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나무류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2초

전북지역(全北地域)에서의 미국(美國) 남부(南部)소나무류(類) 종간(種間) 교잡종(交雜種)의 생장(生長) (Growth Performance of Hybrids among American Southern Pines in Chunbuk Area)

  • 윤양;전계상;박문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47-51
    • /
    • 1984
  • 미국(美國) 남부(南部)소나무류(類) 중(中)에서 Pinus rigida, Pinus taeda, Pinus serotina 세 수종간(樹種間)의 교잡종(交雜種)들의 개발(開發)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전북지역(全北地域)에 식재(植栽)된 13년생(年生) 시험림(試驗林)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생장(生長)과 몇가지 형질(形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종간(種間) 교잡종중(交雜種中)에서 P. rigida와 P. taeda 간(間)의 교잡종(交雜種)들의 생장(生長)이 우수(優秀)하였으며, 특(特)히 P. taeda ${\times}$ P. rigida의 생장(生長)은 전북지역(全北地域)에서 그 우수성(優秀性)이 입증(立證)되었다. 2) P. taeda의 생존율(生存率)이 극(極)히 낮았는데, 이것은 내한력(耐寒力)이 약(弱)한 것에 기인(基因)한 것으로 보인다. 3) 재적생장(材積生長)은 구과(毬果)의 폭(幅) 및 길이, 엽(葉)과 엽초(葉鞘)의 길이와 고도(高度)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4) Cluster 분석(分析) 결과(結果) 교잡종(交雜種)들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양친수(兩親樹) 사이에 위치(位置)하였다.

  • PDF

고사목에서 발견되는 저병원성 소나무재선충 및 이의 인공접종에 의하여 유도되는 소나무의 저항성 (Low-pathogenic Pinewood Nematode Found in Dead Trees and Resistance of Pines Induced by Its Pre-inoculation)

  • 박승찬;문일성;김동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41-147
    • /
    • 2014
  • 소나무재선충은 현재까지 도입된 국가의 토착수종인 소나무류를 모두 치사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사목으로부터 추출 배양된 계통 중에는 소나무에 피해를 주지 않는 계통이 존재한다. 이러한 저병원성 계통 선충의 사전접종이 고병원성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소나무의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다. 치수에 저병원성 소나무재선충을 선접종한 결과, 선접종에 의하여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저항력이 유도되었다. 그 유도저항성은 1년 후까지 유지되었으며, 저병원성 선충의 반복 감염은 보다 저항성 유도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재선충에 의하여 고사한 후 경과기간이 3개월 이하인 피해목 및 피해진행목에서 분리된 선충은 모두 고병원성이었으며, 고사 후 2-3년이 경과한 벌채목에서 분리된 선충 5계통 중 4계통은 저병원성이었다. 저병원성 선충이 소나무 치수에 인공접종 되었을 때 초기 정착률은 고병원성 선충과 차이가 없었으나, 접종 30일 후에 수목내의 부위별 개체수를 조사한바 저병원성 선충의 증식률은 고병원성보다 현저히 낮았다. 저병원성 선충의 잿빛곰팡이병 균사배지에서의 선충증식 속도는 계통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증식속도가 빠른 계통은 대체로 고병원성 선충의 증식속도와 차이가 없었다.

소나무속 잎의 성분 분석 (Chemical Analysis of Pinus Leaves)

  • 황병호;조재현;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
    • /
    • 2000
  • 침엽수 속의 대표적인 수종인 소나무류 4수종의 유효성분을 분석한 결과, 비타민 A는 소나무가 다른 수종에 비해 비교적 많은 1534 IU로 나타났으며, 비타민 C는 해송에서 158 mg%로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에서는 4수종에서 19종이 분석되었으며,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icd는 4수종에서 다량 분석되었고, 특히 리기다에서 23.86%로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은 모두 17종이 분석되었으며 glutanic acid, leueine, arginine, aspartic acid 등의 아미노산이 다량 분석되었고, 이들 중에는 필수 아미노산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Rut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헤송 잎이 10.34%로 가장 높았으며, 잣나무 5.61%, 소나무 3.76% 그리고 리기다 1.35%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고 침엽수 4수종중 소나무에서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비타민 A 등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지방산과 필수 아미노산은 각각 해송과 잣나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수종마다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소나무잎의 일반 및 특수성분들이 보다 높게 분석되었으므로 건강식품개발을 위해서는 풍부한 원료자원면이나 식품영양학측면에서 소나무 잎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며, 이들의 자료는 우선 솔잎가공식품 분야와 임산화학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

