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속효성비료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3초

산림고형비료(山林固型肥料)와 화학비료(化學肥料)의 비효비교시험(肥効比較試驗) (Experiment for Comparing the Effect of Forest-use Solid Fertilizer and Chemical Fertilizers)

  • 정인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20
    • /
    • 1977
  • 본시험(本試驗)은 화학비료(化學肥料)로서 요소(尿素), 중과석(重過石), 염화가리(鹽化加里)와 주우산림용고형비료(住友山林用固型肥料)를 비료성분량(肥料成分量)으로서 동량(同量)을 1회(回) 시용(施用)하였을 때의 시비수준별(施肥水準別) 비효(肥効)를 4년간(年間) 조사(調査) 연구분석(硏究分析)하여 본 것이다. 1. 비종간(肥種間)에 있어서 화학비료(化學肥料)는 속효성비료(速効性肥料)이므로 비효(肥効) 1차년도(次年度) 및 2차년도(次年度)에 주(主)로 나타나고 3차년도(次年度)에는 비효(肥効)가 떨어졌으며 주우산림용고형비료(住友山林用固型肥料)는 비교적(比較的) 지효성(遲効性)이므로 시비후(施肥後) 1차년도(次年度)에는 비효(肥効)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차년도(次年度)부터 서서(徐徐)히 비효(肥効)가 나타나 3차년도(次年度)에 크게 나타났으며 4차년도(次年度)까지 비효(肥効)가 지속(持續)되었다. 2. 시비초년도(施肥初年度)는 주우산림용고형비료(住友山林用固型肥料) 시용구(施用區)보다 화학비료(化學肥料) 시용구(施用區)가 좋았으나 시비(施肥) 2차년도(次年度) 이후(以後)는 산림용고형비료(山林用固型肥料)가 비효(肥効)를 인정(認定) 할 수가 있었으며 화학비료(化學肥料)는 주우산림용(住友山林用) 고형비료(固型肥料)보다 6.2%에 비료(肥料)의 유실(流失)이 있었다. 3. 시비수준(施肥水準)에 있어서 본당(本當) 40~80g를 시용(施用)하여야 하며 1회(回) 시비(施肥)한 비효(肥効)는 3년간(年間) 지속(持續)되었다. 임목(林木)에 있어서는 보통(普通) 시비당년(施肥當年)에는 엽색(葉色)만이 농록색(濃綠色)을 띄고 있으며 생장량(生長量)에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며 화학비료(化學肥料)는 2차년도(次年度)에 주우산림용고형비료(住友山林用固型肥料)는 3차년도(次年度)에 크게 비효(肥効)가 나타났다. 4. 이상(以上)의 연차별(年次別) 시비효과(施肥効果)로 보아 적량(適量)을 시비(施肥)하여 화학비료(化學肥料)는 1년(年)걸려 2년(年)마다 시비(施肥)하거나 매년(每年) 시비(施肥)하는 것이 좋고 산림용(山林用) 고형비료(固型肥料)는 2년(年)걸려 3년(年)마다 시비(施肥)하거나 2년(年)마다 시비(施肥) 하여도 무방(無妨)하므로 성력적(省力的)이라고 힐 수 있다. 5. 산림용(山林用) 고형비료(固型肥料)는 식재시비시(植栽施肥時) 과도(過度)한 시비(施肥)를 하여도 비소해(肥燒害)가 없으므로 편리(便利)하며 성력적(省力的)이다. 6. 끝으로 바라고 싶은것은 산림용(山林用) 초고성능고형비료(超高性能固型肥料)를 하루 속(速)히 제조이용(製造利用)하여 다량(多量)의 비료(肥料)를 임지(林地)에 시용(施用)하여 지력(地力)을 배양증대(培養增大)시켜 고갈(枯渴)된 산림자원(山林資源) 조성(造成)에 원활(圓滑)을 기(期)하여야 한다.

