이 무척 높은 종양이다. 이러한 재발의 가능성을 줄이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수술적 제거 정도로 처음 수술시에 가능한 완전 절제를 시도하여야 한다. 그리고 처음 수술시에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다고 하여도 완전 절제 후 부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재발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원발성 부위의 재발 또는 신경계외 전이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가능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개에서 발생한 요추 혈관종성수막종 증례 (Lumbar Angiomatous Meningioma in a Dog)

  • 손정민;김보은;정선영;지서연;윤대영;권오경;김대용;최민철;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2-155
    • /
    • 2014
  • 11년령의 중성화된 수컷 Schnauzer 가 후지마비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6개월 전부터 후지의 운동실조를 보이다가 3개월 전부터는 좌측 후지의 불완전마비를 보였으며, 2주 전부터는 양측 후지의 완전마비 증상을 나타내었다. 신경계 검사에서 양측 후지의 완전마비와 자세반사 및 심부통 소실이 확인되었으며, 척수반사는 항진되어 있었고 자발배뇨는 불가능한 상태였다. 흉요추 부위의 MR (0.3 Tesla) 영상 검사가 실시되었다. 척수를 심하게 압박하는 하나의 종괴가 요추 2번 수준에서 확인되었으며, 종괴는 좌측 및 등쪽으로 경질막과 넓게 접하고 있었다. 종괴는 T1 강조 영상에서 척수와 비슷한 신호 강도를 보였으며, T2 강조 영상에서는 고신호를 보였다. 조영 후 T1 강조 영상에서는 고도의 균일한 조영 증강을 보였으며, 경계는 명확하고 "dural tail sign" 을 동반하고 있었다. 이러한 영상학적 특징으로 부터 경질막내 척수외 종양이 고려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수막종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었다. 좌측 편측후궁절제술 및 등쪽 후궁절제술이 실시되었다. 부분적으로 경질막과 유착되어 있는 하나의 경질막내 종괴가 척수를 압박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종괴는 유착된 경질막 부분과 함께 완전히 제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혈관종성수막 종으로 진단되었다.

자기공명척수조영술을 이용한 수술 후 척추 뇌수막액 누출 평가 (Detection of Surgery-related Spinal Cerebrospinal Fluid Leakage Using Magnetic Resonance Myelography)

  • 구현정;김상준;정선주;임승철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2호
    • /
    • pp.149-153
    • /
    • 2013
  • 척추 수술의 합병증으로 뇌척수액 누출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영상학적으로 진단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기공명척수조영술을 이용하여 척추 수술 후 뇌척수액 누출을 확인하였던 두 환자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두 환자는 각기 요추 추간판 절제술과 척추 수막종 제거술을 받은 뒤 심한 두통을 호소하였다. 두 환자의 자기공명척수조영영상에서 척추 뇌수막액 누출 부위가 확인되었고, 이에 대해 환자들은 각각 epidural blood patch와 재수술을 받았다. 이 두 사례에서 자기공명척수조영술은 척추 뇌수막액의 누출 부위를 정확히 보여주었고, 척수강과 가성수막류 (pseudomeningocele) 사이의 교통로를 잘 나타내주었다. 척수 수술 후 뇌수막액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 자기공명척수조영술이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분비성 수막종의 입착도말 소견 -1예 보고- (Cytologic Features of Secretory Meningioma in Squash Preparation -A Case Report-)

  • 김세훈;이광길;김태승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2-55
    • /
    • 2004
  • Secretory meningioma is a distinct subtype of meningioma. We describe the cytologic features of a secretory meningioma on squash preparations, in comparision with other cytologic mimickers. A 54-year-old woman presented with hearing loss, vertigo, tinnitus, and headache for seven years. A brain MRI study revealed a 4.5cm sized mass in the cerebellopontine angle, which showed homogenous signal intensity in T2-weighted image. The intraoperative squash smear showed some well-defined, thin rimmed intracytoplasmic inclusions, containing a finely granular eosinophilic core among less cohesive meningiomatous cells. Histologic sections revealed a meningothelial meningioma with scattered inclusions, with periodic acid-Schiff,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cytokeratin positivity.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 intracytoplasmic inclusions is helpful for diagnosing secretory meningiomas. On squash preparations, differential diagnoses included tumors with inclusions or cytoplasmic vacuolizations, such as metastatic mammary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gastric adenocarcinoma,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clear cell ependymoma, oligodendroglioma, hemangioblastoma, chordoma, and other variants of meningiomas (clear cell, xanthomatous, microcytic, and chordoid variants). In addition, the possibilities of glioma with eosinophilic granular body, and metastatic tumors from mammary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gastric adenocarcinoma,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meningioma should be considered.

후방 경유법에 의한 경추부 수막종 제거후 발생한 전방 경막외 혈종 - 증례보고 - (Anterior Spinal Epidural Hematoma after Posterior Approach in Cervical Meningioma - Case Report -)

  • 서동상;김범태;조성진;장재칠;신원한;최순관;변박장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2호
    • /
    • pp.261-264
    • /
    • 2000
  • We report a case of anterior spinal epidural hematoma, after removal of cervical meningioma by posterior approach, which occurred in a 61-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left hemiparesis and hypalgesia. A cervical mass surgically confirmed as meningioma was removed by posterior approach. 3 hours after operation, the patient revealed quadriparesis with respiratory difficulty. We herewith report a rare case of anterior spinal epidural hematoma which caused a catastrophic aggrevation of postoperative cour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