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분화

Search Result 1,66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Agrimonia pilosa Ledeb. in 3T3-L1 Preadipocytes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 Lee, Jung-A;Ahn, Eun-Kyung;Hong, Seong-Su;Oh, Joa-Su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1 no.2
    • /
    • pp.161-167
    • /
    • 2012
  •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ethyl acetate extract from A. pilosa L. (EAAP) suppresses lipid accumulation and inhibits expression of adipogenic marker gene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glucose transporter 4 (GLUT4), and adiponectin in 3T3-L1 preadipocytes. We demonstrated that EAAP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mRNA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EAAP reduced the PPAR${\gamma}$ transcriptional activity stimulated by rosiglitazone in HEK 293T cells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GLUT4 and adiponectin in 3T3-L1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AP inhibits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blocking of PPAR${\gamma}$ and C/EBP${\alpha}$ gene expression in 3T3-L1 cells.

Studies on the Isozyme Patterns Followed by Redifferentiation Stages of the Pepper(Capsicum annuum L.) - Changes of isozyme pattern on somatic embryogenesis in cutured pepper cells - (고추(Capsicum annuum L.)의 재분화 단계에 따른 Isozyme 양상에 관한 연구 - 고추 배양세포의 체세포배 형성에 따른 Isozyme 양상의 변화-)

  • 정현숙;공현진박진수강영희
    • KSBB Journal
    • /
    • v.7 no.3
    • /
    • pp.216-221
    • /
    • 1992
  •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somatic embryogenesis in cultured pepper cells (Capsicum annuum L. cv Shinhong) were investigated. The somatic embryogenesis was induced by cultivating the callus in hormone-free MS medium. The peroxidase patterns in the somatic embryogenic cells and the culture medium was revealed three and two of cathodic and anodic bands by isoelectric focusing respectively. Activity of peroxidase released into culture medium was 4 times higher than that of 12th day cultured cells. At the heart stage, the isozyme patterns of the MDH and esterase were found to be changed, which were showed by starch gel electrophoresis. It means these isozymes can be used as markers for studying somatic embryogenesis and differentiation.

  • PDF

Fabrication of a biomimetic hierarchical surface structure replicated from a lotus leaf (연꽃잎 모사를 통한 생체모방 계층적 표면 구조 제작)

  • Lee, Hyeong-Jin;Kim, Min-Seong;Kim, Geu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8-108
    • /
    • 2017
  • 다양한 생체 재료들을 이용한 마이크로 및 나노 크기의 표면 구조 모사는 조직공학에서 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마이크로-나노 구조가 공존하는 계층적 표면 구조는 골 아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탁월하여 뼈 조직 재생에 응용되어 왔다. 기존에는 화학적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표면 구조가 제작 되었으나 미세 거칠기 및 계층적 표면 구조의 제어가 어려웠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플라즈마를 이용한 애칭 기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높은 온도 공정 환경에 의한 재료 선택의 한계점 및 오랜 공정 시간에 의한 플라즈마 처리 효율이 감소되어 원하는 표면구조 및 거칠기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나노 주조 기법 이용하여 생체적합성 합성고분자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위에 연꽃잎 구조를 모사한 후 플라즈마 애칭 기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3.01-3.07{\mu}m$)와 나노크기 ($97{\pm}16nm$)를 동시에 갖는 계층적 구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구조의 효능을 관찰하기 위해 조골세포를 배양한 결과 평평한 PCL 구조보다 제작된 계층적 구조가 높은 세포성장률 (>2.9배)및 세포 분화도(>2.1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표면 공학적 모델로서 손상된 뼈 및 치아조직 재생을 위한 적합한 거칠기 및 표면적인 환경을 제공해 빠른 재생 능력과 더불어 치료기간의 단축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Transplantation of Intravascular Cultured Neural Stem Cell upon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혈관내에 배양한 신경줄기세포의 이식이 말초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

