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종실록 지리지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Korean Ginseng i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세종실록』을 통해 본 고려인삼)

  • Joo, Seungjae
    • Journal of Ginseng Culture
    • /
    • v.3
    • /
    • pp.11-37
    • /
    • 2021
  • Korean ginseng is the one of the most famous medicinal herbs globally and has long been a representative item of East Asian trade, including across China and Japan. Since Joseon (1392-1910) ginseng trade was entirely controlled by the state,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re a valuable resource that can shed light on the history of the ginseng industry at that time. By studying the subsectio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世宗實錄), when ginseng was used even more widely, we assess the purpose and scale of its trade in the 15th century, identify its original listing in the geographical appendix, develop a distribution map, and explore similarities to current ginseng cultivation area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1418-1450), ginseng was sent to China as a tribute 101 times, with a combined weight of 7,060 kilograms, with less than one-third of that amount given to Japan and Okinawa. It was used to cover the travel expenses of foreign envoys and servants, but this can be seen to gradually decrease after the regnal mid-term, primarily due to a decrease in the amount of ginseng being collected. At the time, there were 113 areas of naturally growing ginseng as listed in the records' geographical appendix, including 12 recorded in the 'tributes' category: Yeongdeok-gun, Yeongju, and Cheongsong-gun in Gyeongsangbuk-do; Ulju-gun and Ulsan in Gyeongsangnam-do; Jeongeup, Wanju-gun, and Jangsu-gun in Jeollabuk-do; Hwasun-gun in Jeollanam-do; Goksan-gun and Sinpyeong-gun in Hwanghaebuk-do; Jeongju and Taecheon-gun in Pyeonganbuk-do; and Jaseong-gun and Junggang-gun in Jagang-do. A total of 101 places are recorded in the 'medicinal herbs' category, located throughout the mountains of the eight Joseon provinces, except the islands. In comparison with current ginseng cultivation sites, many of these historical areas are either consistent with or adjacent to contemporary locations.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was compiled in the early days of the king's reign (1432) when there was a lot of wild ginseng. The appendix is a valuable resource that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growing ginseng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The apparently natural habitats in the south, where ginseng is not currently cultivated, could be candidates for the future. Moreover, areas in the north where ginseng has not been grown, except Kaesǒng, could be a good alternative under sustainable inter-Korean exchange should cultivation sites move north due to climate warming.

Investigation of the location of Jagiso eunchon in Goheung-hyeon and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Undae-ri kiln (고흥현 자기소(磁器所) 은촌(犾村)의 위치 탐색과 운대리 가마터 성격 검토)

