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스데이터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alysis of One-Person Household - The Case of Busan City - (1인가구의 시공간적 분포 분석 - 부산시를 사례로 -)

  • Yoo, Chang-Ju;Nam, Kw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59-71
    • /
    • 2014
  • At present, Korean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spite of the reduction of total population. The increasement of one-person household has become a social and institutional issue. It is necessary to response socially and economically to not only changes of housing demand but also the disadvantaged classes such as the socially weak and single elderly household from the national level.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spatial distribution (such as the increasing area, high-density area, and majority area) of one-person household with census data in the city of Busan. The clusters of one-person households were selected by focusing on the spatial distributions by time series changes of 2000, 2005, and 2010 and considering their housing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olicy efficiency, the clusters of one-person households to be supported by priority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ensus data from 6066 output areas in the city of Busan. As a result, lots of one-person households of juniors were distributed around the university town, office facility, and station service area. Lots of one-person households at middle-aged class were distributed in Busan's original downtown and mountain-side road. Generalizing these characteristic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ne-person household dense area in Busan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is research should be utilized as a counterplan for increasing the housing demand of one-person household or basic data for supporting small housing supply policies in the future.

Comparative analysis of official demographics (공식인구통계들에 대한 비교 분석)

  • 김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1
    • /
    • pp.99-108
    • /
    • 2017
  • There are three official official demographic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opulation census, population projections, and resident population. Among these, the population projections estimates are based on population census statistics, which are conducted every five year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future population statistics and resident population statistics. In order to detect errors in the census process, we surveyed the outliers of demographic data. Based on these, we ai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official demographics. Resident registration demographic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age increased from 0 to 12 years, although the population had to decrease as the age increased. In the population projections, as the age increases from 18 to 28, a new population has developed and the population has increased. Also, in the resident population, between 2009 and 2010, in the population projections, between 2010 and 2011, there was a strange phenomenon that the population grew as a result of a new population as the age of all ages increased. Both official demographics need to be carried out through more accurate verification.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aged population survey on the elderly population statistics will provide greater efficiency in establishing administrative policies.

Generating Korean synthetic populations by using the iterative proportional updating method (Iterative Proportional Updating 방법을 이용한 한국 가상 인구 데이터 생성)

  • Son, Woo-Sik;Kwon, Okyu;Lee, Sang-H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5 no.4
    • /
    • pp.13-20
    • /
    • 2016
  • Microsimulation model has aimed to simulate the impact of policy at the level of individual and household. Recently, microsimulation model has been widely accepted in OECD countries for evaluating their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For improving the availability of microsimulation model, the population data which shows good accordance with the official statistics should be required. In this paper, we generate Korean synthetic populations by using the iterative proportional updating method. For the validation of Korean synthetic populations, we compu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ed synthetic populations and the summary table of Korean census. Then, we confirm that it shows good accordance with the summary tabl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utomatic Coding System for Statistical Information Classification in Korea (통계정보 분류의 자동코딩 성능 실험 연구)

  • Nam, Young-Jun;Ahn, Dong-E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7 no.4
    • /
    • pp.27-45
    • /
    • 2000
  • National statistical data such as Korean Census is fundamental data for national administr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utomatic coding system utilizing morphological analyser and knowledge dictionaries. Knowledge bases are constructed based on an authority dictionaries which were developed by authors utilizing a newly learning theory. Test data indicates 99.5% of productivity and 83.3% of accuracy. The presented method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nalyze statistical information.

  • PDF

A Customer Profile Model for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in e-Commerce (전자상거래에서의 협업 추천을 위한 고객 프로필 모델)

  • Lee, Seok-Kee;Jo, Hyeon;Chun, Sung-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5
    • /
    • pp.67-74
    • /
    • 2011
  •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thods of automated product recommendation in e-Commerce. For analyzing the customer's preference, traditional explicit ratings are less desirable than implicit ratings because it may impose an additional burden to the customers of e-commerce companies which deals with a number of products. Cardinal scales generally used for representing the preference intensity also ineffective owing to its increasing estimation err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way of constructing the ordinal scale-based customer profile for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A Web usage mining technique and lexicographic consensus are employed. An experimen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better than existing CF methodologies.

Efficient Quantitative Association Rules with Parallel Processing (병렬처리를 이용한 효율적인 수량 연관규칙)

  • Lee, Hye-Jung;Hong, Min;Park, Doo-So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0 no.8
    • /
    • pp.945-957
    • /
    • 2007
  • Quantitative association rules apply a binary association to the data which have the relatively strong quantitative attributions in a large database system. When a domain range of quantitative data which involve the significant meanings for the association is too broad, a domain requires to be divided into a proper interval which satisfies the minimum support for the generation of large interval items. The reliability of formulated rules is enormously influenced by the generation of large interval item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to efficiently generate the large interval items.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lose any meaningful intervals compared to other existing methods, provides the accurate large interval items which are close to the minimum support, and minimizes the loss of characteristics of data. In addition, since our method merges data where the frequency of data is high enough, it provides the fast run time compared with other methods for the broad quantitative domain. To verify the superiority of proposed method, the real national census data are used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and a Clunix HPC system is used for the parallel processing.

  • PDF

한국과 미국의 집권정당 정책과 계층별 소득분포 연구 - 요한슨 공적분 검정 -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301-314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집권정당 정책과 계층별 소득분포 실증분석 - Granger Causality 분석과 충격반응분석 -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315-331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집권정당 정책과 층별 소득분포에 대한 소고(小考)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477-487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migrant Occupational Selection Model : The Case of Scientific-technical Jobs in the U.S. (이민의 직업선택모델 비교연구: 미국의 과학기술직 사례)

  • Lee, Sae-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9 no.2
    • /
    • pp.37-42
    • /
    • 2006
  • 기술집약적인 경제성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공계 진학과 과학기술직종선택의 감소는 성장잠재력에 가장 근본적인 위협이 된다. 이를 유지하려는 여러 가지 정책이 교육학적이나 사회학적 근거에서 제시되고 있으나 이를 분석하는 이론적 경험적 틀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직업선택모델은 사회학적인 접근법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경제적 동인에 대극 분석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 미국 센서스 데이터에 나타난 가장 국제화된 미국의 과학기술직 사례를 통해 인적자본 모델을 기준으로 하여 기술직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한다. 이민의 직업선택모델의 관점에서 원주민의 경우와 비교하며, 동시에 타 직업군과 비교한다. 직업선택에서 미래소득에 대한 예측이 대체로 정확하나 실제의 선택이 다르다는 기존 논문들의 주장은 성간 차이의 문제를 제외하고는 현격하지 않다. 민족적 차이의 효과도 인적자본효과에 비해서는 크지 않다. 과학기술직은 고급 화이트칼라 직종에 비해 결혼과 교육 언어 경험면에서 저급한 직종의 특성을 보인다. 여성의 과학기술직 기피는 남성프리미엄이 높아서는 아니지만 합리적인 차별 때문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