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요장치량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A Drying Unit of High Moisture Food Wastes (고수분 음식물 건조장치 개발)

  • Jung, Dae Hong;Yoon, Jong Hyun;Choi, Sung Min;Lim, Ki Hyun;Song, Dae 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7-117
    • /
    • 2017
  • 2012년 국내 총 폐기물(지정폐기물 제외) 발생량은 382,009 톤/일 으로 이 중 12.8%를 차지하는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 채소류폐기물 발생량은 13,209 톤/일 으로 이중 음식물 폐기물은 탈수 후 사료 제조 또는 매립 처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수분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건조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500 kg/hr인 실험실용 열분해장치를 제작하였다. 회사 구내식당 및 창원시에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실험 원료로 사용하였다. 건조공기 투입 온도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특성을 파악하였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실험 결과, 총 건조소요시간은 약 20시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건조속도는 약 2.90 %/hr로 나타났다. 건조시간은 연구 목표치인 1회당 15시간보다 5시간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투입 및 배출에 소요되는 예열 및 냉각 시간을 제외하면 약 16시간으로 연구목표치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다. 투입건조공기 온도에 따른 건조시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특히 $155^{\circ}C$에서 21시간으로 나타나 향후 폐열 활용 시 $200^{\circ}C$ 이상의 고온의 공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건조작업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건조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투입공기의 온도보다는 투입공기와 음식물 쓰레기의 접촉 면적이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eat Recovery System from Chamber of Agricual Products Dryer (농산물건조기의 배풍열 재이용 기술에 관한 연구)

  • Paek, Y.;Kim, Y.J.;Kang, G.C.;Ryou, Y.S.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241-246
    • /
    • 2002
  • 본 연구는 농산물을 건조할 때 배풍구로 버려지는 열을 회수하여 건조열원으로 재이용할 수 있는 배풍열 회수장치를 개발하여 연료절감 및 열회수장치의 성능을 분석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 농산물건조기의 열수지를 분석한 결과 투입열량을 100%로 하였을 경우, 배기열은 13.2%, 배풍역량 77.7%, 관류열량은 9.1%로 나타났다. 나. 고추를 건조시 배풍구입구온도가 55-6$0^{\circ}C$일 때 배풍구 출구온도 41-43$^{\circ}C$, 일때 흡입구 입구온도는 25-28$^{\circ}C$, 흡입구 출구온도는 41-43$^{\circ}C$로 나타나 건조실로 41-43$^{\circ}C$의 높은 온도를 투입할 수 있었다. 다. 배풍열 량이 단위 시간당 4700kca1에서 6000kca1로 증가할 때, 흡입 열량은 2200kca1에서 3000kca1로 나타났다. 라. 고추의 초기함수율이 80%에서 15%까지 떨어지는데 관행건조는 약 27시간이 경과했으며, 배풍연회수건조를 할 경우는 약 24시간이 경과했으며 그 결과 배풍열 회수건조가 약 3시간정도 소요시간이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었음. 마. 배풍열 회수장치를 사용하여 농산물건조기 투입량의 47%, 배풍열량의 64%의 열량을 회수할 수 있었다. 바. 배풍열 회수 농산물건조기 성능시험 결과 고추 100kg 건조시 연료소모량은 43%, 건조 소요비용은 21%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Research on Automatic Measurement Program to shorten Test Time for FEU of HCTRS (대용량무선전송장비 전처리장치의 시험 소요시간 단축을 위한 자동 측정 프로그램 연구)

  • Shin, Suk-Ho;Cho, Tae-Cho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0 no.5
    • /
    • pp.45-49
    • /
    • 2020
  • FEU which is a important device in HCTRS of TICN amplifies transmission signals. Tests of intermodulation distortion and harmonic distortion for FEU have been performed manually, and take a lot of time. This paper improves the test methods using program that set up the measurement instruments and read the data automatically. This proposal allows intermodulation distortion and harmonic distortion test simultaneously. And the new test methods show that the measurement time is shorter than before. Also,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quality assurance is possible because the test time can be independently managed, unlike the previous methods, where the test tim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전기응집장치에 의한 폐수의 전처리 효과에 관한 연구

  • Gang, Gwang-Cheol;Kim, Seung-Su;Choe, Jong-Won;Gwon, Su-Han;U, Mun-Sik;Jang,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79-480
    • /
    • 2006
  • 폐수의 부하량 감소를 위하여 전처리단계에서 전기응집장치를 이용한 총인 및 총질소,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과 화학적 산소요구량 등을 측정하고자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철 전극에서는 총인제거효율이 가장 높았으며, 총질소 제거 효율은 두 회사 폐수 모두 낮았다. Sus 및 Ti전극에서는 제거효율이 미미하였다. 따라서 부하량 감소를 위한 폐수의 전처리시 철전극사용시 가장효율이 좋으며, 부하량 감소는 90%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Hybrid Type Fabric Filter with Combining Centrifugal Force and Fabric Filtration (원심력과 여과집진이 접목된 하이브리드형 여과집진장치의 특성)