  • PDF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완효성비료 효과 (Effect of Latex Coated Urea on Growth and Yield in Rige Direct Dry Seeding for Water-saving Rice Culture)

  • 최원영;최민규;김상수;이재길;이문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1-225
    • /
    • 2002
  • 본 연구는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매시 완효성비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소비료를 표준시비(N-160kg/ha) 대비 완효성비료(LCU: 18-12-13%)를 기비로 100%와 80% 시용구 및 기비로 60% 시용하고 속효성비료인 요소로 분얼비 또는 수비로 20%씩 각각 시용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간중 지상부 생육은 LCU 100%에서 가장 컸고, LCU 시비량간에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컸다. 2. 시비질소의 흡수량은 LCU 100%에서 가장 높았고 질소 시비효율은 LCU 60% + 수비(요소) 20%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3. 처리간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m^2$당 수수와 $m^2$당 립수는 LCU 100%에서 가장 많았고, 등숙비율과 현미 천립중은 비슷하였는데, 쌀 수량은 관행인 속효성 시비구 대비 LCU 100%에서 7%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휴립건담직파재배에서 관개수 부족시 절수재배가 필요하여 이때에 완효성비료로 시비할 경우 표준시비량(N-160kg/ha) 수준으로 시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의 무기 영양 흡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ptake of Mineral Nutrients by Ginseng Plant)

  • 김준호;문형태;채명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35-57
    • /
    • 1977
  • 4년생 인삼 식물을 재료로하여 계절에 따르는 영양 염류 흡수와 건물 생장량과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인삼포의 토양에 시비한 영양 염류는 계절에 따라 감소되었는데 약토구보다 무기비료 구의 잔존량이 적었다. 당년에 시비한 비료의 시비량에 따른 차이는 건물 생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단위 건물량당 영양염류의 함량은 속효성 비료인 화학비료를 시비하면 생육 초기(5월 16일)에, 지효설 비료인 약토를 시비하면 생육 후기(8월 21일)에 함량차가 나타났다. 단위 건물량당의 질고, 인산 및 가리 함량의 계절변화는 잎, 줄기, 뿌리가 5월 중순에 많은 양을 함유하였지만 6월 중순에 급감되고 그 이후는 일, 줄기에서는 걸감하고 뿌리에서는 증가되었다. 지상부의 생육기간중에는 뿌리속의 영앙 염류가 지상기관으로 전류되었지만 지상부 생육이 완료되면 흡수된 염류가 뿌리에 저장되었 다. 개체당 영양 염류함량의 계절변화는 생육이 완료된 지상부 기관에서는 그 변화가 없고 뿌리에서는 S자 곡선에 따라 생육이 완료될 때까지 증가되었다. 영양염류의 종류에 따른 흡수비로서 M/P는 높았고 N/K는 낮았다. 수광량이 많을수록 잎의 질소, 인산, 가리 함량은 낮아졌고, 줄기는 염류에 따라 함량 차를 보였다.

  • PDF

친환경적 비료인 완효성 비료 'Methylen Urea' 및 미생물 비료 'T-Vigor' 처리가 골프장 그린의 크리핑 벤트크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en Urea' Slow Released Fertilizer and 'T-Vigor' Microbial Fertilizer as Environmental Fertilizer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in Golf Course)

  • 이경주;이재필;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3-70
    • /
    • 2004
  • 본 연구는 늘어나는 골프 수요에 대처하고 친환경적인 골프장 그린 관리를 위해 완효성 비료 Methylen Urea(MU)와 미생물 제재 T-Vigor의 사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 '크렌쇼우'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실험장소는 2004년 4월부터 2004년 8월까지 크리핑 벤트그래스 '그랜쇼' 그린인 렉스필드 골프장의 벨리코스 3, 4, 5번에서 수행되었다. 실험구 처리는 완효성 비료인 메칠렌 우레아(Methylen Urea, MU, 25-10-15)를 $5g/m^2$씩 5회 액상 시비하였고, 미생물 비료(T-Vigor)는 살균한 처리구와 살균하지 않은 원액을 $7.5m\ell/m^2$를 2회, $5.5m\ell/m^2$를 5회 처리하였다. 실험구의 크기는 $1m\times1m$이며 3반복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디 신초밀도는 Methylen Urea(MU) 처리구가 각 처리구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기간이 지남에 따라 처리구별 차이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미생물 비료 T-Vigor 처리구의 잔디 신초밀도는 살균된 처리구와 차이가 적었으나 대조구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2. 엽록소 함량은 Methylen Urea(MU) 및 T-Vigor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으며, MU 비료는 비료성분이 급속히 흡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뿌리 길이는 Methylen Urea(MU)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5cm이상 길게 나타났으며, T-Vigor 처리구보다 길었다. 미생물 비료 T-Vigor처리구의 뿌리 길이는 살균된 처리구보다 3cm이상, 대조구 보다 4cm이상 길었다. 4. 예지물 중량은 Methylen Urea(MU)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15\%$정도의 증가하였으며, T-Vigor 처리구 대비에서도 약 $6\%$ 이상 증가하였다. 5. 지상부 및 지하부의 건물중에 있어서도 Methylen Urea(MU) 및 T-Vigor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무거웠으며, 타 처리구에 비해서도 무거웠다. 본 연구는 사용중인 그린에 완효성 비료 및 미생물 비료의 사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MU 및 T-Vigor 사용시 속효성 비료와의 경제성 분석, 고온장해 시 잔디 생육분석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의 고추에 대한 시비효과 평가 (Evaluation of Fertilization Effect of Slow-Release Complex Fertilizer on Pepper Cultivation)