울릉도의 균류상 (ll) -수종 배착성균류에 대하여- (Fungal flora of $Ull\check{u}ng$ Island (II) -on some resupinate fungi­ -)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
    • /
    • 1991
  • 1989 년 10 월 12 일부터 일주일간 실시한 답사과정에서 발견한 107점의 표본과 1990년 8월 6일부터 닷새간 실시한 답사과정에서 발견한 68점을 포함하여 도합 175점의 표본이 울릉도에서 채집되었다 . 이들 중에서 62점이 주로 평탄한 자실층 주조를 갖는 배착성 균류들이었으며, 그중 일부 고약버섯류, 꽃구름버섯류, 및 소나무비늘버섯류가 최종적으로 동정되어 8종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7종은 국내 미기록종으로서 우리나라의 균류분포목록에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들 8종의 균류들을 과별로 이름을 나열하면 고약버섯과의 Gloeocystidiellum karstenii (틈굳은고약버섯, 신칭(新稱)), Peniophora lilacea(자색껍질고약버섯, 신칭(新稱)), Phlebia cremeo-alutacea (황아교고약버섯, 신칭(新稱)), P. deflectens (큰아교고약버섯, 신칭(新稱)), P. livida (금아교고약버섯, 신칭(新稱)), 및 Resinicium bicolor (수지고약버섯, 신칭(新稱)), 꽃구름버섯과의 Xylobolus frustulatus (거북꽃구름버섯), 그리고 소나무비늘버섯과의 Hymenochaete corrugata (민소나무비늘버섯, 신칭(新稱))이다. 울릉도는 지면의 경사가 심하고 지형의 변화가 크며 산림의 조성이 풍부하지만 울릉도의 배착성 균류는 침엽수의 제한된 분포로 육지에 비교하여 제한된 종류의 균류상을 보이고 있으며, 주로 계곡과 등산로를 따라 그늘과 습기가 잘 유지된 지역의 딱총나무속(屬)(Sambucus), 오리나무속(屬)(Alnus), 및 너도밤나무속(屬)(Fagus) 의 죽은 나무와 나무 가지에서 다수의 균류들이 채집되었으며, 섬의 환경에 잘 적응된 일부 균류들, 특히 제1보 (정학성, 1991)에서 언급한 흰부후고약버섯(Athelia epiphylla)과 목재고약버섯(Hyphoderma setigerum) 그리고 본보에 기재 한 금아교고약버섯(Phlebia livida)과 거북꽃구름버섯(Xylobolus frustulatus)이 섬의 활엽수림지역에서 우점종으로 자라고 있었다.

  • PDF

송이 생육환경 특성을 고려한 소나무비오톱지도 작성 연구 - 강원도 양양군을 사례로 - (Biotope Mapping of Pinus densiflora Based on Growth Environment of Tricholoma matsutake - A Case Study of Yangyang-gun, Kang Won-do -)

