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아심장수술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9초

우심첨부 절개술을 통한 심첨부 근육형 심실중격결손증 수술 - 1예 보고 - (Surgery for a Muscular Type Ventricular Septal Defect via Right Apical Ventriculotomy - A case report -)

  • 이정은;이상호;문성호;최준영;장인석;김종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63-66
    • /
    • 2010
  • 심실중격결손증 중 심첨부 근육형은 드문 심기형이다. 특히 소아에서는 시야확보가 어려워 심방실을 통한 접근은 치료가 힘들다. 좌심실을 통한 치료는 장기적으로 좌심실 기능부전을 가져온다. 혈관 중재술을 통한 치료는 아직 만족스런 결과를 얻기 힘들며 어린 소아에서는 가능하지도 않다. 심첨부 근육형 심실중격결손증의 수술 시 우심첨부 절개술이 시야확보가 용이하며 심실기능에 손상을 주지 않고 안전하고 성공적인 교정술이 가능하였음을 보고한다.

소아에서의 우측 쇄골하동맥 기시이상 -수술치험 2례-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in Children -Report of Cases-)

  • 이인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4호
    • /
    • pp.308-311
    • /
    • 1993
  •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ies were experienced in two young children. This is a rare aortic arch anomaly that usually does not produce symptoms. Symtomatic patients require surgical interventions.We describe two young children who had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with symptoms of difficulty in swallowing and respiratory problems. Diagnosis was made by esophagography, aortography and 3-Dimension chest CT. Operation had been advocated through right thoracotomy without difficulty for ligation, division and anastomosis to the ascending aorta. Dysphagia lusoria was immediately relieved and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We consider that the right thoracotomy is the choice of operative approach and noninvasive diagnosis by 3-Dimension chest CT is easily made for infant with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 PDF

소아에서 발생한 외상성 기관지 파열의 수술 치험 -2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Bronchial Rupture by Blunt Chest Trauma in Children -2 cases reports-)

  • 나국주;김광휴;안병희;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355-359
    • /
    • 1996
  • Rupture of the main bronchus due to blunt chest trauma is very rare, especially In childhood although the incidence is increasing. Early diagnosis and primary repair not. only restore normal lung function but also avoid the difficultie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delayed diagnosis and repair. We experienced 2 cases of right main bronchial rupture caused by traffic accidents. Patients suffered from progressively developing dyspnea and subcutaneous emphysema on the neck, anteriorchest,andanteriorabdominalwall. Emergency operations were performed through right posterolateral thoracotomy incision at the 4th intercostal space. Intraoperatively, the right main bronchus completely transsected and separated. Corrective bronchoplasty was performed with end-to-end anastomosis using interrupted suture with 3-0 Vicryle and the suture line was reinforced with azygos vein and parietal pleural flap. Postoperative courses were uneventful and patients discharged without any specific pro lems.

  • PDF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한 선천성 심장병 수술 전후의 단기 심기능 평가 (Evaluation of short-term cardiac function by tissue Doppler imaging in pre and postoperative period of congenital heart disease)

  • 이준화;김여향;현명철;이상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5호
    • /
    • pp.476-483
    • /
    • 2007
  • 목 적 :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소아에서 체외 심폐 순환기를 이용한 개심술을 시행한 후 좌 우심실의 기능의 변화를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개심술 이전과 비교함으로써 수술 이후의 심실 기능 변화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선천성 심장병으로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심초음파 및 진단적 심도자술 검사를 받은 후 개심술을 시행한 환자 총 78명 중 수술 전과 수술 후 1개월에서 3개월 사이에 심초음파를 시행하고, 두 번 모두 조직 도플러 영상이 기록된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환자군은 다시 3군으로 나누었는데, 좌심실 용적 과부하를 가지는 1군, 우심실 용적 과부하를 가지는 2군, 우심실 압력 과부하를 가지는 3군으로 분류하였다. 간헐파 도플러를 이용하여 승모판과 삼첨판 유입 혈류의 E, A 최대 속도를 측정하고,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하여 심첨 4방도와 2방도에서 심실 중격, 승모판륜 및 삼첨판륜 외벽, 좌심실 후벽과 전벽의 기저부에서 Sm, Em, Am을 측정하였으며, E/Em을 구하였다. 결 과 : 개심술 당시 대상 환자 군의 평균 나이는 27개월(1개월-156개월)이었고, 남자 14명, 여자 18명이었다. 개심술을 시행한 심장병으로는 심실 중격 결손 13명, 심방 중격 결손 7명, 방실 중격 결손 3명, 단순 폐동맥 협착 2명, 및 활로씨 4징 7명이었다. 좌심실 용적 과부하 군인 1군의 승모판륜 외벽의 E/Em, 삼첨판륜 외벽의 Sm, Em, Am, 심실 전벽의 Em, Am, 우심실 용적 과부하 군인 2군의 삼첨판륜 외벽의 Sm, Em, Am, 심실 전벽의 Sm, Em, 심실 중격과 후벽의 Em, 우심실 압력 과부하 군인 3군의 삼첨판륜 외벽의 Sm, Em, Am, 심실 전벽의 Am 값들도 수술 전과 비교하여 수술 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감소가 있었다. 결 론 :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조직 도플러 영상 측정값을 비교하였을 때 모든 환자 군에서 삼첨판륜 외벽의 Sm, Em, Am 값의 감소를 보이고, 좌심실 용적 과부하군에서는 좌심실 이완기압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는 승모판륜 외벽의 E/Em 값이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들은 체외 심폐 순환기를 이용한 개심술의 심장에 대한 영향 및 선천성 심장병의 교정 후의 용적, 압력의 변화 영향을 모두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어느 정도까지 체외 심폐 순환기를 이용한 개심술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연령군에서의 대동맥판막성형술 (Aortic Valvuloplasty in Pediatric Age)