  • SUNG Yungil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4
    • /
    • pp.72-92
    • /
    • 2023
  •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of Jagiso eunchon in Goheung-hyeon and the nature of Undae-ri kiln site were examined. Goheung-hyeon's administrative agency was moved to Joyang-hyeon, which is now Joseong-myeon, Boseong-gun in 1395. Therefore, Goheung-hyeon Jagiso Eunchon in Sejongsillok Jiriji corresponding to 1424~1432 should be found in the west of Joseong-myeon, Boseong, where the administrative agency was moved in 1395. Among the four boundaries of Goheung-hyeon recorded in the 『Sejongsillok』 Jiriji, it is recorded as 2-ri by the sea in the south and 8-ri by Nakan in the east. If the current Goheung-hyeon is Goheung-hyeon's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Sejongsillok Jiriji Records Compilation Period, it cannot be the boundary the south and east mentioned above. This is because it cannot be 2-ri from the current Goheung-eup to the sea in the south, and Nakan is close to the north, not the east, as recorded. However, it has already been suggested that Joyanghyeonseong(朝陽縣城), located in Gonae Village, Ucheon-ri, Josung-myeon, Boseonggun is an Goheunghyeon's administrative agency. And if the four-way boundary of Goheung-hyeon was converted into the current distance unit based on this place(Joyanghyeonseong, 朝陽縣城), an approximate result could be obtained even if it did not exactly match.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Goheung-hyeon's administrative agency, which was moved to Joyang-hyeon, Boseong in 1395, is Gonae Village, Ucheon-ri, JoSeong-myeon, Boseong. Jagiso eunchon(犾村) in Goheung-hyeon can be interpreted as a "dog-shouting village." It is thought to be a meaning structure of "animal + sound". A place name thought to have the same structure was identified in Jeongheung-ri, west of Ucheon-ri, Joseongmyeon, Boseong. It is the name of a village called Hoeum-dong(虎吟洞), and it is interpreted as the sound of a tiger or the bark of a tiger, which is the same as the meaning structure of Eunchon. However, there is Gaesan Village in the south of Hoeum-dong, and a Buncheong ware kiln site was identified around it. At this kiln site, a fragment of carved Buncheong ware engraved with the character "Eon", which corresponds to the right stroke of the character "Seom (贍)" in the name "Naeseom (內贍)" was identified. A small amount of Buncheong ware and Joseon celadon pieces were also identified. It can be seen that the Buncheong ware paid to the government was made by checking the Buncheong ware with the government name engraved on it. On the west side of Joyanghyeonseong Fortress in Ucheon-ri, joseong-myeon, Boseong, which was the administrative agency of Goheung-hyeon and the area around the Gaesan Buncheong ware kiln site in Jeongheung-ri, where the Buncheong ware paid to the government was, is thought to be Jagiso Eunchon, Goheung-hyeon. Jagiso and Dogiso are located in the four directions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gency. Naturally, the location of Jagiso and Dogiso is also determined on where the administrative agency of Hyeon is. Since the Goheung-hyeon's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moved to Ucheon-ri, joseong-myeon, Boseong-myeon, it is necessary to naturally find Jagiso and Dogiso in Boseong. In addition, regarding the nature of the kiln site in Undae-ri, the aspects of the excavated relics were considered.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the Undae-ri kiln site functioned as a jagiso in Heungyang-hyeon from February 1441 to the 1470s. If so, the "Ye" Buncheong ware, which was collected around Undae-ri kiln No. 7, could be naturally understood.

A study on the white porcelain in Sangju focus on the literature data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한 상주백자 연구)

  • Kim, Jong-Ta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5 s.67
    • /
    • pp.17-30
    • /
    • 2006
  • The early Joseon Dynasty is very important period of studying about Korean history of ceramics because various kinds of porcelain were produced like celadon, brown porcelain, white porcelain, inlaid white porcelain, blue porcelain etc, $\ulcorner$sejongsilrok$\lrcorner$ $\ulcorner$Jiriji$\lrcorner$ was published and Saongwon established its branch. Moreover, there also had a sudden political change to Joseon Dynasty, so ceramic industry in Gangjin was closed and artisans in Gangjin scattered to find safer place. One of these place was Imiwueri and Chuhyunri, Joongmohyun in Sangju.(the name of the place in that times, now Modongmyun) Also, Sangju in Gyeongsangbuk-Do is one of the places where can get materials for producing white porcelain, so artisans in Gangjin could migrate to the place during change of regime to Joseon Dynasty which based on Sung Confucianism. In $\ulcorner$Tejongsilrok$\lrcorner$, it mentioned specific areas like Joongmo, Hwaryeong in Sangju, Gyeongsang-Do and we can find out about situations of ceramic production in the early 15 centuries with producing dishes for a Royal family. $\ulcorner$Sejongsilrok$\lrcorner$ $\ulcorner$Jiriji$\lrcorner$ mentioned Imiwueri and Chuhyunri and Sangju produced the half of porcelains. In $\ulcorner$Gyeongsangdojiriji$\lrcorner$, Sangju takes charge of 8 spots which is one third of ceramic production. $\ulcorner$Gyeongsangdojiriji$\lrcorner$ and $\ulcorner$Sejongsilrok$\lrcorner$ $\ulcorner$Jiriji$\lrcorner$ were published with same goals at the same year. In $\ulcorner$Gyeongsangdosokchanjiriji$\lrcorner$, there was deleted nine spots which included high, middle, low level compared with $\ulcorner$Seiongsilrok$\lrcorner$ $\ulcorner$Jiriji$\lrcorner$, and in $\ulcorner$Donggukyeojiseungram$\lrcorner$ there was entirely deleted the locations of porcelain spots and potteries.