  • 한봉호;박석철;곽정인;김보현;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1-226
    • /
    • 2011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송이산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강원도 양양군을 사례로 송이 생육환경특성을 고려한 소나무비오톱지도 작성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송이와 관련한 국내 외 관련연구 고찰을 통해 송이 생육환경 특성을 도출하고, 송이 생산지의 식물군집구조와 토양환경을 파악하여 소나무비오톱 지도화 기준을 도출하였다. 지도화 기준은 송이가 발생할 수 있는 중요 요인을 지형 조건과 토양 조건, 식생 조건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전체 비오톱유형은 송이생산 가능지, 송이생산 잠재지로 크게 구분하였으며, 송이생산 가능지는 송이생산이 가능한 지형구조 및 토양구조 내 분포하는 소나무 비오톱으로 관목층에 기타 관목성상의 수종이 우점하는 흉고직경 30cm 미만의 단층구조의 소나무 비오톱과 아교목층에 소나무가 우점하는 다층구조의 소나무비오톱이 해당되었다. 송이생산잠재지는 송이생산이 가능한 지형구조 내에 분포하고 있으나 흉고직경 30cm 이상의 노령화된 소나무가 우점하는 단층구조의 소나무비오톱, 아교목층에 참나무류가 우점하는 소나무 비오톱, 관목층에 참나무류가 우점하는 단층구조의 소나무 비오톱 등 식생구조가 부적절한 지역으로 향후 식생관리를 통해 송이 발생 유도가 가능한 지역이었다. 연구결과 소나무비오톱은 송이생산 가능지 6개 유형, 송이생산 잠재지 9개 유형, 송이생산 불가능지 등 총 1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송이생산 가능지는 전체 소나무림 중 총 $9.8km^2$, 15.48%이었고, 송이생산 잠재지는 $20.52km^2$, 32.42%이었으며, 송이생산 불가능지는 $32.97km^2$, 52.10%이었다.

곰솔(Pinus thunbergii)에서 소나무재선충(Bersaphelenchus xylophilus) 나무주사 약제의 효율적인 평가법 개발 (Development of Effective Screening Method for Efficacy Test of Trunk Injection Agents Against Pine Wood Nematode, Bersaphelenchus xylophilus in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 신원식;정영학;이상명;이채민;이창준;김동수;문일성;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40-449
    • /
    • 2015
  •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소나무류의 가장 치명적인 해충의 하나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스페인, 포르투갈 등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살선충제 나무주사는 효과적인 방제법의 하나이나 야외나 실내실험의 많은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체 효과 평가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곰솔의 가지에서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은 수분 손실이 적은 가지에서 증식이 많이 되었으며 파라핀 도포는 수분손실을 78.6% 감소시켰다. 소나무재선충 접종 한 달 후 자른 가지에서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은 접종 부위로부터 상하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5cm구간과 10cm 구간 사이에도 차이가 없었다. 접종 나무의 굵기가 작을수록 재선충의 증식량이 많았으며 접종 동일 면의 증식량이 많았다. 곰솔과 소나무에서 재선충의 증식은 수종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증식기간이 길수록 증식이 많이 되었다. Emamectin benzoate 2.15% EC와 morantel tartrate 8% SL을 곰솔에 수간주입 후 가지를 절단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증식량을 조사한 결과 60일 후에 두 약제 모두 재선충의 증식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수간주사 한 소나무재선충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수간주사 한 나무의 가지에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효과를 검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소나무속(屬) 12수종(樹種)의 염색체(染色體) 핵형분석(核型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Karyotype Analysis in Twelve Species of Pinus Genus)

  • 김수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53-64
    • /
    • 1988
  • 국내(國內)에서 식재(植載)되고 있는 소나무류(類)(Hard Pine) 6종(種)과 잣나무류(類)(Soft Pine) 5종류(種類)의 Root-tip을 재료(材料)로하여 염색체(染色體)의 Long, Short arm과 총(總)길이를 측정(測定)S/L ratio를 구(求)하고 이차내착(二次猍窄)의 위치(位置)를 찾아내고 Idiogram을 도해(圖解)하여 Long arm의 Descending order의 순서(順序)가 바뀌는 Pattern을 밝혔다. 소나무속(屬)의 염색체(染色體)는 기본수(基本數)가 n=12,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S/L ratio가 l에 가까운 M형(型)이 10개(個), SM형(型)이거나 SM형(型)에 가까운 길이가 짧은 것 2개(個)가 합(合)해서 Chromosone 1set를 구성(構成)한다. 이차내착(二次猍窄)의 수(數)와 위치(位置), Long arm의 Descending order의 순위(順位)가 바뀌는 Pattern으로 종간(種間)의 식별(識別)이 가능(可能)했고 Long arm의 Descending order Pattern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함으로서 산지(産地)에 따라 종내변이(種內變異)를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소나무류(類)와 잣나무류(類) group의 염색체구조상(染色體構造上)의 차이(差異)는 있었지만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 특성(特性)에 차이(差異)만큼 크지는 않았다. 염색체(染色體)는 시약(試藥)의 처리농도(處理濃度), 시간(時間)에 따라 아주 예민한 반응(反應)을 일으키므로 최우점(最遇點)을 맞추기가 어렵고 반복(反復)되는 실험(實驗)에서 정확(正確)히 동일(同一)하게 처리(處理)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약간(若干)씩 다른 결과(結果)가 나올 수 있다. 또 preparatur 제작상(製作上)의 여러 가지 어려움 때문에 분석상(分析上)에 착오(錯誤)를 일으킬 가능성(可能性)이 있었다.

