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 호르몬

Search Result 94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Juvenile Hormone Titers and Juvenile Hormone Esterase Activity during Larval Stage of the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 (밤나무 혹벌 유충의 유약호르몬 함량과 유약호르몬 에스테라제 활성)

  • 김유경;이충언;이경로;신병식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1 no.2
    • /
    • pp.144-152
    • /
    • 1992
  • The juvenile hormone(JH) titers and juvenile hormone esterase (JHE) activities were mea¬sured in larval homogenates of the chestnut gall waL,J, 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 parasiting a susceptible and two resistant chestnut ( Cheuk-Pa, and Dan- Tak) varieties by GLC, Galleria wax test and Liquid scintilation counter. JH of the chestnut gall wasp was identified as JH- I. Their juvenile hormone titers were 35,800 GU/g(Cheuk-Pa), 30,900 GU/g (Dan-Tak), and 28,600 GU/g(susceptible variety). The juvenile hormone esterase activities were 1.48 n mole/min/ml(Cheuk-Pa), 1.63 n mole/min/ml(Dan- Tak), and 1.89 n mole/mini ml(susceptible variety). JH titer activity of the chestnut gall wasp parasiting resistant varie¬ties were higher than that from susceptible, whereas their JHE activity was higher in those from susceptible variety than those from resitant varieties. JH titer and JH specific esterase activity was inversely proportional.

  • PDF

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 (PBAN) in Insects (곤충의 페로몬 생합성 활성화 신경펩타이드(PBAN))

  • Choi, Man-yeo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1 no.1
    • /
    • pp.15-28
    • /
    • 2022
  • Neuropeptides produced in neurosecretory cells are the largest group of insect hormones. They regulate various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fat body homeostasis, feeding, digestion, excretion, circulation, reproduction, metamorphosis, and behavior throughout all life stages. The PRXamide peptide family (X, a variable amino acid) is a well-characterized neuropeptide component with a common amino acid sequence, PRXamide (NH2), at the C-terminal end conserved across Insecta. The PRXamide peptides are classified into three subfamilies, each having diverse biological roles in insects: (1) pyrokinin (PK) includes the 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 (PBAN) and the diapause hormone (DH), (2) the capability (CAPA) peptides, and (3) the ecdysis-triggering hormone (ETH). PBAN as a member of PK subfamily was first identified to stimulate pheromone biosynthesis in moths three decades ago. Since then, PBAN peptide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y various research groups from a broad spectrum of arthropods. In this paper, we briefly review insect PBAN molecules with emphasis on gene structure and expression, signal transduction, physiological mechanism in sex pheromone biosynthesis, and application for pest management.

FSH 활성 특정부위 분석을 위한 eCG 돌연변이체의 기능 분석

  • ;;;;N.P JarGil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08-208
    • /
    • 2004
  • 임신초기 말의 태반으로부터 분비되는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eCG)은 황체형성(LH), 난포자극(FSH) 및 갑상선자극(TSH)호르몬과 같이 알파 및 베타 단체의 비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당단백질 호르몬이다. 말의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은 모체의 자궁내막에 침입한 태아 유래의 융모조직(자궁내막배)에서 합성ㆍ분비되어진다. 알파단체의 아미노산 배열은 동물종내에서 동일하지만, 베타단체는 호르몬에 따라 작용의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the Grolwth Hormone-like Substance in Sparganum of Spirometra erinacei (고충(Sparganum)에서 성장호르몬 유사물질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출)

  • 김명옥;최완성김창환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2
    • /
    • pp.173-182
    • /
    • 1992
  • 흰쥐에 Spirometro rrinoce측 제3기 유충(고충 sparganum)이 감염되었을때 유충에서 생성된 성장호르몬 유사물질이 흰쥐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감염 기일이 경과에 따라 흰쥐의 뇌하수체와 유충의 체내에서 성장호르몬 분비세포를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검색하였다. 유충의 표피와 표피성 근육층 및 근질 근육층에서 면역반응성을 띄는 성장 호르몬이 동정되었으며 감염시기의 경과에 따라 성장호르몬 분비세포의 수가 점차 증가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흰쥐의 뇌하수체에서는 성장호르몬 분비세포의 수가 감염 기일의 경과에 따라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점차 감소 하였으며, 감염후 3개월이 경과되면 다시 증가하여 정상대조군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유충에 감염된 기일의 경과에 따른 횐쥐의 혈중 성장호르몬 농도변화를 dot-ELISA 방법으로 추정한 결깍 정상대조군의 성장호르몬의 양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유충의 체내에서 생성된 성장호르몬 유사물질이 전이숙주인 흰쥐의 성장을 유도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Convergence Analysis of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Deficiency on the Development of Teeth in short stature Children (성장호르몬결핍이 저신장 소아의 치아발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 분석)