  • PDF

A Study on the Locations of Jagiso and Dogiso in Najumok Recorded in the 'Sejongsylrok Jiliji'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 나주목(羅州牧)의 자기소(磁器所)·도기소(陶器所) 위치 연구)

  • Sung, Yun-gil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3
    • /
    • pp.4-37
    • /
    • 2019
  • Buncheong Ware, which was produced for approximately 200 years from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o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was used for royal house and state affair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Records of Buncheong Ware can be found with Jagiso and Dogiso, considered the place of production, in the 'Sejongsylrok jiliji'. This is notable, unlike celadon and white porcelain. However, compared to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he study of Jagiso and Dogiso in Jeollanam-do and Jeollabuk-do has been unsatisfactory.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locations of Jagiso and Dogiso in the Jeollanam-do prefecture. This study is focused on Najumok, located in the western part of Jeollanam-do.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locations of Jagiso and Dogiso in nine areas were examined. These nine areas comprised Najumok and its immediate provinces of Haejingun, Yeongamgun, Yeonggwanggun, Hampyeonghyeon, Muanhyeon, Gochanghyeon, Heungdeokhyeon and Jangseonghyeon. Previous research results exist for some of the regions; however, only Buncheong Ware was used to estimate Jagiso and Dogiso. In this paper, we tried to discover a more accurate position of Jagiso and Dogiso through a comparison of the place names recorded in the 'Sejongsylrok jiliji' and the place names recorded in the 'Hoguchoungsu'. Also, pottery-related area names and Buncheong Ware obtained from the field survey were reviewed. Table 2 shows the specific positions of Jagiso and Dogiso in the areas examined. Second, it would appear that pottery was produced not only in Jagiso but also in Dogiso. This is because much of Buncheong Ware was unearthed in Najumok, Yeongamgun, and Muanhyeon Dogiso. However, it was only excavated from the Buncheong Kiln Site in Yucheon Village, Sangweol-ri, Yeongam-gun; there could be limitations regarding to the rest of the areas because only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not an excavation. A recent excavation at Donggok Village in Cheongdo-ri, Gimje also confirmed a Buncheong Kiln Site. There were two Buncheong Ware ('公', '上')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ite, believed to be Gongnapjagi. In addition, Cheongdo-ri, where the Buncheong Kiln Site is located, was found to be an area in Wurimgokmyeon, a former Wurimgok at a Dogiso in Jeonjubu. Consequently, it would seem that Dogiso also produced porcelain (Buncheong Ware). If more data can be obtained from the excavations at sites considered to be Dogiso, the results of Dogiso-related research will be strengthened. Third, in previous surveys, field surveys and excavation surveys were based on estimates using artifacts, but the name of the location of the Jagiso and Dogiso may be confirmed more accurately by tracking the changes in the names of the administrative areas. Therefore, although it is important to conduct research using the results of surveys or excavations, changes in the place names or places related to porcelain must not be overlooked.

Urban Drainage Simplification Using Meta-channel Concept (등가하천 개념을 이용한 관망 간략화 기법에 대한 연구)

  • Kim, Hwan-Seok;Pak, Gi-Jung;Yoon,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94-119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도시배수관망의 간략화 모의 시 지선을 단순 생략하는 것이 아니라 2차원 관망을 1차원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인 등가하천 개념을 도입하여 도시유역의 유출량 산정에 있어서 여러 지선들을 개별적으로 모의하지 않으면서도 실제 존재하는 지선들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자연하천에 대해 개발된 등가하천 개념은 최근의 수문모형의 경향인 물리적 분포형 모형의 복잡성을 피하면서 전통적인 개념적 집중형 모형이 가지는 간편성을 살리고 그 것이 가지고 있는 선형가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제안된 방법이다. 등가하천 개념을 도입하여 개발된 모형은 종국적으로 강우-유출관계에 있어서 강우의 크기, 선형 및 비선형성, 유역면적 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위한 도구로 개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출구로부터 동일 거리 s에 위치한 지점에서의 배수관망의 공간적인 분포 및 집중패턴을 파악하는 폭함수(width function, n(s))와 면적함수(area function, M(s))를 이용하여 관망을 간략화 하였다. 등가관의 수리기하조건 결정은 유역이 정상상태에 도달했을 경우에 대해서 이루어지게 되며 정상상태 모의를 통해 개별 관망단면들에 대해 얻어진 유량(Q), 면적(A), 수심(y) 자료간의 상관관계를 유추하여 Q(A), A(y) 함수를 유도하게 되면 종국적으로 관로홍수추적에 이용되는 지배방정식의 매개변수인 파속계수(c) 및 확산계수(D)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유역으로 군자 배수구역을 선정하여 유역의 특성과 관망 자료를 수집하고 간략화 기법을 적용한 결과를 분석 하였다.다. 21세기 문화산업에서 우리가 판단하게 될 디자인의 가치는 계몽의 원리에 대한 '역사성'과 '현재성'의 변증법에 달려있는 것이며, 새로운 철학, 새로운 문명,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는 것이다.r$ (地理志)에는 추현리와 이미 외리를 언급하면서 상주의 자기제작의 위상을 짐작하는 기록이 언급되면서 전국의 상품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상주가 8곳으로 1/3의 자기 생산을 담당하고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 PDF

