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집단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809초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탐구 학습 프로그램의 영향 (Instructional Influences of Explicit and Reflective Scientific Inquiry Learning Program about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 한수진;양찬호;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15-12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탐구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과학 탐구의 본성을 직접 가르치지 않은 암시적 탐구 수업과 비교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 및 암시적 탐구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두 집단에 배치하였다. 처치 집단에서는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탐구 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서는 과학 탐구의 본성과 관련된 내용을 제외하고 처치 집단과 동일한 탐구 활동을 사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처치 집단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인식론적 견해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두 집단의 과학 성취도와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처치 집단의 학생들은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소집단 토론 활동을 수업의 장점으로 생각하였으며, 소집단 토론 활동이나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이해, 자신의 생각을 글로 쓰고 발표하는 활동 등을 어려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지구과학 천문 영역에서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Small-group Discussion Lesson Using Concept Sketches in Astronomy of Earth Science)

  • 김연귀;정구송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0-180
    • /
    • 2010
  • 지구과학의 여러 영역 중에서 특히 천문학은 시공간적 변화를 추상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천문 영역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개념스케치-간결한 설명, 기호 및 용어를 사용하여 학습할 내용의 주요 특징, 원리, 절차, 관계 등을 나타낸 그림-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과학 천문 영역에서 개념스케치의 작성 및 토론을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선정하여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과 전통적인 수업을 각각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면담 대상자를 선정하여 질문지 검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소집단 토론수업은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들의 개념 이해 정도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이끌어내는 수업 방식이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동료들과 교환하는 토론 과정을 거치면서 학습 내용을 장기간 기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친숙한 느낌을 주는 그림 그리기 활동이 학생들의 수업 흥미도를 높여 주었다.

'애완동물 안내문 만들기'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역할 인식과 인식적 권위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Role and Epistemic Authority in the Activity about 'Making a Pet Poster')

  • 강은희;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87-597
    • /
    • 2017
  • 과학 교실에서 학생들이 학습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수업에서 학생들이 목소리를 표현하고 권위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애완동물 안내문 만들기' 수업을 개발하였고, 이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수업의 주체로서 자신들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권위를 드러내는지 탐색하였다. 서울시 G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은 모두 녹음 녹화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애완동물 안내문을 만드는 소집단 활동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발표하고 질의응답하는 전체 발표에서 다른 양상으로 인식적 권위를 드러내는 모습을 보였다. 우선 소집단 활동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져온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고 선별하였으며, 공적인 공간에 적합하도록 자원으로 변형시키는 것과 같이 '애완동물 전문가'로서 권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전체 발표에서는 발표자와 청중이라는 입장으로 구분되어 발표자는 '애완동물 전문가'로 인정을 받고, 청중은 '검증하는 사람'으로 발표자를 평가하면서, 적극적으로 권위를 검증받고 평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전체 발표의 진행을 주도함으로써 활동의 완전한 주도권을 잡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생 중심으로의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과학 교육의 전략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제주도 큰발윗수염박쥐(Myotis macrodactylus)의 유전적 집단 구조와 계통 유연관계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Large-footed Bat (Myotis macrodactylus) on Jeju Island)

  • 김유경;박수곤;한상훈;한상현;오홍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49-757
    • /
    • 2016
  • 본 연구는 미토콘드리아 DNA (mtDNA) cytochrome B (CYTB)와 NADH dehydrogenase subunit 1 (ND1) 유전자 서열의 다형성을 근거로 제주도 큰발윗수염박쥐 집단의 유전적 집단 구조와 계통 유연관계를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아시아 박쥐에서 CYTB 유전자 haplotype은 14개의 haplotype들이 발견되었고, ND1은 9개의 haplotype 들이 발견되었다. 집단별 haplotype의 분포는 지역-특이적인 양상을 보였다. ND1 haplotype 분석결과에서 제주도 집단은 4개의 haplotype을 나타내고, 한라산 소집단과 서부지역 소집단은 3개 haplotype을 나타내었으나, 동부지역 소집단에서는 제주도 전체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1개(Nd03)의 haplotype만 출현하였다. NJ tree에서 제주도 집단은 강원도 집단보다 일본 집단과 더 근연으로 확인되었다. 중국과 일본의 모계선조 계보 사이의 분화 시점은 0.789±0.063 MYBP으로 추정되었고, 제주도와 일본의 모계선조는 약 17만 년(0.168±0.013 MYBP) 전에 분리된 것 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집단은 적어도 5만 년 이전에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ND1 haplotype 분석결과는 제주도 집단이 이주 후에도 지역 내에서의 적어도 2회 이상의 유전적 분화를 겪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동아시아 큰발윗수염박쥐의 계통 유연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한반도의 남부와 중국, 러시아 등에서 시료 확보를 통해 집단 간 진화적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설득력 있는 자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소집단 자유 탐구에서 과학적 탐구 문제 발견 과정의 특징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Inquiry Problem Finding Process in Small Group Free Inquiry)

