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f the Moderating Effect on Team Members' Self-leadership of the Executive Officer's Emotional Leadership: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MZ Generation and the Others

경영자 감성리더십이 팀원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MZ 세대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12.02
  • Accepted : 2021.12.24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As the MZ generation, who values work-life balance, became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leader-oriented leadership centered on goal achievement and company profit made it difficult to achieve good results in the organization in the mid-to long-term. The company must strengthen the leadership that can be helpful for the self-leadership where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move on their own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nhances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team leader's servant leadership on the team member's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it was studied whether the executive officer's emotional leadership interacted with the team leader's servant leadership and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team member's self-leadership. Also, the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non-MZ generation was verified. To this end, the research model was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the PLS (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A survey was collected from 357 team members among office workers onlin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am leader's servant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eam member's self-leadership.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m leader's servant leadership and the team member's self-leadership,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executive officer had a positive (+) moderating effect. The MZ generation differed from the non-MZ generation in the path where the team leader's servant leadership positively affected the self-leadership of the team member and the path where the team leader's self-leadership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eam leader's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uggest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so that executive officers,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within the company can develop leadership that increas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ir respective positions.

워라밸(Work Life Balance)을 중시하는 MZ세대가 조직 구성원이 되면서 목표 달성과 회사 이익 중심의 리더 지향 리더십은 중장기적으로 조직에서 좋은 성과를 내기 힘들어졌다. 회사는 조직 구성원들이 스스로 움직이는 셀프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제고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강화해야 한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팀장, 팀원, 경영자의 리더십을 한꺼번에 연구한 논문이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팀장의 서번트리더십이 팀원의 셀프리더십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이 팀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상호작용을 하여 팀원의 셀프리더십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MZ세대와 비 MZ세대간의 경로계수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PLS(Partial Least Square)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온라인으로 직장인 중 357명의 팀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팀장의 서번트리더십은 조직효과성과 팀원의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팀원의 셀프리더십은 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고 팀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팀장의 서번트리더십과 팀원의 셀프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이 정(+)의 조절 효과가 있었다. MZ세대는 팀장의 서번트리더십이 팀원의 셀프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경로와 팀원의 셀프리더십이 팀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조직효과성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경로에서 비 MZ세대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회사 내 경영자, 팀장, 팀원이 각자의 위치에서 조직효과성을 높이는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한성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과제임.

References

  1. 강경석, 박용진 (2008).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敎育行政學硏究, 26(3), 181-209.
  2. 강희락 (2010). 조직구성원이 인지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3. 고영미, 유영의, 김은영, 장은정 (2018).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6), 309-327.
  4. 고태경, 임현지, 왕정하, 최다은, 이철승 (2021). 세대 문화와 기업 문화: 기업 내 세대 간 문화적 차이에 따른 일 만족도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9(2), 39-96.
  5. 곽기영 (2019). R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델링: 분석절차 및 방법. 지식경영연구, 20(1), 1-26. https://doi.org/10.15813/kmr.2019.20.1.001
  6. 구자숙, 김명언, 한준 (2000). 기업조직에서의 세대격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3), 1-19.
  7. 구자원 (2017). 학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조직 내 의사소통이 초등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연구, 8(2), 55-78.
  8. 권상집 (2016). 서번트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지식공유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지식경영연구, 17(1), 91-111.
  9. 권상집 (2018). 리더의 서번트리더십과 구성원의 팔로워십,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기업경영연구, 25(3), 71-90.
  10. 김민정 (2007).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1. 김민정, 조광민 (2011). 태권도 지도자의 서번트리더십(Servant Leadership)이 선수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 215-226.
  12. 김성주 (2017). 어린이집 교사의 셀프리더십 향상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13. 김성회 (2020). 센 세대, 낀 세대, 신세대, 3세대 전쟁과 평화. 쌤앤파커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aver?bid=16268308
  14. 김용일 (2008).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15. 김은정 (2009). 조직문화와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16. 김중인, 최용주 (2013). 패밀리레스토랑의 잠재고객 집단에서 신규고객유치를 위한 서비스품질의 각 차원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PLS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한 성별의 조절효과. 마케팅관리연구, 18(1), 115-141.
  17. 김지현 (2017). 중학교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8. 김지현, 이정언 (2019). 진정성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리더십연구, 11(1), 195-220.
  19. 김창호, 차동옥 (2008). 인지된 조직의 팀지원과 서번트리더십이 팀에피커시와 팀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2(3), 129-149.
  20. 박경임 (2020).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1. 박동현 (2014).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2. 박민영, 장영철 (2016). 감성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교육과인재연구, 18(2), 63-88.
  23. 박용진 (2009).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간의 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4. 박윤주, 이준호, 최유화 (2021). 동반성장과 호혜를 고려한 ESG 투자동향 및 시사점.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1), 37-41.
  25. 서동엽 (2016). 경영자의 법적 책임에 관한 융합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용인.
