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규모 학교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1초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의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불안 및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xperience as a Science Experiment Assistant Teacher on the Science Instruction Anxiety and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Small Scale School)

  • 신애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9-11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로 참여한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불안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예비교사 21명을 선정한 후 약 10개월 동안 초등학교에서 과학실험 보조교사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에게 과학실험 보조 교사로 참여하기 전과 보조교사가 끝난 후에 과학 수업 불안과 과학 교수 효능감을 알아보는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를 분석한 후 일부 예비교사는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 경험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불안도와 그 하위 요소인 과학 수업 상태 불안도 및 과학 수업 특성 불안도 모두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과학 교수 효능감과 그 하위 요소인 과학 교수 자기 효능감에서는 효과가 있었으나, 과학 교수 결과기대감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실험 보조교사 경험은 예비교사의 개인적인 경험 및 인식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 탐색을 위한 교육수요자의 인식 분석 (The Study of Educational Consumer's Perception for Exploring Educational Capacity Consolidation Way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sangbuk-do)

  • 정현숙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71-99
    • /
    • 2014
  • 본 연구는 고교 다양화 및 특성화고 육성 정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는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을 탐색 제시하기 위해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들의 일반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경상북도 소재 일반고 총 31개교의 학부모 3,383명, 학생 7,953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교육역량강화 정책에서 추진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수준이며, 학부모와 비교했을 때 학생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교규모별에서는 소규모학교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소규모 학교가 가지는 협동적 학교조직 문화형성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실천 전략의 선호도에서는 학교규모별, 신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향후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전략 수립에서 교육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조화롭게 반영할 수 있도록 단위학교별로 전략수립에 자율성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학교 과학교육에 대한 한국 성인의 장기기억에 대한 탐색 (Exploring Korean Adults' Long-Term Memory of School Science Education)

  • 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87-494
    • /
    • 1995
  •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성인들이 자신의 초중등 학교 시절 경험하였던 학교 과학교육에 대해 어떤 종류의 즐거운 혹은 괴로운 기억들을 현재까지 갖고 있는가를 탐색하였다. 성인들은 오래 전 경험하였던 매우 인상적인 활동이나 장면들을 통해 학교 과학교육을 기억할 것이고, 이러한 기억은 그들의 학교 과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성인들의 학교 과학교육에 대한 이러한 기억들을 살펴보면, 학교 과학교육의 특징을 이해하고 장기적으로 학교 과학교육을 보다 즐거운 경험의 장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소규모의 설문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설문 대상은 대구지역의 30-50대 성인 88명이었다. 설문은 현재 과학과 관련된 특정한 직업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에서 응답자들은 자신들의 초중등 학교 과학교육을 받으면서 가장 즐거웠던 기억과 가장 괴로웠던 기억이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이러한 경험은 초중고 어느 때이었는가를 응답하였다. 성인들이 가장 즐거웠던 기억으로 지적한 것은 실험 실습 활동(65.9%), 야외학습 활동(19.3%) 등으로 전통적인 교실수업 이외의 활동이 약 86%로 나타났다. 그리고 효과적인 교실수업, 교사의 인성적 특징, 과학전람회 참가 등의 경험을 언급한 경우도 부분적으로 있었다. 성인들이 가장 괴로웠던 기억으로 지적한 것은 따분한 교실수업(51.1%), 실험 실습 활동의 부정적인 측면(28.4%) 등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과다한 숙제, 교사의 인성적 특징, 야외학습 활동, 과학수업의 부재 등을 지적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즐거웠던 기억은 국민학교 시절의 경험에서(56.8%), 반면 괴로웠던 기억은 고등학교 시절의 경험에서(44.3%) 많이 나타났다. 특히, "개구리 해부 실험" 의 경우, 7명이 가장 즐거웠던 기억으로 8명은 가장 괴로웠던 기억으로 언급하여 매우 상반된 견해를 나타냈다. 따라서 동일한 활동일지라도 학생들에게는 매우 상반된 경험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 경우 생명체에 대한 과학실험의 윤리적 문제와 이에 대한 갈등을 분명하게 드러냈다.

  • PDF

충남지역 초.중.고 학교급식 조리원의 위생지식 및 HACCP 수행도 조사 (Survey on sanitary knowledge level and degree of HACCP practice in culinary staff employ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nam province)

  • 이영중;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300-312
    • /
    • 2014
  • 본 연구는 충남지역 전체 행정 구역인 14개 시 군에 소재하는 초 중 고 급식학교를 골고루 포함시켜 305교를 편의 추출하고 각 학교에 근무하는 조리원 1명씩을 무작위 추출해 총 305명의 조리원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급식 조리원의 학교급식 관련 위생지식 및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 3차 개정에 준한 HACCP 수행도를 조사해 학교급식 위생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조리원의 학교급식 관련 위생지식 수준이 높을 때 HACCP 수행도가 높아 조리원의 위생지식 수준이 HACCP 수행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초 중 고 중에서 초등학교로 갈수록 조리원의 위생지식 수준은 높으나 초등학교에서 일부 항목의 HACCP 수행도가 낮았는데, 이는 본 연구 대상 초등학교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비해 면단위 농촌형 소규모 학교가 많아 HACCP 수행에 필요한 인력과 시설 설비 기구를 적정하게 보유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소규모 학교에 대한 인적 물적 자원의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조리원의 HACCP 수행도가 낮은 것은 이들의 HACCP 위생교육 횟수 부족에 따른 위생지식 수준이 낮은 점과 관련이 있으므로, 고등학교 조리원에게 1일 3식의 과다한 업무 속에서 짧은 시간 내에 취약 항목인 조리 전후 식재료나 음식의 취급 및 보관 등에 관한 위생교육을 자주 실시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자료를 개발해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중학교의 경우 조리원의 위생지식 수준과 HACCP 수행도가 높으며 학교급식 HACCP 관련 시설 설비 기구를 잘 갖추고 있어서 양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충남지역 초 중 고에 근무하는 조리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어서 표집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학교급식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위생관리에 관한 현장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이 결과를 반영한 위생교육이 활성화됨으로써 학교급식 조리원의 위생지식 수준과 현장실천도를 높여 학교급식 품질을 향샹시켜 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친사회적 학교 커뮤니티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ty Space Planning for Pro-social Schools)

