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대간 차이

Search Result 33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차세대 목록 교육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uture of Cataloging Education)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7-145
    • /
    • 2010
  • 아웃소싱, 출판계 데이타의 반입, 카피카탈로깅의 활성화는 목록 작성 업무의 비중을 감소시키고 있으며, 다른 커뮤니티와의 상호 운용성 강조, 시스템간의 비즈니스적 통합 요구는 총체적으로 전통적 도서관 목록 작성 업무의 중요성과 의의를 변화시키고 있다. 한편, 새롭게 천명된 원칙과 규칙은 AACR과 MARC을 근간으로 하는 기존 목록 체계와 큰 차이를 예고하고 있어, 차세대 목록 교육의 방향에 대한 고민이 시급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목록 작성 업무에 대한 예측, 사서의 새로운 역할과 역량에 대한 제 논의를 종합하여 목록 사서 양성 과정과 현업 사서 재교육 과정에서 필요로 한 차세대 목록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록 사서 양성 과정에서는 다양한 자원의 기술과 발견을 위한 정보 조직의 기본 개념을 학습하며, 정보서비스의 미션을 파악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한편, 현업 사서 재교육 과정에서는 서지적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과 변경된 어휘, 인코딩 방식을 학습하며, 도서관이 수용하게 된 다양한 자원에 적합한 메타데이타 스키마의 선택, 그리고 자원의 통합을 위한 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일·생활 균형과 구성원간 갈등관계 : 직장 내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효과 중심으로 (Work & Life Balance and Conflict among Employees : Work-life Balance Effect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 이양표;최창범
    • 벤처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183-200
    • /
    • 2024
  • 최근 MZ세대의 사회진출과 여성인구의 사회참여로 WLB을 중시하는 직장내 그룹은 협업을 중시하던 기존 그룹과 업무지향점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공공기관 및 기업은 업무성격과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의 활성화에 따라서 직무몰입에 차이를 보인다. 이에 따라, 회사에서 실질적으로 운영중인 WLB 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보편타당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생활 균형 수준 향상을 위한 제도는 남녀 노동자의 일·가정 양립 여건을 제고하고 MZ세대의 직장에 대한 이상적 가치관과 부합하며, 융통성 있는 경력 설계를 가능하게 해 여성의 노동시장 탈락을 예방하고,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 또한, MZ세대의 사회진출과 여성인구(Working Mom)의 사회참여로 WLB을 중시하는 직장내 그룹은 협업을 중시하는 기존 직장 그룹과 업무지향점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회사 및 조직은 유연근무제도 등 일·생활 균형과 업무성격에 따라서 직무몰입에 차이를 보인다. 이에 공공기관 및 중견·대기업에서 실제 운영 중인 WLB를 위한 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보편타당한 WLB 지원제도의 합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근로환경에 대한 정책과 인식이 변화하는 가운데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실무적 합의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둘째, 일·생활 균형 수준 및 업무성격에 따른 직무몰입 영향을 분석하여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운영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상호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일·생활 균형 수준과 업무 성격이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2x2 매트릭스 모형으로 구성하여 상호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4가지 갈등형, 주도형, 동조형, 협동형 그룹으로 분류하여 상호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첫째 일·생활 균형 수준이 높고, 협업 지향적인 갈등형 그룹은 직무몰입의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입장의 협업을 강조하는 업무 형태에서는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를 도입하는데 제한된 입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생활 균형 수준이 높고, 개인 지향적인 주도형 그룹은 직무몰입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MZ세대의 사회진출 및 여성인구의 고용률 증가를 반영하여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업무처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활성화하여 WLB 수준과 부합할 때 직무몰입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하며,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의 적절한 활용이 가능함이 검증 되었다.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일·생활 균형 수준과 업무 성격을 요인으로 구성원의 성격을 세분화한 것이며, 실무적 시사점은 공공기관 및 대기업에서 운영중인 WLB 지원 제도를 그룹화하여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다양한 조직이나 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폭넓게 설정하고,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와 업무성격을 세분화 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한국내 솜양지꽃의 집단 유전 구조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Potentilla discolor Bunge, Rosaceae in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98-903
    • /
    • 2006
  • 한국내 분포하는 장미과의 솜양지꽃(Potentilla discolor Bunge) 15집단에 대한 19 알로자임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한 좌위에 대해 약 73.7%가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종과 집단 수준에서 유전적 다양도는 각각 0.215, 0.196이었으며, 집단간 분화정도는 낮았다$(G_{ST}\;=\;0.069)$. 전체 유전적 다양성은 0${\sim}$0.656이며 평균 0.292였다. 유전적 다양도 중 집단내 변이는 높았다$(H_{S}\;=\;0.274)$. 전체 유전적 변이에서 집단간 차이는 Pgm-2에서 0.010, Pgd-2에서 0.261로 평균 0.069였다. 이는 전체 알로자임 변이 중 약 6.9%가 집단간에 있음을 의미한다. 솜양지꽃의 특성으로 광범위한 분포, 다년생 초본, 여러 세대의 존재 등이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조사한 솜양지꽃 집단에서 세대당 이주하는 개체수는 3.36으로 평가되었다.