  • 양영철;김우일;박중규;배기원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2 no.3
    • /
    • pp.306-316
    • /
    • 2002
  • The ultrastructural change of sciatic nerve and immunohistochemical changes of NGF, PCNA were studied at the transplanted segment of intravascular cultured neural stem cell in the rat sciatic nerve by 5 months after the sciatic nerve transection. The transplanted intravascular neural stem cells were differentiated into Schwann reals at the 20th day and these cells began to regenerate by the proliferation and hypertrophy. There were many remyelinating Schwann cells in the transplanted nerve in term of stimulation. According to NGF finding, we suggest preexisting Schwann cells may induce the differentiation of neural stem cells into regenerating Schwann cells. Electron microscopic changes were the remyelinating appearance, the increase of intraaxonal microtubules and enlarged mitochondria and contacting tell processes each other.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Choline Acetyltransferase-immunoreactive Nerve Cells in the Basal Nucleus of Meynert of the Rat Forebrains During the Postnatal Development (흰쥐 출생후 발생에 따른 전뇌 기저부 Meynert기저핵에서 Choline Acetyltranseferase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분포 및 분화)

  • Lee, Nam-Seob;Chung, Young-Wha
    • Applied Microscopy
    • /
    • v.29 no.4
    • /
    • pp.479-491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ion of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immunoreactive cells in the basal nucleus of Meynert of the postnatal and adult rat forebrains, utilizing techniques of immunocytochemistry. According to the cell shape and the ratio of long axis vs short axis of cell soma, the ChAT-immunoreactive nerve cells in the basal nucleus of Meynert of the adult rat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In the adult rat, the frequency distributions (FD) of round, oval, elongated, fusiform, triangular and polygonal cells were 9.4%, 35.5%, 32.1%, 5.9%, 9.1% and 8.0%, respectively. The FD of oval and round nerve cells on the postnatal day (PND) 14 were observed to be 18.7% and 51.5%, respectively. Those were shown to be progressively decreased during developmental process to the adult. Also, those of elongated and triangular nerve cells on the PND 21 were observed to be 30.4% and 10.1%, respectively. Those were shown to be same phenomenon a,1 those in the round and oval cells. Meanwhile, those of the triangular and polygonal nerve cells were progressively increased from the early postnatal stage to the adult. The total mean volumes of ChAT-immunoreactive cell somata in the PND 7 rat were the lowest $(1,083{\mu}m^3)$ and those in the PND 21 rat were shown to be the highest $(5,045{\mu}m^3)$. But in the adult, those were decreased to $(2,731{\mu}m^3)$. Those in the PND 21 rat were shown to be about 84.7% larger than those in the adult. On the electron micrography, the cell organelles such as ribosomes, polysomes, rough endoplasmic reticula (RER) and mitochondria were well developed in the PND 21 rat forebrains, but Golgi complexes were shown to be proliferating phase. Especially, ribosomes, polysomes and RER were immunoreactive in the tissues treated with 0.05% triton X-100. According to the observations in the present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T-immunoreactive nerve cells in the basal nucleus of Meynert of the rat forebrains are differentiated throughout the following processes of changes during the postnatal development: 1) increase of cell soma volumes with the differentiation of tell organelles and neurites, 2) increase in the FD of differentiated tell types and 3) cell schrinkage without cell loss. The ribosomes, polysomes and RER are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intracellular localization and biosynthesis of the ChAT but not Colgi complex.