  • 이창훈;이협;하병연;강창순;이용복;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8-232
    • /
    • 2007
  • 고추작물의 생육기간 중 양분요구특성에 부합하는 새로운 완효성 복합비료를 개발하기 위해 질소 용출율이 110일과 150일로 조절된 완효성 복합비료 110T와 150T을 제조하여 포장 조건에서 질소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고추에 대한 관행시비량 기준으로 60%의 완효성 복합비료 110T, 150T와 40%의 속효성 비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과 CF150의 토양 내 질소 용출 특성과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행처리(NPK)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밭 토양조건에서 완효성 질소비료 110T와 150T의 질소 용출율은 시용 8주경과 후 각각 63%, 53%가 용출되어 원예작물인 고추재배에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원예용 복합비료 CF110과 CF150을 전량 기비로 시용하여 고추를 재배하였다. 고추의 전 생육기간 동안 토양 내 무기태 질소($NH_4^+-N$$NO_3^--N$) 함량은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 처리구에서 NPK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CF150 처리구에서 토양 중 무기태 질소 함량은 정식 후 8주까지 NPK 처리구에 비해 낮았다.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 처리구와 NPK 처리구사이의 고추 생육과 무기성분 함량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 수량은 CF110 처리구에서 NPK 처리구에 비해 4% 증수 되었다. 그러나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50 처리구는 NPK 처리구에 비해 수확 후 엽중 질소함량이 낮았으며, 수량도 2% 감소되었다. 따라서 고추재배를 위한 적합한 완효성 복합비료는 CF150 보다는 CF110이었다.

생분해성 코팅 요소 종류별 질소 용출 및 온실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degradable polymer coating urea to nitrogen release in the soil column)

  • 최재이;신중두;조현종;정우진;이상범;윤석인
    • 유기물자원화
    • /
    • 제32권1호
    • /
    • pp.49-59
    • /
    • 2024
  • 생분해성 중합체 코팅 요소는 질소 용출을 제어하면서, 질소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며 농업생태계의 비점오염원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분해성 중합체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 요소의 용출 패턴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구명하는 것이었다. 처리내용은 속효성 비료인 요소를 대조구, 난분해성 코팅 요소(NBCF), 생분해 완효성 코팅 요소(NB60)와 생분해성 완효성 코팅 요소(MDS)를 토양에 혼합한 4가지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침출수에 대한 최대 총 질소 누적 농도는 NBCF가 NB60보다 33% 높았으며, NB60이 NBCF 보다 최대 용출 기간은 10일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총 질소 및 NO3-N의 용출 패턴에서 NB60과 NBCF는 일차 직선형태로 동일하였지만, 대조구와 MDS는 Sigmoid curves 형태로 누적 용출 농도는 MDS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분해성 코팅 요소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살펴보면, CH4의 발생량은 대조구 대비 NBCF, NB60, MDS 각각 0.38%, 11.36%, 5.91% 증가하였고, 또한 N2O의 발생량은 대조구 대비 각각 50.5%, 32.4%, 58.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분해 완효성 코팅 요소는 비료 이용성을 감안하여 포장에 시용할 경우 비료 시용량뿐만 아니라 농업생태계 비점 오염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물콩 품종의 Asparagine과 Aspartic acid 함량 변이 (Variation of Asparagine and Aspartic Acid Contents in Beansprout Soybeans)