  26. 성재환, 문재승, 김수영 (2019). CEO의 감성리더십, CEO 신뢰, 직무열의, 그리고 CEO정당성 간의 관계. 기업경영리뷰, 10(1), 153-175.
  27. 신철우, 남선희 (2006). 리더십 행동특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8(1), 57-81.
  28. 윤병선, 김천규 (2020). 리더십 및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조직몰입 매개효과. 취업진로 연구, 10(4), 1-25.
  29. 윤선영, 백정미 (2017). 중간관리자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현대사회와 행정, 27(3), 29-50.
  30. 윤소희, 유미라, 김지선, 김도기 (2019). A초등학교 N세대 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6(3), 315-341.
  31. 윤정, 조영하 (2021). 경기도 Z 세대 초등교사들의 교직에 관한 인식 연구: 기성세대 교사와의 관계적 경험에 근거하여. 교육행정학연구, 39(4), 183-212.
  32. 이나겸, 임수영 (2021). ESG행정을 위한 야간경관 수요에 대한 조사 연구-MZ세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21(4), 91-97.
  33. 이선규, 강은구, 구성득 (2017).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5(11), 209-220. https://doi.org/10.14400/JDC.2017.15.11.209
  34. 이수진, 변국도, Ye Dai (2017). 윤리적 리더십의 적하효과(trickle-down effect). 大韓經營學會誌, 30(4), 689-710.
  35. 이승호, 곽기영 (2018). SNS몰입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9(2), 21-45. https://doi.org/10.15813/kmr.2018.19.2.002
  36. 이윤식, 고병면 (2017). 교장.교감 변혁적 리더십이 학년부장교사 리더십과 교사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敎育行政學硏究, 35(1), 35-59.
  37. 이혜진, 이창원 (2011). 사회복지관장의 리더십 유형이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복지관장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韓國政策學會報, 20(1), 213-243.
  38. 이화영, 홍아름 (2017).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경영학회지, 14(5), 153-182.
  39. 장은영, 이광희, 박동진 (2013). 변혁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0(5), 115-132.
  40. 정미화, 고명숙 (2012). 프리셉터의 셀프리더십이 역할인식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8(2), 146-154.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2.146
  41. 정해식, 김수완, 안상훈 (2014). 다차원적 불평등의 세대간 특성. 노인복지연구, 63, 337-369.
  42. 정혜영, 김윤희 (2018).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9), 1087-1108.
  43. 정회상, 김희규 (2019).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 셀프리더십, 학교조직효과 성과의 구조적 관계.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3(4), 35-51.
  44. 조경아, 문숙자 (2019).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1197-1212.
  45. 조찬희, 김교헌, 이형용 (2021). 부모수준과 가족관계가 부모효능감과 양육불안감을 매개로 초등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식경영연구, 22(2), 167-187. https://doi.org/10.15813/KMR.2021.22.2.009
  46. 최영준, 최은수 (2019). 상사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과 공무원의 서번트리더십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연구. 교육문화연구, 25(1), 661-679.
  47. 최은석 (2021). 선진 병영문화 환경변화에 따른 군 정신교육: 신세대(MZ세대) 특징을 중심으로. 統一問題硏究, 33(1), 29-63.
  48. 하우한 (2020). 임원의 급여가 CSR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49. 한소라, 조혜진 (2017).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9), 263-283.
  50. 함규정, 윤위석 (2008). 리더의 감성지능이 팀내 정서적 갈등, 응집성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5(4), 265-284.
  51. 허병준, 이형용 (2021a). 직무태도를 매개로 한 공정성인식에 따른 반응 행동. 지식경영연구, 22(2), 269-288. https://doi.org/10.15813/KMR.2021.22.2.014
  52. 허병준, 이형용 (2021b). 조직정치지각에 따른 반응 행동: 냉소주의의 매개효과와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2(3), 107-127. https://doi.org/10.15813/KMR.2021.22.3.007
  53. 황미정, 이희수 (2020). 공유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大韓經營學會誌, 33(12), 2257-2286.
  54. Alkahtani, A. H. (2016). The influence of leadership styl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usiness and Management Studies, 2(1), 23-34. https://doi.org/10.11114/bms.v2i1.1091
  55.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56. Alves, J. C., Lovelace, K. J., Manz, C. C., Matsypura, D., Toyasaki, F., & Ke, K. G. (2006). A cross-cultural perspective of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338-359. https://doi.org/10.1108/02683940610663123
  57. Angle, H. L., & Perry, J. L. (1981). An empirical assess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6(1), 1-14. https://doi.org/10.2307/2392596
  58. Armstrong, M. (2006). A handbook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Kogan Page Publishers.
  59. Aziri, B. (2011). Job satisfaction: A literature review. Management Research & Practice, 3(4), 77-86.
  60.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61. Chin, W. W., Marcolin, B., & Newsted, P. (2003). A partial least squares latent variable modeling approach for measuring interaction effects: Results from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and an electronic-mail emotion/adoption 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4(2), 189-217. https://doi.org/10.1287/isre.14.2.189.16018
  62. Dennis, R. S., & Bocarnea, M. (2005). Development of the servant leadership assessment instrument.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6(8), 600-615. https://doi.org/10.1108/01437730510633692
  63. Ehrhart, M. G. (2004). Leadership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as antecedents of unit-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sonnel Psychology, 57(1), 61-94.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4.tb02484.x
  64. Farahani, M., Taghadosi, M., & Behboudi, M. (2011).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Case study in Iran. International Business Research, 4(4), 211-217.
