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독처리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24초

천마 비가림시설 내 토양소독 처리 후 미생물상 변화 및 수량성 분석 (Microbial Changes and Yield Analysis after Soil Disinfection Treatment in Rain Shelter Greenhouse Cultivation of Gastrodia elata)

  • 김창수;이은숙;정현수;유정현;최소라;송영은;서상영;안민실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37-37
    • /
    • 2023
  • 천마(天麻, Gastrodia elata Blume)는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잎과 뿌리가 없어 탄소동화능력이 없으며, 뽕나무버섯균과 공생하는 기생식물이다. 천마는 노지재배 시 혹한, 폭우 등 기상환경에 따른 연차간 수량성 차가 673~1,175kg/10a로 크고, 연작에 따른 수량성이 연작 1회 시 29%, 연작 2회 시 68%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 대응으로 비가림시설재배가 이뤄지고 있으나, 비가림 시설재배 또한 연작장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가림시설을 활용한 천마 재배의 연작장해 경감을 위해 태양열(6~10월, 비닐피복) 및 토양훈증(메탐소듐, 30 L/1,000 m2)으로 토양소독 처리를 하였고, 윤작(수단그라스)을 대조구로 설정하여 토양 화학성, 미생물상 및 수량성을 분석하였다. 토양소독 전·후 토양내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비가림시설재배 시 토양 화학성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토양소독 후 metagenome 분석 결과, JCR21(윤작), JCS21(태양열), JCF21(토양훈증)의 시료로부터 확보한 총 read는 598,425개였으며, 이 중에서 Eukaryota로 분류되지 않은 read는 2,397개(0.4%), no hit, not assign된 read는 17,094개 (2.9%), Bacteria로 분류된 read는 281,391개(47.0%), Eukaryota로 분류된 read는 총 297,543개(49.7%)였다. JCR21은 전체 read의 35.0%, JCS21은 34.0%, JCF21은 31.0%를 차지했고, Eukaryota는 JCR21 대비 JCS21, JCF21에서 각각 9.9%, 18.9% 낮았다. 그리고, Bacteria는 JCR21 대비 JCF21은 5.4% 감소하였으나, JCS21은 1.4% 증가하였다. 이 중 Eukaryota에서 종(species)명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27종이었고 속(genus) 으로는 18속이었다. JCF21은 전체 read의 30.2%, JCS21은 33.8%, JCR21은 36.0%를 차지했고, JCF21 포장은 토양훈증으로 JCS21에 비해 3.6%, JCR21에 비해 5.8%까지 균수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대체적으로 발견된 균은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으나 초작지, 연작 1회지, 연작 2회지에서는 많이 발견되지 않았던 Mucoromycota (41,490 read, 13.9%), Agaricales (10,586 read, 3.6%)가 높은 비율로 분포를 하고 있었다. 토양소독 처리에 따른 10a 당 수량을 살펴본 결과, 윤작 1,309 kg, 태양열소독 1,609 kg, 토양훈증 1,733 kg으로 나타났고, 수량지수가 윤작 처리구 대비 태양열소독은 23%, 토양훈증은 32% 높았다. 성마율은 윤작 51%, 태양열소독 63%, 토양훈증 68%으로 나타났으며, 자마율은 윤작 49%, 태양열소독 37%, 토양훈증 32%으로 나타났다. 괴경썩음 정도는 윤작 30-49%, 태양열소독 10-19%, 토양훈증 5-9%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가림시설을 활용한 천마 재배 시 토양훈증 소독 처리를 하면 연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감자 더뎅이병 화학적 방제 (Effect of Soil and Tuber Disinfection on Potato Common Scab(S. scabies) in Jeju Field Conditions)

  • 홍순영;강영길;함영일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8-141
    • /
    • 2004
  • 제주지역 감자재배포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더뎅이병의 방제대책 마련을 위해 2001년에 더뎅이병의 화학적 방제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토양소독처리만 한 결과 방제가가 40.5%로 효과가 저조했으며, 종서소독을 한 결과는 토양소독처리보다 더 방제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감자 연작 재배지의 병원균 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단기적으로 토양소독과 씨감자소독을 병행함으로서, 토양소독 단독처리에 비해 방제가가 15∼27% 높일 수 있어 현재로서는 가장 확실한 방제법이라고 생각된다.

수처리용 약품과 소독제의 관리

  • 한국수도협회
    • 수도
    • /
    • 통권52호
    • /
    • pp.48-60
    • /
    • 1990
  • 이 글은 경상남도에서 자체 실시한 상수도 교육 교재 중에서 수처리 약품, 소독제의 성상과 관리에 대한 내용을 발췌하여 계재하는 것으로 업무에 많은 참고 바랍니다.

  • PDF

태양열 소독시 유기물과 석회질소 병행 처리에 의한 딸기 시들음병균 방제 (Control of Fusarium Wilt of the Strawberry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of Solarization with Compost and Calcium Cyanamide Application)