  • Kim, Sang-Do;Park, Hyun-Seol;Son, Jae-Ik;Park, Young-Ok;Kang,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63-64
    • /
    • 2003
  • 원심력집진기는 장치가 간단하지만 집진효율이 낮아 주로 여과포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전단에만 사용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여과포집진장치는 고효율의 집진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유입되는 먼지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단에 원심력집진기를 설치하게 되므로 설치공간 및 동력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있으며, 높은 압력손실, 낮은 여과속도에 의한 장치면적 증가, 균일한 집진이 어려워 일부 여과포에 집중적인 부하가 걸리게 되는 단점 등을 가지고 있다. 전기집진장치의 경우 압력손실이 적고 대용량에 적용 가능하지만, 여과집진장치에 비해 집진효율이 낮고, 먼지의 종류 및 연료연소조건에 따라 집진효율이 크게 영향을 받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Properties and Stabilization of Foams (거품의 특성과 안정성에 대한 연구)

  • 신유식;이기풍;이형달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10-413
    • /
    • 2002
  • 섬유공업 가운데 염색가공등의 습식공정에 있어서 에너지 절감과 약제의 균일처리에 의한 염색성 및 가공성의 향상을 기하기 위하여 거품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거품을 이용한 가공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며, 종래의 saturation pad 법과 거품 가공법으로 가공 처리했을 때의 에너지 소요량 및 거품을 만들 때 발포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및 거품안정제와 발생된 거품의 성질(1-2), 거품을 발생시키는 장치(3-4), 발생된 거품을 직물에 처리하는 장치 (5-7) 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검토된 바 있다. (중략)

  • PDF

인분뇨의 퇴비화에 관한 연구

  • Kim, Byung-Hong;Bae, M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9.10a
    • /
    • pp.247.1-247
    • /
    • 1979
  • 분뇨는 예로부터 비료로 사용되어 왔으나 화학비료의 일반화와 수인성전염병 및 기생충 감염 등 위생적 문제 때문에 현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도시화로 인하여 분뇨의 수거지역이 그 사용지역과 밀어 이를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분뇨를 적당한 수분조절제 혹은 탄소원을 혼합하여 퇴비로 만들어 토양개량제로 사용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퇴비제조장치를 만들어 분뇨-왕겨 혼합물의 퇴비화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분뇨-왕겨 혼합물을 채운 퇴비제조장치를 6$0^{\circ}C$ water bath에 장치하고 수분함량, 탄소원의 양, 통기량을 변화시키면서 발생하는 $CO_2$, NH$_3$의 량을 측정하여 퇴비화속도를 측정하였다.

  • PDF

Simulation of Silo System for Drying and Storage of Grains (곡물(穀物)의 건조(乾燥), 저장(貯藏)을 위한 사일로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 Chung, J.H.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9 no.3
    • /
    • pp.194-210
    • /
    • 1994
  • 미곡종합처리장(米穀綜合處理場)의 곡물 건조 및 저장시설의 적정 설계를 위해서 시뮬레이션 모델링이 요구되었다. 이에 곡물 건조 및 저장시설인 곡물 사일로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 SLAMSYSTEM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開發)하였다. 곡물 사일로 시스템은 반입(搬入)장치, 조선(粗選)장치, 계량(計量)장치, 건조용(乾燥用) 사일로, 저장용(貯藏用) 사일로 그리고 이송장치들로 구성되었으며 이들 장치와 시스템의 공정들이 네트웍(network)과 프로세스(process) 중심의 시뮬레이션 모델로 표현(表現)되어 분석(分析)되었다. 이 시뮬레이션 모델로 1) 각 공정에서의 원료 처리시간 및 대기시간 그리고 병목현상, 2) 각 기계 및 장치들의 활용도(活用度) 및 이용상태(利用狀態), 3) 물벼의 처리용량 및 건조조건에 따른 건조시간과 건조에 소요되는 에너지 그리고 건조중 발생되는 열손실(熱損失), 4) 반입에서부터 저장에 도달할 때까지의 총 처리시간 및 처리량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 자료를 기초로 하여 각 기계 및 장치의 종류(種類)와 용량(容量) 및 크기를 결정하여 곡물 사일로 시스템을 설계(設計)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에 의해 설계된 사일로 시스템이 실제로 전북 남원에 설치(設置)되었다.

  • PDF

Design of Large Capacity Clean Air Heater (대용량 청정 공기 가열 장치 설계)

  • Kim, Jeong-Woo;Jung, Kwang-Soo;Jeon, Min-Joon;Lee, Kyu-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115-118
    • /
    • 2010
  • 2 Types of heater (Vitiated Type, Clean Air Type) in ord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for a test are used for industry. In this report, large capacity clean air type heater was designed. Heater capacity and LNG consumption rate can be calculated by the air mass flow and heater inlet/outlet temperature. The heater is composed by Burner, Furnace, Heat Exchanger, and Stack. The hot air from the burner and cold air from the tube inlet exchange their heat indirectly in the heat exchanger, so the desired temperature can be achieved at the exit of the tube.

  • PDF

Characterization of Fine Dust Collection Using a Filter Ventilation (환기장치와 필터를 활용한 미세먼지 제거특성 조사)

  • Jeon, Tae-Yeong;Kim, Jae-Yo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6 no.2
    • /
    • pp.229-233
    • /
    • 2015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which are one of carcinogens to cause lung cancer. The fine dust capture by a pilot scale filtration system depends on several important variables such as humidity, initial fine dust injection volume, and flow rate.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in the test chamber decreased, but the ultimate collection efficiency did not change during the filtration under high humidity, compared to those of using ambient conditions The initial injection amount of fine dust did not influence the particle capturing efficiency. When the flow rate reduced from 0.6 m/s to 0.3 m/s, the dust collection time increased approximately 1.4 times. Among all variables tested, the flow rate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fine particulate m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