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쇼핑 가치 유형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초

인터넷쇼핑 상황에서 보상프로그램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Reward Programs on Brand Loyalty in Online Shopping Contexts)

  • 김지헌;강현모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39-63
    • /
    • 2012
  • 보상프로그램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브랜드충성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보상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왔다. 또한 이들은 연구대상으로 인터넷쇼핑몰보다는 주로 오프라인 매장을 사용하였다. 이는 인터넷쇼핑 상황에서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효과가 실제로 유의한지 그렇다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함을 의미한다. 한편, 소비자는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할 때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고자 하는 실용적 동기와 쇼핑 그 자체를 즐기고자 하는 쾌락적 동기를 가지게 되며, 인터넷쇼핑몰은 소비자들의 이러한 양면적 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치(실용적 또는 쾌락적 가치)있는 경험들을 제공함으로써 브랜드충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인터넷쇼핑몰이 제공하는 보상의 유형이 실용적인지, 쾌락적 인지에 따라 다른 유형의 쇼핑 가치를 강화함으로써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 인터넷쇼핑 상황에서의 보상프로그램이 오프라인 쇼핑상황에서와 동일하게 브랜드충성도를 제고하는데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보상프로그램 가치인식 → 브랜드신뢰, 브랜드감정 → 브랜드충성도" 경로를 추가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분석함으로써, 보상프로그램 가치인식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또 다른 경로가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상의 유형(실용적 vs. 쾌락적)에 따라 "보상프로그램 가치인식 → 브랜드신뢰, 브랜드감정 → 브랜드충성도" 관계가 조절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10개의 가설 및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20대 남녀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후,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해 가설들을 검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제공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온 브랜드충성도에 대한 보상프로그램의 효과가 인터넷쇼핑 상황에서도 유의함을 보여줌으로써 인터넷쇼핑몰이 보상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논리적 근거를 마련해주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된 "보상프로그램 가치인식 → 프로그램 충성도 → 브랜드충성도"의 경로가 인터넷쇼핑 상황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상프로그램 가치인식 → 브랜드신뢰, 브랜드감정 → 브랜드충성도"의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나 인터넷쇼핑몰이 제공하는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가치인식은 오프라인 매장과는 다른 경로를 통해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인터넷쇼핑몰이 제공하는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가치인식이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쾌락적 보상보다는 실용적 보상이 더 크게 나타난 반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가치인식이 브랜드감정에 미치는 영향은 실용적 보상 보다는 쾌락적 보상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할 때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더 추구하는 가치의 유형(실용적 vs. 쾌락적)을 파악하여 이를 강화할 수 있는 유형의 보상을 제공하거나 소비자가 스스로 보상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경우, 브랜드신뢰와 브랜드감정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브랜드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 PDF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쇼핑가치에 따른 의류점포속성 중요도 비교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of Apparel Store Attributes for Shopping Valu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 박나리;장영실;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862-18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복쇼핑가치 유형을 밝히고 쇼핑가치 유형에 따라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의 의류점포속성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 세분집단에서 한국과 중국에 대학생들에 따라 의류점포속성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한국의 경우 고 관여 쇼핑 집단의 응답자들은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 편의성, 판매원의 행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쾌락적 쇼핑 집단인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를 더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고 관여 쇼핑 집단이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 점포 서비스, 제품의 구색과 편의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쾌락적 쇼핑 집단에서 한국 응답자들은 중국 응답자들 보다 서비스를 더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중국의 응답자들은 점포의 편의성 더 한국의 응답자들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저 관여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은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분위기와 서비스, 다양한 상품의 구색을 갖추고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고 관여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은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판매원의 행동 부분들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중국의 응답자들은 한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거리와 같은 편리성 부분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실용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이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서비스, 상품구색, 판매원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대학생의 쇼핑가치유형 및 소비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Consumption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Shopping Value Types of College Students)