경영자 감성리더십이 팀원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MZ 세대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Research of the Moderating Effect on Team Members' Self-leadership of the Executive Officer's Emotional Leadership: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MZ Generation and the Others)

  • 조찬희;이형용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4호
    • /
    • pp.261-282
    • /
    • 2021
  • 워라밸(Work Life Balance)을 중시하는 MZ세대가 조직 구성원이 되면서 목표 달성과 회사 이익 중심의 리더 지향 리더십은 중장기적으로 조직에서 좋은 성과를 내기 힘들어졌다. 회사는 조직 구성원들이 스스로 움직이는 셀프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제고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강화해야 한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팀장, 팀원, 경영자의 리더십을 한꺼번에 연구한 논문이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팀장의 서번트리더십이 팀원의 셀프리더십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이 팀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상호작용을 하여 팀원의 셀프리더십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MZ세대와 비 MZ세대간의 경로계수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PLS(Partial Least Square)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온라인으로 직장인 중 357명의 팀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팀장의 서번트리더십은 조직효과성과 팀원의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팀원의 셀프리더십은 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고 팀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팀장의 서번트리더십과 팀원의 셀프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이 정(+)의 조절 효과가 있었다. MZ세대는 팀장의 서번트리더십이 팀원의 셀프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경로와 팀원의 셀프리더십이 팀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조직효과성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경로에서 비 MZ세대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회사 내 경영자, 팀장, 팀원이 각자의 위치에서 조직효과성을 높이는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미국의 사회보장연금 개혁논쟁에 관한 고찰 (Examining the Debate of Social Security Pension Reform in the United States by 1996)

  • 원석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5-28
    • /
    • 2002
  • 본고는 1990년대 중반부터 벌어진 미국의 사회보장연금 개혁논쟁의 내용과 쟁점 그리고 그 성격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의 사회보장연금이 적립방식으로 시작했다가 부과방식으로 전환한 과정, 논쟁의 기본 안이 된 사회방청 자문위원회의 세 가지 안, 이 세 안을 다소 변형시킨 정치계와 기업계 및 학계의 각종 제안들을 분석했으며, 각 안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들을 추출하여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최대 쟁점은 개인계정의 신설 여부와 펀드의 관리운영 주체를 정부로 할 것인가 아니면 민간투자회사로 할 것인가의 여부 및 사회보장연금의 세대간 소득계층간 재분배 효과에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동시에 핵심 쟁점을 둘러싼 입장의 차이도 밝혔다. 민영화를 주장하는 입장(IA 및 PSA 지지자)에서는 사회보장연금의 세대내 소득계층간 재분배 기능보다는 개인적 형평성과 저축제고 효과 그리고 민간의 관리운영과 민간 자본시장에의 투자를 선호했고, 부과방식 옹호자들(MB 지지자)은 사회보장연금의 세대간 소득계층간 재분배의 기능의 여전히 유효하고, 부과방식 연금의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약간의 개혁(사회보장 세율의 인상과 급여 수준의 하향조정)으로 재정불건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시판되는 한국전통 다과류의 인지도 및 기초도의 세대간 차이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in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Desserts)

  • 홍금선;백수진;김향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1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 in awareness and preference of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dessert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316 middle school students and 299 parents of the other students in the same schools in Chongju area. Five middle schools in Chongju were included and followings are the results : In the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the awareness of Soojungkwa and Yulmoo-tea and adults showed higher awareness than students for the other beverages.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existed in the acceptance for most of beverages. Students showed higher acceptance than adults for Sikhyae, Yooja-tea and Yulmoo-tea, whereas adults showed higher acceptance than students for the othe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the awareness of Yakkwa and Gangjung, whereas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appeared in the awareness of Sanja and Dasik. Students showed higher acceptance than the adults for the Korean traditional cookies.