  65.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66. Gardner, L., & Stough, C. (2002).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senior level managers.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3(2), 68-78. https://doi.org/10.1108/01437730210419198
  67. Georgopoulos, B. S., & Tannenbaum, A. S. (1957). A stud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2(5), 534-540. https://doi.org/10.2307/2089477
  68. Goleman, D. (1998). Working with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69. Graham, J. W. (1991). Servant-leadership in organizations: Inspirational and moral. The Leadership Quarterly, 2(2), 105-119. https://doi.org/10.1016/1048-9843(91)90025-W
  70. Hair Jr, J. F., Sarstedt, M., Hopkins, L., & Kuppelwieser, V. G. (2014).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An emerging tool in business research. European Business Review, 26(2), 106-121. doi:10.1108/EBR-10-2013-0128
  71. Hartnell, C. A., Ou, A. Y., & Kinicki, A. (2011).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s theoretical supposi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6(4), 677-694. https://doi.org/10.1037/a0021987
  72. Houghton, J. D., & Yoho, S. K. (2005). Toward a contingency model of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hen should self-leadership be encouraged?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11(4), 65-83. https://doi.org/10.1177/107179190501100406
  73. Hrebiniak, L. G., & Alutto, J. A. (1972). Personal and role-related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7(4), 555-573. https://doi.org/10.2307/2393833
  74. Humphrey, R. H. (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5), 493-50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140-6
  75. Keil, M., Tan, B. C., Wei, K. K., Saarinen, T., Tuunainen, V., & Wassenaar, A. (2000). A cross-cultural study on escalation of commitment behavior in software projects. MIS Quarterly, 24(2), 299-325. https://doi.org/10.2307/3250940
  76. Liden, R. C., Wayne, S. J., Zhao, H., & Henderson, D. (2008). Servant leadership: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and multi-level assessment. The Leadership Quarterly, 19(2), 161-177. https://doi.org/10.1016/j.leaqua.2008.01.006
  77. Manz, C. C.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https://doi.org/10.5465/AMR.1986.4306232
  78. Manz, C. C., & Sims, H. P. (1987). Leading workers to lead themselves: The external leadership of self-managing work tea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2(1), 106-129. https://doi.org/10.2307/2392745
  79. Manzoor, Q. A. (2012). Impact of employees motiva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siness Management and Strategy, 3(1), 1-12.
  80.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397-422.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397
  81. Meisler, G., Vigoda-Gadot, E., & Drory, A. (2013). Leadership beyond rationality: Emotional leadership in times of organizational crisis. In Handbook of research on crisis leadership in organizations. Edward Elgar Publishing.
  82. Neck, C. P., & Houghton, J. D. (2006).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Past developments,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270-295. https://doi.org/10.1108/02683940610663097
  83. Page, D., & Wong, T. P. (2000). A conceptual framework for measuring servant leadership. In S. Adjibolosoo (Ed.), The human factor in shaping the course of history and development. University Press of America.
  84. Palmer, B., Walls, M., Burgess, Z., & Stough, C. (2001). Emotional intelligence and effective leadership.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2(1), 5-10. https://doi.org/10.1108/01437730110380174
  85. Porter, L. W., Steers, R. M., Mowday, R. T., & Boulian, P. V.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5), 603-609. https://doi.org/10.1037/h0037335
  86. Statt, D. A. (2004). The Routledge dictionary of business management. Routledge.
  87. Sundaray, B. K. (2011). Employee engagement: a drive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uropean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3(8), 53-59.
  88. Sunindijo, R. Y., Hadikusumo, B. H., & Ogunlana, S. (2007).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styles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23(4), 166-170. https://doi.org/10.1061/(ASCE)0742-597X(2007)23:4(166)
  89. Tietjen, M. A., & Myers, R. M. (1998).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Management Decision, 36(4), 226-231. https://doi.org/10.1108/00251749810211027
  90. Van Dierendonck, D. (2011). Servant leadership: A review and synthesis. Journal of Management, 37(4), 1228-1261. https://doi.org/10.1177/0149206310380462
  91. Yun, S., Cox, J., & Sims, H. P. (2006). The forgotten follower: A contingency model of leadership and followe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374-388. https://doi.org/10.1108/02683940610663141
  92. 허두영 (2017, 8월 22일). (주간단상)요즘 것들을 위한 특별한 리더십, 엄마 리더십(Mothership). 전기신문, http://www.electimes.com/article.asp?aid=150335773314741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