  • 서인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3호
    • /
    • pp.1-1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onsumer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hopping value, (2) to reveal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on consumer competenc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6 university students dwelling in Seoul. A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survey method. The data was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requencies, percentile, mean, factor analysis, K-mean cluster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multiple linear regressions. Computations were conducted by SPSS WIN 12.0. The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ollege students can be categorized into 3 shopping values by K-means Cluster analysis of 13 items: the hedonic shopper (shopping value), the utilitarian shopper (shopping value) and the balanced shopper (shopping valu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d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shopping value. That is, grade 3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group had a higher level of consumer competency. Third, the variable that influenced consumer competency was the utilitarian shopping value, influencing consumer attitude and consumer skill. These results imply that consumers should be constantly educated and that there needs to be a campaign to promote utilitarian shopping value.

  • PDF

사례 유사도와 웹 마이닝을 이용한 XML 기반 경매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n XML-Based Auction System Using Case Similarity and Web Mining)

  • 조항철;이용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48-354
    • /
    • 2001
  • 웹 상에서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발전된 개념인 온라인 경매시스템은 쇼핑몰과는 달리 물품등록, 입찰 및 낙찰, 물품거래의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매시스템은 입찰 및 낙찰과정에서 거래 당사자간에 신뢰성 있는 가격을 결정짓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격 결정 방식에 따른 인터넷 경매의 종류와 유형을 분석한 후 경매 시스템 사용자들에게 사례 유사도와 웹 마이닝을 이용한 가격 정보를 제시하여 객관적인 기준으로 경매 물품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표준화된 데이터 표현 방법인 XML을 이용한 인터넷 경매 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의류(衣類)쇼핑가치(價値)와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 유형(類型)에 따른 소비자(消費者) 태도(態度) (Influence of Window Display and Clothing Shopping Value on Consumer Attitude)

  • 권혜숙;신은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5호
    • /
    • pp.64-78
    • /
    • 2007
  •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male and female group, image display wa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product display in the dimensions of 'interest' and 'impression, and the product display presented higher scores than the image display in the dimensions of 'information'. Second, in the dimensions of 'interest', more interest was demonstrated in image display for both male and female consumer group irrelevant to clothing shopping values. The pleasure pursuit consumer group of male and female presented more interest toward the both types of window display. Third, in the dimensions of 'information', the product display had more effect for both sex groups and the pleasure pursuit consumer group was seeking more information than the others groups through the window display. Fourth, in the dimensions of 'impression', the image display formed stronger impression and image for both male and female consumer group and the pleasure pursuit group showed higher score of impression format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의류상품 유형별 쇼핑스타일과 소비가치 관계 연구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Style and Consumption Value of Apparel Products)

  • 오현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7-40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hopping style and consumption value of apparel product type, and to establish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 on shopping style.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63 women aged between 20 to 49 in Gwangju on their shopping style and consumption value according to formal and casual product typ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version 17.0). Results showed that shopping style could be influenced by six factors: fashion-recreational, quality-brand, impulsive, confused, brand-loyal, and price conscious consumer. Clothing consumption value was influenced by five factors: emotional, functional, epistemic, social, and situational value. Shopping style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 formal product purchaser and a casual product purchaser. Consumption valu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hopping style of the formal product purchaser and also the casual product purchaser.

성별, 쇼핑동기, 플로우 경험이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der, shopping motivation, flow experience on shopping behavior)