  • 이준찬;황영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92-599
    • /
    • 1996
  • 본 연구는 체내 알코올 대사과정에 관여하여 알코올과 알코올분해 중간산물로 맹독성을 나타내는 acetaldehyde의 분해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콩나물의 asparagine과 aspartic acid함량에 대하여 품종간, 콩나물의 재배일수, 콩나물의 부위 및 사용한 콩나물용 콩의 저장기간별로 이들 함량을 검정하여 앞으로 고품질의 콩나물용 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하였는 바, 얻어진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용 콩의 입중과 전장과는 부의 상관(r=-0.533*)을 보였으며, 입중과 개체중(r=0.678**) 및 개체중과 경태(r=0.666**)와는 정의 상관을 보여, 콩나물용 콩의 경우 입중이 작을수록 생육속도가 빠르고, 콩나물의 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콩나물 체내의 asparagine과 aspartic acid함량은 재배일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품종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는데, 공시품종의 asparagine함량 정도는 단엽콩>경북 003>성주 002의 순이었다. 3. 콩나물 뿌리내의 asparagine과 aspartic acid의 함량은 품종간에 고도의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는데, 공시품종 중 성주 002, 성주 003 및 전북 001가 높았다. 4. 콩나물의 asparagine함량은 자엽과 하배축에서는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뿌리에서는 고도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콩나물의 품종간 asparagine함량의 차이는 주로 뿌리의 asparagine함량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저장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asparagine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aspartic acid의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모생육 및 맷트 형성 정도를 고려할 때 어린모 상자육묘의 적정 대소 시비량은 산흙 2g/상자, 논흙 1g/상자이라고 판단된다.등이 높은 조성을 보였고 무차광구에 비하여 차광구(55%)에서 높았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종합적으로 볼 때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차광에 비해 무차광에서 양호하였으나 향기성분은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간에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방향성이 높아 고품질의 더덕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차광과 유기물 다량시용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파는 포장도복으로 크게 낮아 경운 이질의 87~81%정도였다.형간에는 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우수하였고, 비종간에는 속효성 비료보다는 완효성 비료에서, 그리고 질소의 감비보다는 100%시용구에서 보다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른 분얼체계와 동신엽, 동신분얼의 수량성은 표준구와 50%증비구는 0, 1, 2, 11, 3, 21, 12, 22, 4, C의 순위였으나 100%증비구에서는 주간보다 1차분얼의 1이 무겁고 3보다 11이 무거웠다.섭취하였고, 탄수화물은 농촌지역 여고생이 대도시 지역 여고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다. 지역별 여고생의 에너지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의 섭취 비율이 대도시 60.75% : 16.4% 22.9%이며, 중소도시가 62.7% : 15.7% : 21.5%,농촌이66.8% : 14. l% : 19.1%이었다. 영양지식의 정확도나 인지도는 영양소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소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이지

  • PDF

상토 종류별 질소시비량이 벼 어린모 묘소질 및 배아양분 소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Rate at Different Nursery Soils on Seedling Characters and Endosperm Consumption in Rice Seedling)

