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폐쇄성폐질환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초

비흡연자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유병률과 위험인자의 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ong Non-smokers)

  • 송혜영;방윤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5-93
    • /
    • 2018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2015) 자료를 이용하여, 비흡연자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유병률과 위험인자를 파악하고 비흡연자 만성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악화예방과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40세 이상 만성폐쇄성폐질환자 중 비흡연자 4, 911명을 대상으로 복합 표본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65세 이상(p<.001), 남자(p<.001), 농촌(p=.044), 무 배우자(p<.001), 낮은 학력(p<.001), 농림어업종사자(p<.001)에서 유병률이 높았고, 폐결핵(p<.001)과 천식(p<.001)이 있는 경우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위험인자로는 연령(p<.001), 성별(p<.001), 학력(p=.022), 직업(p<.001), 폐결핵(p<.001), 천식(p<.001)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병률, 위험인자와 관련된 변수를 고려한 간호사정과 이를 바탕으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호흡재활 및 호흡중재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 Hodgkin 림프종과 동반된 교착성 세기관지염 (Constrictive Bronchiolitis Accompanied By Non-Hodgkin's Lymphoma)

  • 이계영;지영구;최영희;명나혜;김건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613-622
    • /
    • 1996
  • 교착성 세기관지염은 매우 드문 소기도질환의 하나로서 변리학적으로 증식성 세기관지염과 더불어 폐쇄성 세기관지염의 양축의 하나를 점하고 있다. BOOP로 대표되는 증식성 세 기관지염은 임상경과가 비교적 빠르고 방사선학적으로도 간질성 또는 폐포성 음영 을 동반하는 비정형 폐렴과 유사한 발현을 보이므로 실제의 빈도가 적지 않다는 점은 제외하더라도 비교적 쉽게 의심하고 진단에 이를 수 있는 질환인 반면, 교착성 세기관지염은 그 빈도 자체가 매우 드물 뿐더러 방사선 소견이 거의 정상이고 폐기능검사 소견도 폐쇄성 양상을 보이므로 임상적으로 대개는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간과되기 쉬운 질환으로써 그 진단이 쉽지 않다. 치료적인 면에서도 증식성 세기관지염이 부신피질호르몬제에 대해 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반면 교착성 세기관지염은 세기관지벽 전체가 섬유성 반흔으로 대치되어 비가역성 기도폐쇄가 초래하는 병리학적 특성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치료에 대한 반응이 매우 미약한 치명적 질환이다. 그 원인으로서는 증식성 및 교착성 세기관지염 모두에서 독성 물질에 의한 흡입성 폐손상, 약제성, 감염성, 교원질환 관련성, 장기 이식 후등 선행 요인이 있는 경우와 원발 요인이 없는 경우를 특발성이라 한다. 같은 선행 요인에 의해 두가지 다른 질환군이 초래된다는 사실에서 이들이 같은 질환의 한 spectrum상에 있다는 설명도 있고, 여러 원인에 대해 같은 조직 소견이 관찰된다는 점에서 질환 특이적 병리 소견이라기보다는 비특이적 조직 반응의 하나라는 설명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 등은 비 Hodgkin 림프종을 진단 받은 동일한 시점에서 비교적 빠르게 진행하는 만성기도폐쇄 양상을 나타내고,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위험 인자가 없고 흉부 방사선 소견상 정상소견을 나타내는 47세 여자 환자에서 개흉폐생검을 실시하여 교착성 세기관지염을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상기한 선행 요인이 확인되지 않아 특발성이라 판단되며, 악성 종양, 특히 림프종과의 관련성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확언하기 어렵고 향후 연구가 필요한 사항이라 생각된다.

  • PDF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지식, 태도, 정확한 정량식 분무기 사용 및 자가관리 이행 (Relationship of Knowledge, Attitude, Correct Metered Dose Inhaler Use, and Self-management Compliance among Patients with COPD)

  • 안민희;최자윤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0-170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knowledge, attitude, correct metered dose inhaler (MDI) use and compliance with self management amo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09 COPD patients who were outpatients in C and K hospital located in G city from March 1 to September 30th, 2010. Data were measur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al checkli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8.0 program that included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S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r=.33, $p$ <.001), between knowledge and correct MDI use (r=.37, $p$ <.001), and between knowledge and self-management compliance (r=.28, $p$=.003).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self-management compliance (r=.33. $p$ <.001). In contrast, attitud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orrect MDI use.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COPD knowledge and attitude of patients were related compliance in managing their disease. Therefore, strategies need to be utilized in education programs which would improve knowledge and subsequently improve attitude and compliance.