  • PDF

Structural Differentiation of Photosynthetic Tissue in Kranz Anatomy of Salsola Species (Salsola속 Kranz구조내 광합성조직의 구조분화)

  • Kim, In-Sun
    • Applied Microscopy
    • /
    • v.31 no.4
    • /
    • pp.367-374
    • /
    • 2001
  • Leaves of two developmental stages of Salsola species, young and mature, were examined to reveal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relationships in the photosynthetic tissue using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criteria. Both young and mature leaves had Kranz anatomy of the Salsolid type with two layers of chlorenchyma on the leaf periphery: an outer layer of palisade mesophyll cells and an inner layer of compact bundle sheath cells with centripetally arranged organelles. The chlorenchyma was continuous in young leaves , while it was discontinuous in mature leaves. The main vascular bundle occupied the central position in the leaf. but the small peripheral vascular bundles were in contact with the chlorenchyma. Structural dimorphism of chloroplasts was obvious in bundle sheath cells of mature leaves exhibiting noticeable grana reduction, whereas mesophyll cell chloroplasts had well developed grana in all cases. Plasmodesmata were less numerous and rather simple in young leaves relative to well-developed secondary plasmodesmata of the later stage. According to the current data, features of two stages of Salsola leaves corresponded to NADP-ME bio-chemical subtype on the basis of photosynthetic cell ultrastructure. Implications of developing such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data of Sulsola species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reported in other C-4 species have been discussed.

  • PDF

The biological effects of fibronectin typeIII 7-10 to MC3T3-E1 osteoblast (Fibronectin type III 7-10 이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 Hong, Jeong-Ug;Choi, Sang-Mook;Han, Soo-Boo;Chung, Chong-Pyoung;Rhyu, In-Chul;Lee, Yong-Moo;Ku, 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2 no.1
    • /
    • pp.143-160
    • /
    • 2002
  • 타이태늄은 뛰어난 생체적합성과 적절한 물리적 성질을 바탕으로 치과 및 정형외과 영역의 매식재로 널리사용되어져 왔으며, 골과 매식재 사이의 골 융합 정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물리,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타이태늄의 표면처리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부착단백질 또는 성장인자를 이용한 생체재료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조직적합성 및 치유 능의 개선을 위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Fibronectin(FN)은 주요 세포외기질중의 하나로 생체 내 널리 분포하여 세포의 부착, 이동 및 증식에 관여하는 거대 당단백으로, RGD및 PHSRN 펩타이드 서열이 세포의 인테그린과 결합하여 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FN으로 처리된 타이태늄이 조골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석회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부착분자를 이용한 타이태늄 표면개질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상업용 순수 타이태늄을 gold thiol법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후, 혈장 FN(plasma FN, pFN)과 유전자재조합법을 이용하여 얻은 FN조각(FN type III 7-10, FNIII 7-10)을 피복한 시편을 실험군으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것(smooth surface, SS)과 산 부식(Sandblasted and acid etched, SLA)처리된것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배양된 조골세포주(MC3T3-E1)를 사용하여 타이태늄 표면 처리에 따른 세포의 증식, 형태변화,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ase) 생산 및 세포면역형광법을 이용한 분화정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 관찰하였다. 조골세포증식의 경우 FNIII 7-10 처리군에서 pFN 처리군 및 대조군에 비해 시간경과에 따라 유의성있는 세포수의 증식이 관찰되었으며(p<0.05), ALPase 생성의 경우에도 FNIII 7-10 처리 군에서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효소의 생성이 관찰되었다(p<0.05).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세포의 형태관찰결과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에서는 마름모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산 부식 처리된 군에서는 세포가 가시모양의 형태를 보인 반면 FN으로 처리된 두 군에서는 세포의 부착 및 펴짐이 매우 발달되어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세포의 분화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국소부착키나제(focal adhesion kinase, FAK), 및 actin stress fiber의 분포양상을 세포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FN으로 표면처리된 두 군에서 아무런 처리도 하지않은 군 및 산 부식처리 한 군에 비해 프라크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으며 잘 발달된 actin stress fiber의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의 결과들은 gold thiol 법을 이용한 표면처리 후 FN부착을 통한 타이태늄의 표면개질이 조골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석회화 정도를 촉진시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런 결과들은 더 짧은 FN조각을 이용한 다른 생체재료의 표면개질에 폭 넓게 응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VELVET ANTLER (녹용의 약리학적 성분)