  • Son, Hwa-Kyung;Kang, So-Hee;Lee, Hee-Ky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6
    • /
    • pp.39-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short statured children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idiopathic, and normal children in order to find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deficiency on tooth developmental stage. We classified children diagnosed with short stature at the Pediatrics i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s subjects due to idiopathic and growth hormone deficienc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stature and tooth development through the measuring of oral panorama and body index. Only the eruption of lateral incis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ort statured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idiopathic. Almost all tooth eruption was significantly delayed on short statured children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compared to average group. In conclusion, short stature children with either growth hormone deficiency or idiopathic were affected not only in their somatic stature but also dental maturity. We look forward to this study presenting basic data for orthodontic therapy.

호르몬과 당뇨병 - 성장호르몬과 당뇨병

  • Hong, Eun-G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87
    • /
    • pp.10-14
    • /
    • 2013
  • 인터넷을 열어 무심코 '성장호르몬과 당뇨병'이란 단어를 검색해 보면 주로 '성장호르몬이 당뇨병 위험도를 높인다'라는 식의 부정적인 자료들을 주로 접하게 된다. 하지만 내용들을 찬찬히 살펴보다 보면 '성장호르몬이 노인에서 삶의 질을 증진시키고 노화를 방지하는 치료제로 사용된다'는 자료들도 간간히 찾아볼 수 있는데 우리는 이 대목에서 성장호르몬이 좋다는 것인지 아니면 나쁘니 절대 사용하지 말라는 것인지 혼란이 생긴다. 따라서 본 원고에서는 성장호르몬의 역할과 임상 적용시 나타나는 장점 및 단점, 특히 당뇨병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he Principle and the Method of the Radioimmunoassay (호르몬 면역학적(免疫學的) 측정법(測定法)의 원리(原理)와 방법(方法))

  • Kurata, Kunio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4 no.1
    • /
    • pp.11-18
    • /
    • 1970
  • 호르몬의 면역학적(免疫學的) 측정법(測定法)은 내분비학적(內分泌學的)인 입장(立場)에서 가장 중요(重要)한 연구방법(硏究方法)의 하나이며, 또한 핵의학적(核醫學的) 입장(立場)에서도 방사성(放射性) 동위원소(同位元素)를 이용(利用)한 성체관내(誠體管內) 측정(測定)의 하나로 중요(重要)한 位置를 차지하고 있다. 이 방법(方法)의 일반원리(一般原理)는 방사성(放射性) 동위원소(同位元素)로 표지(標識)된 호르몬이 특정항체(特定抗體)에 대(對)하여 가역적(加逆的)으로 반응(反應)하고, 표지(標識)된 항원-항체(抗原-抗體) 복합체(複合體)를 형성(形成)하는데 근거(根據)를 두고 있다. 단일(單一) system내(內)에서 표지(標識)되지 않은 호르몬이 표지(標識)된 호르몬과 면역학적(免疫學的)으로, 특정항체(特定抗體)에 대(對)해 경합적(競合的)으로 작용(作用)하기 때문에, 실제적(實際的)으로는 일정량(一定量)의 표지(標識)된 호르몬과 일정량(一定量)의 항체(抗體)가 있는 조건(條件)하에서 미지성료(未知誠料)와 알려진 양(量)의 호르몬을 가진 표준(標準) 호르몬을 동시(同時)에 처리(處理)하여, 표준곡선(標準曲線)을 얻고, 여기에서 미지성료(未知誠料)의 흐르몬 양(量)을 추정(推定)하게 된다. 이때 경합적(競合的)으로 결합(結合)한 표지(標識)호르몬(bound form)과 결합(結合)하지 못한 표지(標識)호르몬(free form)을 분리(分離)하는 것이 필요(必要)하며,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 이중항체법(二重抗體法), solid phase법(法), 염석법(鹽析法) 및 효소(酵素)에 의한 단백소산법(消散法) 등이 이 목적(目的)을 위해 개발(開發)되어 있다. 이 중(中)에서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은 변성(變性)된 호르몬 및 유리(遊離)된 방사성옥소(放射性沃素)를 알 수 있는 특장(特長)이 있고, 이중항체법(二重抗體法) 등은 다수(多數)의 성료(誠料)를 처리하거나, 시간(時間)을 단축(短縮)시키는 이점(利點)이 있다 호르몬에 방사성(放射性) 동위원소(同位元素)를 부착(附着)시키는 데에는 $^{131}I$$^{125}I$가 주(主)로 쓰이나, 각기 장단점(長短點)이 있으며, 높은 방사성(放射性) 활성도(活性度)를 얻기 위해 chloramine-T 및 Na-metabisulfite를 사용하는 부착방법(附着方法)이 주(主)로 사용된다. 미량의 호르몬을 실제 측정(測定)하기 때문에 표지(標識)호르몬의 비방사능도(比放射能度)가 높을 필요성(必要性)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방사능(放射能)에 의(依)한 흐르몬의 변성(變性)이 큰 문제점으로 등장하게 된다.