  • 천명기;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65-87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소집단 자유 탐구 활동에서의 탐구 문제 발견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91명을 대상으로 자유 탐구를 수행하게 하였다. 한 학기(약 4개월) 동안 이루어진 탐구 과정 중 비교적 성공적으로 탐구를 수행한 15개 모둠, 4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둠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탐구 과정에서 나타난 탐구 문제 발견의 단계와 탐구 문제 발견을 위해 시도한 전략을 통해 탐구 문제 발견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 문제 발견 과정에서 주제어 선정, 문제점 제시, 의문점 제시, 탐구 문제 발견 등의 단계가 발견되었으며, 특히 탐구의 소재, 상황 등의 탐구 대상에 해당하는 주제어 선정 과정이 많이 발견되었다. 둘째, 학생들이 탐구 문제 발견 과정에서 사용한 전략으로는 정보 탐색, 선행 연구 탐색, 지식/경험의 공유, 지식/경험의 연결과 확장, 환경 인식, 전문가 자문, 적합성 논의, 정교화 등이 발견되었다. 셋째, 일상생활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형태의 탐구에서는 문제 발견 과정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졌다. 넷째, 인터넷을 통한 선행 연구의 탐색은 주제어 선정 및 탐구 주제의 정교화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다섯째, 학생들이 여러 개의 후보 탐구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주요 요인은 실행 가능성, 실생활 적용 가능성, 경제성 등이었다. 여섯째, 시사적인 상황이 탐구 주제 생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탐구 문제 발견을 도와 줄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논의하였다.

문제중심학습(PBL)을 통한 수학적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 김부윤;정두영;정원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1호통권21호
    • /
    • pp.253-269
    • /
    • 2005
  • 수학시간에 많은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능동적인 학습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실세계 상황의 과제가 제시된 소집단 협력학습, 토론활동 위주의 문제중심학습(PBL:Problem-Based Learning)을 고등학교의 수학교실에 적용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학습여건의 조성, 적합한 학습과제의 특성, 교사의 역할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발전적인 PBL학습모형을 개발하여 교실 실제에 적용함으로써 고등학교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집단 구성 방법과 인지 양식에 따른 수학과 소집단 협동 학습의 효과: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 김남균;이기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권2호
    • /
    • pp.137-148
    • /
    • 1997
  • 21세기를 눈앞에 두고 있는 오늘날의 사회에서는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수학에서도 산술과 같은 기초적인 수학뿐 아니라 새로운 정보, 복잡한 정보를 이해하고 의사 소통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수학은 패턴의 과학이며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묘사하는 도구로서 자연 언어를 보충하는 의사소통의 한 형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수학 수업에서는 기본 개념과 공식은 물론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해야 한다(Mathematical Sciences Education Broad, 1990).(중략)

  • PDF

수학에서 협동 학습에 관한 기초연구

  • 서종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4권
    • /
    • pp.229-250
    • /
    • 2001
  • 협동 학습은 학습자간의 긍정적 상호 작용을 촉진하여 학습의 극대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수업 방법으로, 수학 과목에서 협동 학습은 수학에 대한 성취도, 태도, 문제 해결력 등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수학 과목에서 협동학습에 대한 국${\cdot}$내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중학교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성취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여 학습양식에 따라 소집단을 구성한 수학에서의 협동 학습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습 부진아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조봉식;유재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3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he effect on the academic improvement, appl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throughout cooperative teaming in small groups to inspire slow-learners'interest on mathematics and impove cap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achievement degree of studi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of students'interest on mathematics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and large group learning\ulcorner 2. Is there any difference of slow-learners' achievement degree of studies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and large group learning?

  • PDF

활동 내에서의 유아 몸 움직임에 대한 관찰 : OWAS 인간공학 측정법의 적용 사례 (Observing Children's Body Movement in Daily Activities : An Example of OWAS Application)

  • 윤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9-155
    • /
    • 2012
  • 이 연구는 유아교육실제에서 몸의 교육적 의미를 재인식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인간공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몸 교육의 방향에 대한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인간공학 활동분석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OWAS기법을 적용하여 D시에 거주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비디오 촬영을 한 후 Snap reading하여 일과 활동내 몸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아의 몸 움직임은 활동유형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허리와 팔을 중심으로 한 활동별 움직임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다리 활동성을 중심으로 활동 군별로 분석한 결과는 대집단, 소집단, 야외활동 순으로 나타나 전체집단 간 평균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야외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 최고 및 최저 움직임을 보인 활동들을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한 결과, 허리의 움직임에서 소집단이 야외활동보다, 다리의 움직임에서 야외활동이 대집단보다 유의하게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인체공학적 활동 분석법을 유아의 몸 움직임 측정에 처음으로 도입한 점과 더불어 이런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급격히 줄어드는 유아실외활동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 경각심을 일깨웠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