  • 임홍국;박천수;황호영;김웅한;이정렬;노준량;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8호
    • /
    • pp.652-659
    • /
    • 2004
  • 배경: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된 소아연령군에서의 대동맥판막 성형술 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대동맥판막 협착이나 폐쇄부전으로 대동맥판막 성형술을 시행 받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 후 협착이나 폐쇄부전의 개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 추적관찰 기간 중 재수술률 및 이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연령은 81.1$\pm$61.5 (1∼223)개월이었고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50.8$\pm$30.2 (3∼121)개월이었다. 대동맥판막 협착이 8예,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이 21예, 협착 및 폐쇄부전이 6예에서 있었다. 판막의 형태는 삼첨판막이 24예, 이첨판막이 9예, 단일첨판막이 1예, 그리고 사첨판막이 1예였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술 전 최대 압력차는 평균 72.0$\pm$33.0 mmHg였고,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의 정도는 평균 3.1$\pm$0.9도였다. 결과: 조기 사망은 없었고 1예에서 만기 사망이 있었다. 수술 직후 대동맥판막 협착 환자의 최대 압력차는 평균 23.5$\pm$21.0 mmHg로(p < 0.05),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환자의 폐쇄부전 정도는 평균 1.9$\pm$0.8도로 수술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p<0.05). 수술 후 평균 35.0$\pm$23.0개월의 추적 관찰 후 대동맥판막 협착 환자의 최대 압력차는 평균 31.5$\pm$24.0 mmHg로 술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5),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의 정도는 평균 2.8$\pm$1.3도로 수술 직후에 비해 진행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추적관찰기간 중 6명(17.1%)의 환자에서 평균 38.3$\pm$21.8개월 째 대동맥판막에 대한 재수술이 시행되었으며, 2년, 5년, 8년 재수술 없이 생존할 확률은 각각 96.9$\pm$3.1%, 79.5$\pm$5.5%, 56.8$\pm$11.4%였다. 적절한 판막기능의 개선, 재수술 여부와 재수술 없이 생존할 확률과 관련하여 나이, 판막 협착 여부, 술 전 판막의 협착 정도나 폐쇄부전 정도, 판막의 형태 등을 분석하였을 때 유의한 인자는 없었다. 걸론: 대동맥판막 성형술은 수술에 따른 위험이 높지 않고 판막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적절히 시행하면 훌륭한 단기 수술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소아 연령에서 대동맥 판막성형술은 장기적으로 실패율이 높지만 이 경우에도 술 후 일정 기간 적절한 판막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대동맥 판막 치환술 혹은 Ross 술식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시기까지 수술을 연기할 수 있다.

고리췌장을 동반한 초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나타난 굴기능부전증후군 1례 (A Case of Sick Sinus Syndrome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with Annular Pancreas)

  • 김지은;바우어 지그프리드;부윤정;이장훈;장기영;최병민;박문성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95-398
    • /
    • 2011
  • 굴기능부전증후군은 매우 드물지만 신생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소아 환자의 경우 대부분 선천심장병이 있거나 심장수술 후에 발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심질환의 선행 요인이 없는 신생아에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인지가 필요하다. 굴기능부전증후군은 대부분 특발성으로 발생하며 증상도 다양하고 24시간 심전도 검사상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관찰된다. 본 증례에서는 초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선천심장병 없이 발생한 굴기능부전증후군에 대해 보고하였다. 환아는 심전도상 굴느린맥과 함께 심방세동이 동반된 느린맥과 빠른맥이 반복되어 관찰되었으며 무호흡, 산소포화도의 저하, 청색증의 징후를 나타냈다. 증상이 있는 굴기능부전증후군의 경우 대부분 심장박동조율기의 삽입이 필요하나 본 환아는 당시 체중 750 g으로 심장박동조율기의 삽입에 실패하여 약물 치료를 시작하였다. Isoproterenol과 atropine으로 치료하면서 환아의 체중이 1,500 g을 넘어서자 증상과 심전도상의 호전을 보였다. 향후 본 환아에서처럼 심장박동조율기의 삽입이 어려운 소아 환자의 경우에 대한 치료 체계에 대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가와사끼병 영아에서 발생한 혈전을 동반한 거대관상동맥류 1례 (A Case of Multiple Giant Coronary Aneurysms with Large Mural Thrombus due to Kawasaki Disease in a Young Infant)