  • PDF

조선시대 괘불탱 및 괘불궤 수종에 대한 연구 (Study Regarding Species Identification for Hanging Paintings and Hanging Painting Storage Boxes in Joseon Dynasty)

  • 김순관;최재완;정아름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35-548
    • /
    • 2016
  • 괘불탱은 불교에서 특별한 야외 법회 때 사용하는 대형 족자형 불화이다. 보관 시 괘불궤라는 보관상자에 보관한다. 괘불탱의 바탕재나 안료 등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으나 괘불탱의 괘불축과 괘불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괘불탱을 중심으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은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예산 수덕사, 부안 개암사, 영천 수도사, 상주 북장사, 곡성 도림사, 양산 통도사, 예산 대련사 등 총 10건을 선정하였으며 시료 81점에 대해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괘불축 및 괘불궤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 51점, 피나무속 8점, 노간주나무속 6점, 잣나무류 5점, 솔송나무속 4점, 미송속 3점, 망개나무속 2점, 문배나무속 1점, 대나무아과 1점으로 확인되었다. 솔송나무속과 미송속은 외래수종이며 보수 및 수리 과정에서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소나무류를 이용하여 괘불탱과 괘불궤를 제작하였고 잣나무류도 사용되었다. 불교문화에서 상징성을 갖는 피나무속도 괘불궤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사료되며, 망개나무속과 노간주나무속과 같이 목조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수종도 식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괘불탱 및 괘불궤에 진정성 있는 보존 연구에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원목재배 연구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omitopsis pinicola in log woods)

  • 장현유;오승희;이호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15-118
    • /
    • 2005
  • 소나무잔나비버섯의 자실체 형성에 있어서 일광의 영향은 빛의 파장이 골고루 함유된 자연광이 가장 좋았다. $CO_2$ 농도는 0.2% 이상에서 자실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여 2% 이상에서는 자실체 형성이 되지 못한다. 온도의 영향은 $26^{\circ}C{\pm}2$에서 $15^{\circ}C$ 전후에서 자실체 형성을 촉진한다. 소나무잔나비버섯의 원목 길이가 120cm이고 직경이 6cm일 때 구멍수가 27개가 되며 10ccm일 때 45개, 20cm일 때 90개가 된다. 수확한 자실체를 72시간 동안 햇볕에 건조할 때 자실체 색깔이 생체와 비슷한 색택을 유지하여 가장 좋았다. 소나무잔나비버섯의 재배중 발생하는 병충해는 T. viridae외 6가지 곰팡이와 1종의 세균 Psedomonas sp., 원목 주위에 흰개미, 버섯파리, 딱정벌레류가 발견되었다.

  • PDF

소나무 솔방울의 수종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for Pine Cones by Species)

  • 오진열;박영주;이시영;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29-43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 시 산림 내 연료들의 화재위험성을 분석하고자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류(적송, 해송, 리기다소나무)의 솔방울을 대상으로 착화특성과 발연특성을 고찰하였다. 연료는 대형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 채취하였다. 적송과 해송의 솔방울은 26%와 27%로서 함수율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발화온도는 $380^{\circ}C$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리기다소나무의 솔방울은 33%의 수분을 함유하였으며, 발화온도는 $352^{\circ}C$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송 솔방울의 최대연기밀도는 924Ds로서 해송의 599Ds와 리기다소나무의 605Ds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690s~732s 시간영역에서 최대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