  • PDF

Stable Expression of hGH Transgene in the Milk of Transgenic Mice (유즙내 사람 성장 호르몬을 분비하는 형질전환생쥐의 형질 유전성에 관한 연구)

  • 이철상;김선정;한용만;유대열;이경광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18 no.3
    • /
    • pp.175-182
    • /
    • 1994
  • Rat $\beta$-casein 유전자와 사람 성장호르몬 (hGH) 유전자의 융합유전자를 생쥐 수정란의 웅성전핵에 미세주입하여 형질전환생쥐 (transgenic mouse) 6계통을 확립하였다. 이들로부터 사람성장호르몬(hGH)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조사한 결과, 6계통중 4계통의 생쥐 유즙에서 hGH가 2~900 ng/ml 수준으로 발현되고 있었으며, 혈중에서는 hGH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형질전환생쥐에서 사람성장호르몬이 우선특이적으로 발현, 분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사람성장호르몬의 발현이 확인된 두 계통 (ChGH2-2, CChGH2)의 형질전환생쥐를 대상으로 하여 세대별, 산차별로 유즙내 사람성장호르몬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3세대에 걸쳐, 또한 제1세대에서의 세차례 반복된 비유기에도 유즙내 사람성장호르몬은 지속적으로 분비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형질전환생쥐에서의 외래유전자의 발현성은 반복되는 비유기와 여러 세대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Effects of Growth Hormone Therapy in Children with Idiopathic Short Stature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에서 성장호르몬의 치료효과)

  • Lee, Kyong A;Han, Heon Se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8 no.8
    • /
    • pp.865-870
    • /
    • 2005
  • Purpose : The use of growth hormone(GH) to promote growth in normal short children without classical GH deficiency is controversial. Numerous foreign studies have shown the effects of GH therapy in children with idiopathic short stature(ISS) whereas few has been interested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H therapy on ISS by observing correlations and changes among various growth parameters such as,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IGFBP-3).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retrospectively with 15 children with ISS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Mean age was $11.44{\pm}2.81$ and the children were treated with 0.66 IU/kg/wk dosage of GH for 1 or 2 years. Also, the growth parameters before and after the GH therapy were observed. Results :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HT-SDS) was increased from $-1.85{\pm}0.70$ to $-1.58{\pm}0.56$ at 1 year and to $-1.21{\pm}0.37$ at 2 years after GH therapy. Predicted adult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PAH-SDS) was also increased from $-2.10{\pm}0.52$ to $-1.67{\pm}0.59$ at 1 year, and to $-0.96{\pm}0.60$ at 2 years. Serum IGF-I and IGFBP-3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 year and marginally increased after 2 years of GH therapy.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GH therapy has growth promoting effect. The significant increase in IGF-I and IGFBP-3 levels during the GH therapy suggests that IGF-I and IGFBP-3 are useful predictors of response to the use of GH therapy. It is expected that larger patient samples would provide more reliabl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 of GH therapy.

가축성장촉진용 호르몬제제의 개요와 사용현황

  • 이명헌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9 no.4
    • /
    • pp.351-360
    • /
    • 2003
  • 성장촉진용 호르몬제제는 생체에서 근육단백질 합성 증가, 성장촉진 효과를 발휘하는 생리활성 물질로 정상적인 분비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천연호르몬과 화학적으로 제조된 합성호르몬으로 대별된다. 주요 육류수출국에서는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성장촉진용 호르몬제제의 불법적인 오$\cdot$남용이 성행하여 식육중에 잔류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축산물중 성장촉진용 호르몬 제제의 잔류방지를 위해서는 축산현장에서 사용되는 동물용 의약품의 용법, 용량을 정확히 지키고 휴약기간을 준수하는 자세가 관건이며 이를 위하여 수의사의 적극적인 계도와 홍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