  • PDF

시판되는 한국전통음식의 이용현황 및 선호도의 세대간 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Utilization and Preference for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 홍금선;백수진;김향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63-37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utilization and preference of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Results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 tried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more frequently than adult. While students tried soup, broth and one-bowl dish most frequently and favored grilled and pan fried foods, adults tried most frequently and liked best Kimchi, salt-fermented fish and beverages. The reason why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favored was the taste by student and time-saving by adult. As for the reasons why they disliked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both groups answered that they were not beneficial for health.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students required then to be improved into better taste and adults into better sanitariness.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wo generations in utilization and preference for som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surveyed.

  • PDF

편지글 읽기에 나타난 한국어 모음 /오/-/우/의 세대간 차이 (Cross-Generational Differences of /o/ and /u/ in Informal Text Reading)

  • 한정임;강현숙;김주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201-207
    • /
    • 2013
  •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Han and Kang (2013) and Kang and Han (2013) which examined cross-generational changes in the Korean vowels /o/ and /u/ using acoustic analyses of the vowel formants of these two vowels, their Euclidean distances and the overlap fraction values generated in SOAM 2D (Wassink, 2006). Their results showed an on-going approximation of /o/ and /u/, more evident in female speakers and non-initial vowels. However, these studies employed non-words in a frame sentence. To see the extent to which these two vowels are merged in real words in spontaneous speech, we conducted an acoustic analysis of the formants of /o/ and /u/ produced by two age groups of female speakers while reading a letter sampl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1) the younger speakers employed mostly F2 but not F1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of /o/ and /u/; 2) the Euclidean distance of these two vowels was shorter in non-initial than initial positio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uclidean distance between the two age groups (20's vs. 40-50's); 3) overall, /o/ and /u/ were more overlapped in non-initial than initial position, but in non-initial position, younger speakers showed more congested distribution of the vowels than in older speakers.

출산 풍속에서 모-조모의 세대간 차이 연구 (Generational Differences in Korean Baby-Delivery Culture between Young Mother and Grandmother Generations)

  • 유안진;민하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99-11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raditional baby-delivery practices between young mother and grandmother generations. The subjects were 118 young mothers and 118 their own mothers or mothers-in-law in Tae Gu district. Young mothers had the first baby aged from 2-to 2.5-year-old. The subject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on Korean traditional baby-delivery practic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Crosstabs,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re grandmothers believed in supernatural being who influenced pregnancy and used to be called as 'grandma Sam Shin', expected to have son, and had charms then young mothers. But less grandmothers had sexual intercourse at the time of ovulation, took physical care, and practiced fetal education than young mothers 2. On the other hand, no generation differences were found in dreaming of foretelling conception(Te Mong), eating a restroative and food to get pregnancy, and washing own's hair or body and avoiding attending a funeral near the time of baby-delivery. 3. Most of young mothers gave birth in hospital with the doctor's heap, whereas most of grandmothers did at their home with the help of the experienced old women. Most of young mothers'husbands were at the waiting room in the hospital, but about half of grandmothers'husbands were at work when their wives grove birth.

  • PDF

방사선 조사미(照射米)의 안전성(安全性) 연구 -제2보 시험동물의 증체량(增體量), 번식률(繁殖率), 사망율(死亡率) 및 이유시(離乳時) 생육상태(生育狀態)- (Studies on the Wholesomeness of Gamma-irradiated Rice -(II) On the Weight Gain, Reproduction Ratio, Mortality and Growth Rate after Weaning of Mice-)

  • 김성기;이관영;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49-152
    • /
    • 1973
  • 방사선 조사미(照射米)의 안전성연구(安全性硏究)에 관한 제3차년도 실험으로서 전년도에 사용한 마우스의 $F_1$세대에서 번식시킨 $F_2$세대에 대하여 50 및 100 Krad의 감마선을 조사(照射)한 미곡(米穀)으로 생육조사(生育調査)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감마선 조사실험구(照射實驗區)와 비조사실험구(非照射實驗區)간에 있어서 마우스의 증체량(增體量), 번식율(繁殖率), 사망률(死亡率) 및 이유시(離乳時) 생육상태(生育狀態)에 있어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아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