  • 남명현;김현숙;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32-37
    • /
    • 2011
  • 유기물, 석회질소, 요소 병행처리가 딸기 시들음병의 친환경적 방제인 태양열소독의 효과 증진여부를 밝히고자 논산딸기시험장의 비닐하우스에서 2006년과 2008년에 분석하였다. 딸기에서 분리한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7개 균주의 100% 치사시간은 $45^{\circ}C$에서 6.6일, $50^{\circ}C$에서는 5.1일이 소요되었고 100% 치사온도는 $46.7{\pm}0.1^{\circ}C$로 나타났다. 태양열 소독에 의해 유기물 처리구는 처리전보다 토양내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고, 석회질소 처리구는 산도, 유기물, 칼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요소처리구는 차이가 없었다. 태양열 소독시 지온은 처리간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7월 30일부터 8월 10일까지가 가장 높았고($48.4\sim54.8^{\circ}C$) 유기물+석회질소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3\sim4^{\circ}C$ 높게 유지되었다. 또한 토양내 시들음병균은 각 처리구 모두에서 사멸되었다. 시들음병 이병주율은 무처리는 2006년 20%, 2008년 13.3%의 발병율을 나타낸 반면 태양열 소독 처리구 모두에서는 시들음병 발생이 없었으며 처리간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딸기 시들음병 방제를 위한 유기물+석회질소를 병행한 태양열 소독 방법은 기존의 태양열소독방법을 보완하여 처리기간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상족중 회전섶 포르말린훈증 소독효과 (Effect of Formalin Fumigation on Rotatory Cocooning Frame during Mounting Period)

  • 설광열;양성열;이상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99
    • /
    • 1991
  • 다회육시 회전섶을 소독할 여유없이 재사용하므로서 누에병발생의 가장 큰 오염원이 될 가능성이 크므로 이를 상족중에 포르말린으로 훈증처리하여 소독효과 및 사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검토하였다. 소독후 회전섶 먼지를 채취하여 도말급상법으로 소독효과를 검토한 결과 훈증소독구에서 첨식 6일째까지 82%의 병잠이 발생하여 실용적 소독효과가 거의 없음을 보였고 또한 훈증처리한 구의 고치 실풀림새율이 41%로 극히 불량하여 사질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족중 포르말린 훈증소독방법은 전혀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율무 잎마름병과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소독 효과 (Effects of Seed Disinfectant Treatments on Leaf Blight and Smut Disease in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 장석원;김희동;전대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9-82
    • /
    • 2000
  • 본 연구는 율무 주산단지인 연천지역에서 율무 종자전염병인 잎마름병 및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 소독 실태와 종자소독제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율무의 잎마름병 종자감염율은 연천지역 농가에서 수집한 종자를 검사한 결과 $32.7{\sim}45.7%$였으며, 율무종자 소독기간은 율무 1호가 $0{\sim}7$일, 연천 재래종이 $0{\sim}20$일이었다. 농가별 종자소독기간 분포 비율은 무소독 20%, $1{\sim}5$일 20%, $6{\sim}10$일 55% 그리고 11일 이상이 15%였다. 종자소독처리제인 후루디옥소닐종자처리액상수화제의 잎마름병에 대한 종자소독효과는 97%,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 소독효과는 93.4% 로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 PDF

새싹 종자 소독 여부에 따른 발아율과 재배기간별 미생물 오염도 (Germination Rate and Microbial Safety during Cultivation of Disinfected Seeds)

  • 박은정;권중호;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2-29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새싹종자 소독처리 여부에 따른 재배기간별 미생물 오염도 수준을 파악하고, 종자소독이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입산 새싹종자 알팔파(alfalfa), 브로콜리(broccoli), 클로버(clover), 적양배추(red cabbage), 적무(red radish) 5종에 대하여 소독제 처리 여부에 따른 발아율과 재배기간별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소독제 종류에 관계없이 새싹종자(알팔파, 클로버, 적무)는 48시간 후 90% 이상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종자 소독 시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고,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미생물 수준을 보였으나, 발아과정에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모두 $10^7-10^8CFU/g$으로 종자소독 여부에 관계없이 종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오염 수준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종자 소독하지 않은 클로버에서 Listeria monocytogenes 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새싹채소의 위생적인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국 FDA 권고에 따라 재배전 종자의 소독이 필요하며, 발아과정의 HACCP 관리계획을 마련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두엄누리회보

  • 한국부산물비료협회
    • 두엄누리회보
    • /
    • 통권11호
    • /
    • pp.1-4
    • /
    • 2004
  • 방치폐기물 처리 이행보증 - 생산 능력 실태조사서 - 향후 퇴비의 변신 - 소독설비의 운영 및 소독요령

  • PDF

율무 종자소독과 침종시간이 발아율 및 병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Disinfectant and Soaking Time on Germination and Disease Occurrence of Adlay,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 장석원;전대훈;김희동;이은섭;박기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9-265
    • /
    • 2000
  • 본 연구는 율무 종자소독제인 Fludioxonail 10% 종자처리 액상수화제의 침종기간이 발아율 및 병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시내 실험에 있어 율무종자를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시 발아율이 93.8%로 기타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부패율은 침종기간이 길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폿트 및 포장시험에서 율무종자를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시 출현율이 기타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입고병은 침종기간이 길수록 심해지는 경향 이었다. 포장재배에서 생육상황은 약제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10a당 조곡 수량은 무처리 194kg에 비해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구와 6일 종자소독구에서 $26%{\sim}27%$ 증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율무의 출현율향상 및 병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3일간 종자소독 후 3알 침종처리 또는 6일 종자소독이 적당하다고 여겨진다.

  • PDF

정수지 소독능 진단에 관한 고찰

  • 박승철;이창수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지 제13권(제2호)
    • /
    • pp.205-206
    • /
    • 2004
  • 국내 정수처리에 있어 기존 장티프스, 콜레라 등과 같은 병원성 세균의 소독 뿐만아니라 최근에는 지아디아, 크립토스포리디움과 같은 병원성 원생동물의 불활성화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적정한 소독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수지의 도류벽 설치, 용량확장, 수위비조절 및 잔류염소 농도 조절 등의 운영 및 시설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