Turbid Water Simulation Model for Downstream of the Imha and Andong Dam (임하 및 안동댐 하류하천 탁도모의 시스템 구축)

  • Noh, Joon-Woo;Kim, Jeong-Kon;Lee, Sang-Uk;Park,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15-1119
    • /
    • 2007
  • 우리나라는 몬순기후대에 속하여 매년 홍수가 발생하고 이시기에 저수지로 유입된 탁수로 말미암아 저수지 인근 및 하류하천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역, 저수지, 및 하천을 포함한 포괄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유역과 저수지 그리고 저수지와 하천을 연계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탁수의 거동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 및 임하댐의 연계운영을 통한 하류하천 탁도관리 방안을 수립하고자 동적수질모형인 Koriv1-win 모형을 구축하여 저수지 수질모의 시스템과 연계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형은 안동댐하류로부터 구미수위표 지점까지 134 km에 달하는 구간에 대하여 구축하였으며 대상구간 내에는 내성천을 비롯 5개의 주요지천이 존재하게 된다. 그림 1에는 수리모듈 및 수질모듈의 검증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탁도모의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임하댐 관리단에서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리해석결과 구미지점의 유량변동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모의되었고 수질해석결과도 관측치와 상당히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안동댐방류수와 임하댐 방류수가 혼합되는 영역에서 2차원적 흐름양상과 각 댐으로부터 방류되는 방류수의 수온과 탁도의 혼합양상을 모의하였으며 실측을 통하여 모의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저수지 하류하천에 대하여 1차원 및 2차원적 수리해석과 수질해석결과를 통하여 하천에서의 탁수전파 거리 및 고탁도 탁수의 도달 시간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수지 연계운영을 통한 하류단 탁도저감에 대한 계획수립이 가능하다.을 것으로 판단된다. 철거 선정 체계는 보 철거를 위해서 보 주변 지역 거주민을 설득하며, 하천의 환경 개선을 위한 합리적인 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선정 체계를 바탕으로 주민 협의 및 대안 제시를 통해 결정된 대상 보는 선정 체계 안에서 보 철거 영향 판단 절차에 따라서 보 철거로 인한 수문, 수리, 지형, 수질, 생태 영향을 판단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사회 경제적인 영향을 평가하게 된다. 평가결과에 따라서 보를 완전히 철거하거나 다른 대안을 고려하여 보를 부분적으로 철거하거나 개량하게 된다.곳으로 1/3의 자기 생산을 담당하고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Turbidity near the Confluence of Banbyeoncheon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LMS 모형을 이용한 반변천 합류부 탁도 예측에 관한 연구)