  • 전길자
    • Korean Deer Journal
    • /
    • v.7 no.10 s.48
    • /
    • pp.60-64
    • /
    • 2002
  • 알려진 녹용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활성성분을 이용하여 신의약품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실에서는 녹용의 가장 대표적인 효능인 조혈작용을 하는 성분을 구조 분석하여 MADG임을 밝히었다. MADG는 조혈촉진기능뿐만 아니라 대식세포 증식기능 그리고 비장세포성장을 촉진하는 등 면역활성 조절제로써의 기능도 나타내었다. 그리고 녹용에 존재하는 인지질 중에서 포화지방산을 가지고 있는 phophatidylcholine도 면역활성을 촉진시키었다. 항진균작용을 하는 성분을 구조 분석한 결과 lysophophatidylcholine임을 밝히었으며 그 유도체인 CHJ-ester가 숙주세포에는 해를 주지 않으면서 항진균작용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골다공증치료효과를 검색하기 위해 녹용 정제성분으로 연구한 결과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100$\%$ 저해함을 밝히므로 녹용이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있음을 증면하였다. 녹용성분의 유도체인 SCOH가 파골세포분화를 억제함을 밝혀 현재 골다공증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1999년부터 녹용연구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10여 개의 활성성분을 분석한 바 있다. 현재 조혈세포촉진작용, 면역증진작용, 골다공증치료작용, 대식세포 증식작용, 항진균작용, 항간질작용에 대한 성분 분석 및 그 약리 기전을 연구하고 있다.

  • PDF

Tissue Engineering for Dental Implants

  • Kim, Hyun-Man;Go, Jae-Se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8 no.4
    • /
    • pp.421-426
    • /
    • 2000
  • 조직공학은 결손된 조직의 구조 및 기능을 신속히 수복할 수 있도록 적절한 생체소재, 세포, 활성인자 세가지 구성요소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써 결손된 조직을 대체할 수 있는 세포에 대한 부착, 이동, 증식, 분화조건을 최적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치아임플랜트의 조직 공학적 적용은 다음 몇가지 관점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인공치아 임플랜트도 넓은 의미에서 그 자체로서 조직공학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결손된 치아의 구조 및 기능을 신속히 회복시킬 수 있도록 조직공학적인 관점에서 검토할 수 있다. 생체소재는 표면에너지의 관점에서, 세포는 골모세표와 섬유모세포관점에서, 활성인자는 세포분화 촉진인자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치아임플랜트의 기능회복 촉진을 위한 조직공학기법을 부가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임플랜트와 생체조직사이에 기능성 조직을 신속히 형성시키므로써 임플랜트의 기능회복을 촉진하는 적절한 생체소재, 세포, 활성인자를 적절히 이용하는 정통 조직공학기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 PDF

Effects of Retinoic Acid on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of Pig Preadipocytes (Retinoic Acid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와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Lim, Hee-Kyong;Choi, Kang-Duk;Oyungerel, Baatartsogt;Choi, Young-Suk;Chung, Chung-So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0 no.4
    • /
    • pp.475-484
    • /
    • 2008
  • The curr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tinoic acid(RA) on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of pig preadipocytes. The preadipocytes were isolated from the backfat of the new-born pigs. RA was treated to the cultured cells for 4 days and RNA was extracted from the cells. Isolated RNA went through in situ hybridization using the 14,688-gene cDNA microarray chip. Degree of cell differenti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glycerol 3-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RA decrease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by 78%. Fourteen gene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RA, including genes known to be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particulary sphingomyelin phosphodiesterase, apolipoprotein R precursor, growth factor receptor-bound protein 14, retinoic acid receptor RXR gamma. However,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D precursor and growth hormone receptor precursor genes playing a central role in cell growth, was greatly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 inhibits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ocytes by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of the growth factor or growth hormone recep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