  • 최은나;김정태;김유리아;유병원;최덕영;최재영;설준희;이승규;김동수;박영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3호
    • /
    • pp.321-326
    • /
    • 2005
  • 가와사끼병은 주로 소아연령에서 발생하는 급성 열성 혈관염으로 관상동맥의 확장이 치명적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저자들은 3개월된 영아에서 반복적인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스테로이드, 경구용 methotrexate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진행되는 관상동맥 병변으로 다발성 거대 관상류, 협착 및 관상동맥 내 혈전을 보이며 심전도상 심근 허혈 소견과 함께 심장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심실의 확장과 전벽 및 중격의 심한 운동저하를 나타낸 증례를 보고한다. 환아는 보존적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관상동맥병변으로 내원 88일째 수술적으로 우측 거대관상동맥류를 절개하고 Gore-tex tube를 삽입하여 각각의 측부순환과 연결하였으며, 좌측 관상동맥 협착부위는 세로로 절개한 후 심장막 반(pericardial patch)을 삽입, 확장하였으나, 수술 후 심폐부전으로 사망하였다.

폐, 심장, 뇌에 전이되어 재발된 간모세포종 1례 (A case of recurrent hepatoblastoma : lung, heart and brain metastasis)

  • 박선미;최병규;김여향;김흥식;권태찬;이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6호
    • /
    • pp.691-695
    • /
    • 2006
  • 간모세포종은 15세 이하 연령에서 발생하는 간암 중 가장 흔하며 대부분 5세 미만에 발병된다. 진단시 폐전이가 동반되는 경우가 약 10%가 되나 심장이나 중추신경계에 전이된 보고는 상당히 드물며 예후도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약 4년 반 전 간모세포종으로 진단 받고 항암화학요법과 수술적 절제 후 추가 항암치료를 마치지 않고 추적관찰이 소실되었으나 그동안 무병 상태로 지내오다 폐와 좌측 심장, 중추신경계에 다발적으로 재발되어 다시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를 시작한 후 호전을 보였으나 사정상 치료가 중단되어 있는 6세 여아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에서 부승모판막(Accessoy Mitral Valve Tissue)에 의한 좌심실 유출로 협착 - 1예 보고 -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Caused by Accessory Mitral Valve Tissue in a Child -A case report-)

  • 이정은;이상호;최준영;양준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63-365
    • /
    • 2008
  • 부승모판막(accessory mitral valve tissue)은 매우 드문 선천성 심장병이며, 좌심실 유출로 협착(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의 드문 원인 중의 하나이다. 심수축기시에 부승모판막이 낙하산처럼 펴지며 잡아당기고 있어서 앞승모판막첨(anterior mitral valve leaflet)이 좌심실 유출로 쪽으로 당겨지면서 유출로 협착을 유발한다. 저자들은 본 환자에서 심초음파 검사를 통해 대동맥판막하 협착(subaortic stenosis)의 진단 하에 수술을 하였으며, 수술 중 부승모판막을 화인하고 수술을 하였기에 증례 보고를 하는 바이다.

전방 기관성형술 -2례 보고- (Anterior Tracheoplasty -Two Cases Report-)

  • 선경;이서원;김정택;김광호;임현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7호
    • /
    • pp.675-680
    • /
    • 1999
  • 소아의 흉부기관협착증 2례에 대해 자가심막을 이용해 전방 기관성형술을 실시\ulcorner였다. 증례 1은 9세된 여 아에서 발견된 선천성 기관협착증의 경우로 인공폐의 보조 아래 기관성형과 동반된 좌폐동맥 기시이상을 동 시에 근치하였다. 환아는 이식된 심막편이 종격조직에 고정될 때까지 수술 후 10일 간 기계호흡을 실시하였 다. 증례 2는 8세된 남아에서 기관절개술 후 하부기관협착이 발생한 경우로, 심막편 바깥을 늑연골편으로 보 강함으로써 수술 직후 기도삽관을 제거할 수 있었다. 2례 모두 수술 후 1년 이상의 관찰기간 동안 기관내경 이 잘 유지되고 있으며, 기관재건부위가 성장하는 소견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