  • Lim, Ji-Hyun;Lee, Nam-Joo;Lyu, Si-Wan;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14-1218
    • /
    • 2007
  • 댐 하류로 탁수를 선택적으로 배제하기 위해서는 방류 탁수가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하천 탁도 예측 및 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낙동강과 반변천의 합류부에서의 이차원적인 혼합에 관한 수치해석 결과는 완전혼합을 가정하는 일차원 수질모델링의 초기 입력자료에 사용됨으로써 낙동강 본류 전체구간의 탁도 모의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에 위치한 반변천 합류부에 평면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탁도 변화 특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KU-RLMS 모형은 하천 및 저수지의 국부적인 수리, 수질, 유사이동 해석을 위해 개발된 평면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이다. 직사각형 격자를 사용하는 유한차분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심적분된 2차원 연속방정식, 운동량방정식, 이송확산방정식을 불규칙한 경계를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직교곡선 좌표계로 변환한 방정식을 사용한다. 이 모형은 흐름, 농도, 지형변화를 조합하여 계산할 수 있는 모형으로서 점착성 및 비점착성 유사의 이동을 모의할 수 있다. 수치모형 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안동 및 임하 조정지댐의 방류량, 안동 수위관측소의 수위, 법흥교 및 포진교 지점의 탁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송확산모형의 보정을 위해, 안동대교 지점의 탁도 횡분포 측정 자료를 사용하여 확산계수에 대한 매개변수 추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안동조정지댐과 임하조정지댐의 방류량 및 방류탁도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탁도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된 주변국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21세기 문화산업에서 우리가 판단하게 될 디자인의 가치는 계몽의 원리에 대한 '역사성'과 '현재성'의 변증법에 달려있는 것이며, 새로운 철학, 새로운 문명,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는 것이다.r$ (地理志)에는 추현리와 이미 외리를 언급하면서 상주의 자기제작의 위상을 짐작하는 기록이 언급되면서 전국의 상품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상주가 8곳으로 1/3의 자기 생산을 담당하고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

  • PDF

Biological Phosphorus Release and Uptake on Nitrate Loadings in Anoxic Condition of SBR process (SBR 공정의 무산소조건에서 질산염농도에 따른 생물학적 인의 방출 및 흡수 특성)

  • Lee, Hee-Ja;Kim, Kwang-Soo;Cho, Yang-Seok;Kim, I-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64-1168
    • /
    • 2007
  • 질소 및 인 동시제거 공정 중 대표적인 연속회분식반응조(Sequencing Batch reactor: SBR)는 비교적 간편한 운전방법과 저렴한 건설비, 유입수의 부하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소규모 하수처리에 적합한 공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SBR 공정은 기존 활성슬러지 공법에 비해 적은 부지로 많은 양의 폐수를 처리할 수 있고 유입수 수질 및 유량변동에 따라 다양한 운전주기를 변화할 수 있으며, 유기물 제거뿐만 아니라 반응조의 변형에 의해 영양염류의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nch scale SBR 실험을 통하여 질산염의 탈질속도 및 용해성 인의 흡수와 방출속도를 측정하고, SBR 공정의 무산소조건에서 인흡수 및 탈질을 동시에 수행하는 DPB 존재의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무산소조건에서 S-P의 방출과 흡수가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무산소조건에서 S-P의 방출속도는 $0.08{\sim}0.94\;kgS-P/kgMLSS{\cdot}d$, 흡수속도는 $0.012{\sim}0.1\;kgS-P/kgMLSS{\cdot}d$를 나타내었다. 무산소조에서 S-P의 방출 및 흡수가 진행되는 동안 탈질과정도 함께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F/M비에서 탈질속도를 측정한 결과 F/M비 $0.44\;kgCOD/kgMLSS{\cdot}d$에서는 최대 $0.16\;kgNO_3^-N/kgMLSS{\cdot}d$의 탈질속도를 나타내었다. S-P이 방출되지 않는 경우와 방출되는 경우의 비탈질속도를 비교한 결과 S-P이 방출되지 않는 경우의 비탈질속도가 S-P이 방출되는 경우의 비탈질속도보다 높았다. 이렇게 S-P이 방출되는 경우의 비탈질속도가 더 낮은 이유는 무산소 조건에서 탈질과 S-P의 방출 및 흡수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S-P의 방출에 관여하는 미생물과 탈질에 관여하는 미생물간의 경쟁반응 때문으로 판단된다.응답법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고, 이는 보다 복잡한 관망에서의 천이류 해석이 가능함을 시사한다.$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상주가 8곳으로 1/3의 자기 생산을 담당하고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상 백자를 조달받을 필요가 없이, 일반 지방관아와 서민들의 일상용기 생산으로 전락하여 소규모화 되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장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유효성분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더불어 산화물질 해독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

  • PDF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n Bars in Streams with Different Stream Bed Substrates (하상재료가 다른 하천의 하중도 환경에서 식생의 구조 및 동태)