  • 정장홍;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5권3호
    • /
    • pp.15-25
    • /
    • 2016
  • 본 연구는 학교 내 커뮤니티 형성과정과 그 특성을 밝혀 미래 학교공간이 지향해야할 친사회적 지속가능 환경 구축 및 공간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학생들의 휴게 시간을 보다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휴게 시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더불어 학교 내 학생들의 커뮤니티 형성 공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학교 내 휴게시간 커뮤니티 형성과정과 그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연구자가 근무하는 지역의 가장 최근 개교한 미래형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교 내 커뮤니티 공간 조성에 대한 분석 결과 학교 내 사회적 소통 및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에 대해서 성별, 학년별 차이 없이 모두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커뮤니티 공간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공간으로는 홀 알코브 공간, 복도 알코브 공간, 교실인접 소규모 공간, 다목적 계단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커뮤니티 공간으로는 홀, 복도 알코브 공간으로 각각 만남, 소통, 휴식, 사회적 교류 등 소통 활동을 가장 하고 싶어 하였다.

도시내 미활용 학교부지의 효율적 활용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Use of Disused School Sites in Urban Area - Focused on An Elementary School Site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

  • 이화룡;조창희;하봉운;동재욱;김현호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9-48
    • /
    • 2012
  • In recent years, the change of urban function and the decrease in birth rate have given rise to merge, abolition and relocation of the existing school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for various land utilizations of disused school sites, using the trial case of 'M' elementary school at Bu-pyung Gu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M' elementary school has recently happened to need no more land to build another school because of de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Firstly, it studies the land reuse theories in city, the development methodologies of disused sites and the legalistic and political authority and limits. It analyzes the urban spacial values and roles, such as the educational roles, spacial functions and development values of the land. In addition, this study make a questionnaire of local residents to converge the public opinions on the utilization of disused school site. Finally, it proposes the principal direction for the effective appropriation and an alternative for exploitation of school site targeting disused school site of 'M' elementary school.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 설계 (Framework Design for Managing the Distributable Official XML Documents)

  • 이소영;정옥란;조동섭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1-23
    • /
    • 2004
  • 학교 내의 문서 전달은 교육청과 같은 규모가 큰 교육기관과는 달리 소규모라는 점 때문에 소홀히 여겨져 왔다. 외부의 행정 환경 변화에 따라 학교 내의 행정 서비스 전달 체계도 그 구조와 틀을 쇄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논문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을 설계하고, 컴포넌트 관계로 모델링하여 JSP 컴포넌트 기반의 공문서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시스템은 기한이 임박한 공문서와 같은 교육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줄이고 문서 관리 체계의 전산화로 학교 내 행정 서비스 환경을 개선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건강증진모델학교 분석: 읍면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Focusing on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 김미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7-78
    • /
    • 201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esent a model of WHO Health Promoting School easily applicable to small-sized schools in rural areas. Methods: The study analyzed data of 11 small-sized schools in rural areas selected from 85 health promoting schools, an initiative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2012 to 2014.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found out the operation proces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consists of five stages: system development, needs survey & survey on current status, school health policy development, program development & execution, and evaluation. In addition, the study was able to discover three key factors in operating health promoting schools: connection with curriculum, connection with community, and consensus among members. While it turned out the schools were following operation manuals faithfully, the biggest problem with operation was that the stages of needs survey, priority setting, and core task development were not closely coordinated. Conclusion: Although the model suggested in the study fail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mall-sized schools in rural areas, it is close to a universal model which could serve as a guideline when regular schools adopt the system of health promoting schools.

농촌지역 소규모 중학교 수학학력 저하의 변인 연구 (A Study on factor of Mathematical Abilities Lowering of small middle schools in the rural community)

  • 최택영;신용국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1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small rural middle schools and nearby urban ones In the mathematical diagnostic evaluation. It also says how to improve students' scholastic abilities, making up a question of attitudes towards math to know the mathematical abilities lowering cause in small rural middle schools. Findings are, 1. Students must recognize that studying math is essential and be interested in it. 2. The mathematical confidence is needed. 3. A strong will of studying math hard is important. 4. Students must have a motivational triggering, while solving math problems and then checking answers for themselves. 5. Backward countries' humanistic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overcome. In conclusion, we expect the mathematical abilities improvement, making students remove the mathematical abilities lowering cause after having a learning experience suitable for the rural community instead of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s math.

  • PDF

농산어촌지역 교육의 특성과 문제점 분석 -세 학교에 대한 문화기술적 접근- (An Ethnography on Educational Activities of Three Middle Schools in Rural Area)

  • 이두휴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3호
    • /
    • pp.435-483
    • /
    • 2011
  • This paper was to study characteristics of school types based on classification of rural areas. This study tri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lementing the development of rural education policy for the community unit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administrative district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s and selected three schools considering the gaps in size and location of rural community. The researcher interviewed teachers and parents, to gather information about rural education, and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each rural school has its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by the school types corresponding to each rural community. Characteristics with school types were influenced by school location, possible migration into the cities, possible opportunities of private tutoring, school size, social class distribution, socio-economic status, dwelling pattern of school teachers.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hat the educational policies for rural area consider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ural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