  • 최자영;이규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53-6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쇼핑행동 이해에 필요한 쇼핑 동기, 쇼핑 플로우 경험, 그리고 구매 간의 관계에서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이에 대한 인과구조 모형을 개발하여 그 모형에 대한 실증 분석을 하였다. 또한 쇼핑 동기는 성별의 차이가 크다는 여러 이론 및 연구를 바탕으로 성별이 쇼핑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성별과 쇼핑동기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5개의 쇼핑동기 중 제품획득 쇼핑동기를 제외한 기분전환, 아이디어 추구, 사회적 상호작용, 자아만족, 가치추구 쇼핑동기가 플로우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로우 경험이 높을수록 구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는 플로우의 선행변수로써 과거의 선행연구에서 강조하였던 모험심 및 능력이 아닌 동기가 쇼핑플로우 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쇼핑 플로우가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분석을 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인터넷 탐색가치와 인터넷 쇼핑물 유형에 따른 의류제품 쇼핑 웹사이트 속성 평가의 차이 (Differences across Types of web Navigation Value and Shopping Mall in Evaluation of website attributes for Apparel Shopping)

  • 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42-653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s were 1) to identify web navigation values and classify consumers based on these values and 2)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 groups and between types of shopping mall in evaluation of website attributes when shopping apparel.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204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experienced shopping at the website, living in Cheju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t-test. Two factors of navigation value were found and labeled as; information value and entertainment value. Two groups were identified based on navigation value; users of information value (53%) and users of entertainment value (47%).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found in evaluating website attributes selling products of various types regarding apparel products and processes for information search, order and payment. However, for shopping mall website selling only apparel products,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 in evaluating most attributes except for two items to evaluate apparel products. Differences between shopping mall types (shopping malls selling products of various types and selling only apparel product) were significant in evaluation of internet users of information value regarding attributes of apparel products while differences between shopping mall types were not significant in evaluation of users of entertainment value regarding all attributes. Internet users of information value showed favor to shopping mall website of department store type chi e internet users of entertainment value showed favor to shopping mall website selling only apparel products.

대학생소비자의 인터넷탐색가치유형과 인터넷쇼핑에 대한 혜택-위험 지각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Perception to Internet Shopping′ Benefit - Risk in Relation to the Internet Searching Value Types of College Student Consumers)

  • 홍은실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61-173
    • /
    • 2002
  • This study explored the Internet searching values(utilitarian searching value and hedonic searching value) of college student consumers, typed the Internet searching values to four types, and analysed the level of perception to Internet shopping' benefit-risk according to the Internet searching value types. The subjects were 361 college students. We used Cronbach'$\alpha$, multiple 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as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According to the Internet searching values, college student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 high utilitarian/high hedonic type, high utilitarian/low hedonic type, low utilitarian/high hedonic type, and low utilitarian/low hedonic type. 2) Both high utilitarian/high hedonic type and low utilitarian/high hedonic type had high level of perception to Internet shopping' benefit-risk.

디바이스 유형을 고려한 온라인 멀티 채널 마케팅 효과 (The Effect of Online Multiple Channel Marketing by Device Type)

  • 신하정;남기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0권4호
    • /
    • pp.59-78
    • /
    • 2018
  • 다양한 디바이스 유형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등장으로 온라인 환경에서 고객들의 탐색 및 구매 행동은 더욱 세분화 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고객 구매여정에서의 마케팅 채널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드러나는 UI(User Interface)와 UX(User Experience)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글로벌 쇼핑몰의 대규모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고객들의 유입 채널 효과를 분석하였다. 온라인 쇼핑을 활성화 시키는 디바이스 유형을 구별하고, 디바이스 유형에 따라 방문을 증진시키는 유입 채널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고객의 과거 쇼핑 누적 경험과 유입 채널 전환 행태를 통해 방문과 구매액 미치는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판별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고객이더라도 디바이스 선택에 따라 활용하는 마케팅 채널이 달라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온라인 소매업체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디바이스 유형을 고려하여 멀티 마케팅 채널 환경에서의 고객 의사결정과정을 더욱 잘 이해하고 최적의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 글로벌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얻어진 유의미한 결과를 기반으로 경영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계량 경제 모델을 활용하여 의미 있는 이론적립에 학문적으로 기여한다. 실제 온라인 쇼핑 마케팅 담당자들이 시도할 수 있는 전략적 통찰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