  • Lee, Chang-Seok;Cho, Yong-Chan;Oh, Woo-Seok;Park, Sung-Ae;Seol, Eun-S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40-1144
    • /
    • 2007
  • 모래하천과 자갈하천의 하중도에 성립한 식생을 분석하여 하천복원과 복원된 하천의 사후 관리에서 요구되는 생태정보를 구축하였다. 모래하천의 하중도에는 버드나무군락, 물억새군락, 산조풀군락, 속속이풀군락, 큰개여뀌군락, 밭뚝외풀군락 등이 성립하였다. 이러한 식생자료를 서열법으로 처리한 결과, 식물의 배열은 천이경향을 반영하였고, 하중도의 미지형에 의해 결정된 지하수위 높이가 천이단계를 지배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래하천인 용수천의 하중도에서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 식생의 분포는 버드나무군락-물억새군락-산조풀군락-속속이풀군락의 순서를 보였다. 우점종의 생활형에 따라 이들을 구분하면, 이 순서는 목본 식물군락-다년생 식물군락-1년생 식물군락의 순서를 보였다. 이러한 식생의 배열로부터 하중도는 하류 방향으로 새로 생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갈하천의 하중도에는 발달단계가 다른 세 개의 소나무군락과 초지가 성립하였다. 소나무군락은 유령림, 성숙목과 유령목이 혼합된 복층림, 그리고 성숙림으로 이루어졌다. 초지는 쑥, 달뿌리풀, 환삼덩굴, 소나무 실생, 황철나무 등이 산재하는 밀도가 낮은 식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식생자료를 서열법으로 처리한 결과 여기에서도 식생의 배열은 천이경향을 반영하였다. 천이단계를 지배하는 요인은 홍수에 밀려온 자갈의 피복율로 나타났다.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 식생의 분포는 초지, 소나무 유령림, 소나무 복층림 및 소나무 성숙림의 순서를 보였다. 이러한 식생의 배열로부터 하중도는 상류방향으로 새로 성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변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보 철거 선정 체계는 보 철거를 위해서 보 주변 지역 거주민을 설득하며, 하천의 환경 개선을 위한 합리적인 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선정 체계를 바탕으로 주민 협의 및 대안 제시를 통해 결정된 대상 보는 선정 체계 안에서 보 철거 영향 판단 절차에 따라서 보 철거로 인한 수문, 수리, 지형, 수질, 생태 영향을 판단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사회 경제적인 영향을 평가하게 된다. 평가결과에 따라서 보를 완전히 철거하거나 다른 대안을 고려하여 보를 부분적으로 철거하거나 개량하게 된다.곳으로 1/3의 자기 생산을 담당하고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Bed Changes on Hahoi Region in the Nakdong River by Using the HEC-6 Model (HEC-6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회지구 하상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65-1669
    • /
    • 2007
  • 경상북도 지역에서 낙동강에 위치한 안동의 하회마을, 내성천에 위치한 예천의 회룡포와 영주의 무섬마을 등은 마을 앞에 위치한 깨끗한 백사장으로 널리 알려진 관광명소이다. 하회마을의 점사주의 경우 낙동강 상류에 안동 및 임하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수량이 조절됨에 따라 토사수리학적 특성이 상당히 변화되었으며, 식생이 발생하는 등 옛 모습을 상실해 가고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 구간인 안동조정지댐 직하류부터 하회마을 직하류에 위치한 광덕교 지점까지의 하도구간에 일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HEC6 모형을 적용하여 하회마을 앞의 점사주에 영향을 미치는 토사수리학적 특성 변화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치모형 적용구간의 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해 적절한 일차원 준정상 상태 하상변동모형으로 HEC-6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모형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하상토 특성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지형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다목적댐 건설 이후 하회구간의 하천 지형 변화의 특징으로 저수로 쪽의 하상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모형의 적용영역 내에 위치한 각 수위표 지점의 수리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HEC-6 모형의 보정은 고정상 및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결과를 사용하여, 고정상 보정과 이동상 보정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이동상 보정 결과 Ackers and White 공식이 다른 공식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하천망 유사이동 수치모형인 HEC-6 모형을 사용하여 장기 하상변동을 예측하였으며, 댐 건설이 하류 하천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ppm)인 시료에 적합한 여과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사 입경분포 분석방법으로는 BW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국내 외적으로 하천 유사량 산정과 관련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충적하천에 기초하여 개발되어진 유사량 공식들을 우리나라 하천에 무분별하게 적용하는 것은 위험스러우며, 유사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이 유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한 유사량 값을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여우리나라 하천에 맞는 유사특성을 알아보고, 기타 총유사량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실측한 유사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