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나무(松)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소나무(松)의 화예적(華藝的) 고찰(考察) -송(松)의 문인화(文人花)를 중심(中心)으로- (Flower Arrangement Study of Pine : Focusing on Pine Gracious Flower)

  • 김정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63-96
    • /
    • 2020
  • 인간이 자연의 식물과 교감하는 화예는 역사적인 배경과 민족성에 따라 특징을 가지며 인간의 영감과 조형 능력으로 서로 다른 양상의 문화가 탄생 되었다. 한국의 화예는 사계절기후의 자연 속에서 발생한, 문명의 소산으로 자연합일사상(自然合一思想)에서 출발하여 우리민족의 심성에 흐르고 있는 자연주의적 본질의 삶과 철학을 시대의 문화에 맞게 자연식물(草木)로서 그 여유로운 미를 덕(德), 지(志), 기(氣)로 배양되어 빚어내었다. 문인화(文人花)는 역사적 전통인 동양철학의 바탕에 계승되어온 정신 이념이 고격의 인품과 시정성{詩情性)을 바탕으로 "외양(外樣)"보다는 식물이 지닌 특성과 취향을 기교의 표출됨이 없이 철리(哲理)의 미학적 함축성을 빚어낸 조형예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정신문화의 화예 근간이 문인화(文人花)임을 규명하기 위하여 소나무(松)를 중심으로 문인화의 배경과 근원, 시정성, 상징성, 우의성, 그리고 문인화 작품에서 표현되는 화예의 조형성과, 화예 유전자 해독으로 미학적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문헌의 기록을 도출하여 연대별로 정리 고찰하고, 한국화예의 정수(精髓)인 문인화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송백(松栢)에 대한 문헌연구 -소나무 잣나무 측백나무를 중심으로- (The bibliographical Investigation of songback(松栢))

  • 송일병;고병희;김종덕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
    • /
    • 2003
  •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ine trees have been used as medicines for Taeyangin and a pine-nuts tree for Taeumin. However, there has been some misunderstandings in interpretation as the Koreans referred to back(栢) as pine-nuts tree as well as cheukback(측백) tree. Also, we have disputed over how to translate songback(松栢). Regarding this dispute, 1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based on a research with exactitude. 1. Songja (松子), Songjain(松子仁), Songsil(松實) means Pinus Koraiensis(잣), not a pine .one. 2. Backja(栢子) is a fruit of Cheukback(측백) tree, not of a pinus koraiensis(잣). 3. Some part of 'yulsunjun(列仙傳)' quoted to explain pine-nuts in Bonchogangmok(本草綱目) was misrepresented. 4. In regard to the record that a court lady of Chin(秦) Dynasty lived for bundle of years, Galhong(葛洪) made a mistake by saying that she took pine needles and a Pinus Koraiensis in 'Pobakja(抱朴子)', while saying that she took pine needles and leaves of Cheukback(측백) tree in 'Joohoobigeupbang( 後備急方). Also He made a mistake by saying that took pine needles and leaves of cheukback(측백) tree in Bonchogangmok(本草綱目). 5. Songback(松栢), which was referred to in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and the historical annals(史記), should be understood as an old pine tree with a hard quality of the lumber and evergreen, .rather than 'a pine tree and a pine-nuts tree' or 'a pine tree and Cheukback(측백) tree'. 6. Although 'Songback(松栢) mentioned in a book on medicine were sometimes considered as 'a pine-nuts tree' and 'Cheukback(측백) tree' or 'a pine tree and .Cheukback(측백) tree,' it should be regarded as an old pine tree in most c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