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형용모래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GH 함유 퇴적물 실험실 스케일 탄성파 측정 기법의 기술적 고찰 (Technical Consideration of Elastic Wave Measurements of Gas Hydrate-bearing Sediments in Lab-Scale)

  • 정재웅;이주용;이재형;김세준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5.2-125.2
    • /
    • 2011
  • 청정 에너지원으로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상업적 기술개발이 미확보된 상태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 및 생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가스하이드레이트가 함유된 퇴적층의 물성자료가 필요하다. 특히, 현장 시료에 대한 물성 측정은 향후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 및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탄성파 측정 결과는 다른 물성 들에 비하여 하이드레이트 함유 시료의 성형과정에 큰 영향을 받는다. 또한 그 외의 실험 경계조건과 취득 자료의 처리 과정에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측정을 하는 과정은 물론 측정 후 자료의 활용 과정에서 다양히 고려해야 할 점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 모래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탄성파 속도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음파 측정연구 시 고려해야 할 기술적 사항 들을 정리해 보았다. 실험에 사용된 장비는 고압의 퇴적층을 모사할 수 있는 압력셀과 메탄과 염수 주입에 사용되는 유체 주입장비, 하이드레이트 형성을 위한 온도조절장비, 자료 획득 장비로 구성되어 있다. p파 속도는 음파 송수신장비를 사용하였다.

  • PDF

엘보어 쉘주형 금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Flask-Molds for Manufacturing of the Elbow Shape Shell Molds)

  • 최재훈;박종연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7권1호
    • /
    • pp.45-49
    • /
    • 2013
  • Since the shell-molds are used to make casting the metal parts for the automobile industry, the quality may well be inconsistent with the lower productivity, increasing the cost of the end products. The primary elbow design shell molded steel castings being produced through extrusion process has $180^{\varnothing}$ O.D., $150^{\varnothing}$ I.D., 14mm thickness and 400mm length, while being processed onto the left side of the tubing. The primary cause for the poor processing is the uneven manual shell molding. If the manual shell molds should be produced to have even quality, they would not be processed for tube l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lask-molds for manufacturing of the shell molds to ensure mass-production, consistent quality, ommission of processing and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four flask-molds were produced and thereby, four shell molds were assembled. In particular, the shell molds for processing were formed of the fine coated sand to be blown. As a result, productivity increased about three times, while a consistent quality was ensured. Furthermore, the tubes could be linked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processed, while pallets could be stacked, stored, transported and managed more easily. In a nut-shell, the molding theory could be applied more effectively. However, it is conceived that this study should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research into reliability and endurability of the end products.

  • PDF

순환골재를 활용한 연약지반개량용 다공질 콘크리트 말뚝의 전단특성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Recycled-Aggregate Porous Concrete Pile for Soft Ground Improvement)

  • 윤길림;윤여원;강오람;유승경;이규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2호
    • /
    • pp.75-84
    • /
    • 2008
  • 순환골재를 이용한 다공질 콘크리트 말뚝(RAPP, Recycle aggregate porous concrete pile) 공법은 연약지반에서 원지반과 다져진 다공질 콘크리트 말뚝이 복합지반을 이루어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를 이용한 다공질 콘크리트 말뚝의 강도정수 및 응력-변형을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현장조건을 재현하여 재성형한 순환골재 다공질 콘크리트 말뚝(RAPP)-점토 혼합토에 대하여 삼축압축시험을 하였다. 삼축압축시험의 공시체는 치환율 15, 35, 60, 100%로 조성, 복합지반의 전단거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또한 현재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모래다짐말뚝(SCP, sand compaction pile)공법과의 비교를 위하여 모래-점토 혼합토의 시험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RAPP-점토 혼합토의 경우, 내부마찰각은 $18{\sim}34$도의 범위를 나타났으며, 점착력의 경우는 $557.0kPa{\sim}588.0kPa$의 범위를 나타났다. 하지만 모래-점토 혼합토의 강도정수값은 내부마찰각은 $26{\sim}35$도의 범위를 나타났으며, 점착력은 치환율별로 $4.0{\sim}18.0kPa$의 범위로 나타났다.

바닥재 잔골재를 활용한 유황고형화 성형물의 압축강도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Sulfur-solidified Materials using Bottom Ash Fine Aggregate)

  • 홍범의;최창식;윤정호;엄민섭;전신성
    • 공업화학
    • /
    • 제23권3호
    • /
    • pp.259-265
    • /
    • 2012
  •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회 중에서 약 10~15%를 차지하는 바닥재는 산업폐기물로서 대부분 매립 처리되거나 콘크리트의 첨가제로 일부 활용되고 있다. 바닥재 골재는 발생 특성상 기존의 모래나 자갈보다 가볍고, 흡수율이 높아 강도 등 물리적 성질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닥재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 할 수 있고 매립되는 바닥재의 활용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바닥재와 유황을 이용한 산업건설용 자재를 제작하기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온형 혼합기 사용에 따른 바닥재 잔골재 입도와 유황함량을 실험 변수로 국내 4개 발전사에서 발생되는 바닥재를 이용하여 고형화 성형물을 제작한 후 압축강도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압축강도는 유황의 함량, 바닥재 입도에 동시에 영향을 받는 결과를 보였으며, 최대 약 92 MPa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압축강도는 세골재와 미립분이 혼합된 1.2 mm 이하의 입도와 높은 유황함량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