  • 김상수;최민규;이선용;유철현;조수연;전병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14-520
    • /
    • 1996
  • 벼 어린모 상자육묘시 상토종류별 질소시비량이 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상토종류별 적정 시비량을 구명하고자 동진벼를 공시하고 논 흙 및 산흙에 요소로 질소를 상자당 0, 1, 2, 3g 시용하고 평균 $25^{\circ}C$의 온실에서 육묘하여 묘생육을 컴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아율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저하되었고 논흙에 질소 3g/상자 시용에서는 출아율이 현저히 낮아졌고, 논흙이 산흙보다 시비량 증가에 따른 출아율 저하가 컸다. 2. 성묘율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여 산흙에서는 질소 2g/상자, 논흙에서는 1g/상자 까지 90% 이상의 입모율을 보였으나 그보다 시비량이 많으면 입모율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3. 모의 초장은 산흙에서는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길었으나 논흙에서는 2>3>1>0g /상자의 순으로 길었으며, 엽수는 산흙의 6일묘에서는 3>2>1>0g /상자의 순으로 많았으나 8일묘 이상에서는 무비를 제외하고는 시비량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4. 모의 건물중은 산흙에서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무거웠으나 논흙에서는 시비량 2g에서 가장 무거웠다. 5. 배아잔존율은 상토종류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두 상토 모두 시비량이 많을수록 적어지는 경향 이었다. 6. 뿌리량은 산흙에서는 1>0>2>3g/상자의 순으로 많았고, 논흙에서는 0>1>2>3g/상자의 순으로 시비량이 많을수록 적었으며 부농상토가 가장 적었다. 7. 맷트의 인장력은 산흙에서는 1>0>2>3g/상자의 순으로 컸고, 논흙에서는 시비량이 적을수록 컸고 부농상토가 가장 적었으며, 맷트 형성 정도는 시비량이 적을수록 양호하였다. 이상 입모상태, 모생육 및 맷트 형성 정도를 고려할 때 어린모 상자육묘의 적정 대소 시비량은 산흙 2g/상자, 논흙 1g/상자이라고 판단된다.등이 높은 조성을 보였고 무차광구에 비하여 차광구(55%)에서 높았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종합적으로 볼 때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차광에 비해 무차광에서 양호하였으나 향기성분은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간에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방향성이 높아 고품질의 더덕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차광과 유기물 다량시용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파는 포장도복으로 크게 낮아 경운 이질의 87~81%정도였다.형간에는 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우수하였고, 비종간에는 속효성 비료보다는 완효성 비료에서, 그리고 질소의 감비보다는 100%시용구에서 보다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른 분얼체계와 동신엽, 동신분얼의 수량성은 표준구와 50%증비구는 0, 1, 2, 11, 3, 21, 12, 22, 4, C의 순위였으나 100%증비구에서는 주간보다 1차분얼의 1이 무겁고 3보다 11이 무거웠다.섭취하였고, 탄수화물은 농촌지역 여고생이 대도시 지역 여고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다. 지역별 여고생의 에너지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의 섭취 비율이 대도시 60.75% : 16.4% 22.9%이며, 중소도시가 62.7% : 15.7% : 21.5%,농촌이66.8% : 14. l% : 19.1%이었다. 영양지식의 정확도나 인지도는 영양소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소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이지 않았다. 농촌지역 여고생의 식습관은 단백질, 인 철,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대도시 지역 여고생의 영양지식은 식습관과 관계가

  • PDF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의 잣나무임분(林分)에 있어서 전질소(全窒素)의 분포(分布)와 무기태(無機態) 질소(窒素)의 계절적(季節的) 변화(變化) (Total Nitrogen Distribution and Seasonal Changes in Inorganic Nitrogen at a Pinus koraiensis Stand in Kwangju-gun, Kyǒnggi-do, Korea)

  • 신준환;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56-68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경기도(京畿道) 광주군(廣州郡) 도척면(都尺面)에 위치(位置)한 서울대학교(大學校) 중부연습림(中部演習林)의 24년생(年生) 잣나무 인공조림지(人工造林地)를 대상(對象)으로 하여 (1) 임분내(林分內) 전질소(全窒素)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갱신법(更新法)에 따른 잣나무림(林) 생태계(生態系)의 자기시비계(自己施肥系)가 받는 충격(衝擊)의 정도(程度)를 알아보며, (2) 그 임분(林分)의 토양(土壤)에서 여러 깊이에 따른 무기태(無機態) 질소(窒素)의 계절별(季節別) 변화양상(變化樣相)을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와 질산태(窒酸態) 질소(窒素)로 나누어 분석연구(分析硏究) 하고, 또한 잣나무림(林)에 있어서 질소질양료(窒素質養料)에 대(對)한 자기시비기구(自己施肥機構)를 연구(硏究)하여 적절(適切)한 시비시기(施肥時期)와 방법(方法)에 대한 정보(情報)를 얻으려고 시도(試圖)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을 수 있었다. 1) 뿌리를 제외(除外)한 현존량(現存量)에 포함(包含)된 전질소중(全窒素中) 61.5%는 침엽중(針葉中)에, 20%는 가지에, 5.5%는 수피(樹皮)에, 13%는 수간(樹幹)의 목질부(木質部)에 분포(分布)한다. 따라서 수간(樹幹)의 목질부(木質部)만 수확(收穫)하는 것이 생태계(生態系)의 자기시비계(自己施肥系)에 충격(衝擊)을 가장 적게 준다고 볼 수 있다. 2) 토양중(土壤中)의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의 함량(含量)은 토양(土壤)이 깊게 들어 갈수록 변화(變化)가 약해졌으며 그 함량(含量)을 계절별(季節別)로 보면 봄, 가을, 한여름, 초여름 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다. 이러한 양상(樣相)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의 손실(損失)이 환경인자(環境因子)에 크게 좌우(左右)되기 때문에 일어나며, 이러한 결과(結果)에 따라 속효성(速效性) 질소비료(窒素肥料)를 봄에 시비(施肥)하는 것이 가장 적합(適合)하다고 결론(結論)을 내릴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