한국인에서 SERPINA1 유전자 다형성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위험도 (Polymorphisms in the SERPINA1 Gene and the Risk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a Korean Population)

  • 차승익;최진은;이종명;유승수;김창호;이원기;정태훈;김능수;박재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4호
    • /
    • pp.285-291
    • /
    • 2008
  • 연구배경: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대부분은 흡연과 연관되어 발생하지만 흡연자의 약 10~20%에서만 만성폐쇄성폐 질환이 발생하는 현상은 질환의 발생에 개체의 유전적인 소인이 관여함을 시사한다. 저자들은 ${\alpha}1-antitrypsin$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SERPINA1 유전자의 다형성에 따른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위험도를 조사하였다. 방 법: 경북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진단 받은 93명의 환자와 112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SERPINA1 유전자의 $M1_{val}$, $M1_{Ala}$, M2, S와 Z 대립유전자(allele)는 중합효소연쇄반응과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S 및 Z allele은 없었으며, $M1_{Val}$ allele의 빈도는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73.6% vs. 82.7%, p=0.03). $M1_{Val}/M1_{Val}$ 유전자형인 경우에 비해 M2 혹은 $M1_{Ala}$ allele을 갖는 유전자형인 경우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대응비는 1.86 (95% CI: 1.02~3.41, p=0.04)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M2 allele 갖는 유전자형인 경우 대응비는 1.77 (95% CI: 0.96~3.27, p=0.07)이었으며, 연령에 따라 구분한 경우 64세 미만에서는 M2 allele을 갖는 경우 대응비가 3.09 (95% CI: 1.16~8.21, p=0.02)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SERPINA1 유전자의 유전자형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인자로 생각되나, 보다 많은 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Mini-Wright Peak Flowmeter로 측정한 최대호기유속의 정확도 (An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Mini-Wright Peak Flowmeters in Patients with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최원일;한승범;전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3호
    • /
    • pp.310-319
    • /
    • 2001
  • 연구배경 : 천식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호기유속측정기는 외래환자와 응급실에서뿐만 아니라 입원 천식환자들의 치료 및 경과 관찰에 매우 유용하다. 호기유속측정기에 대한 정확도 및 재현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나 기류폐색을 가지는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했을때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만성폐쇄성폐질환 또는 천식을 가지는 환자를 대상으로 잘 보정된 mass flow sensor의 최대호기유속 측정치와 mini-Wright peak flowmeter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관찰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 법 : 천식 및 만성페쇄성폐질환으로 진단된 환자 108명을 대상으로 흡입용 기관지확장제 사용 전 후의 최대호기유속을 측정하였으며 잘 보정된 mass flow sensor로 측정한 후 mini-Wright peak flowmeter를 사용해서 최대호기유속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mini-Wright peak flowmeter로 측정한 최대호기유속 값은 기관지 확장제 사용 유무에 관계없이 mass flow sensor의 측정치보다 평균 37-39 l/min 높게 관찰되었고 300 l/min 이하의 범위에서 오차는 25% 이상이었고 301 l/min 이싱에서는 17% 이하로 관찰되었다. 두 기기로 측정한 값의 일치도를 평가할 수 있는 편의(bias)는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와 유속의 정도에 따라서도 모두 일치범위를 벗어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결 론 :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절환 환자에서 mini-Wright peak flow meter로 측정한 최대호기유속은 mass flow senor의 측정치보다 높게 관찰되었으며 300 l/mm이하의 유속에서 오차가 심했다. 두 기계로 측정한 최대호기유속 사이의 일치범위는 95%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mass flow sensor 와 mini-Wright peak flow meter로 측정 한 결과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증상경험과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극복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공경란;이은남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5-38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y and symptom experience and depression. Subjects (N=152) wer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admitted to D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B City.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20 to August 25, 2013. The levels of symptom, resilience,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using a seven question symptom experience measuring instrument, a 25-question resilience instrument, and a 15-question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Win 19.0 and AMOS 5.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ymptom and resilienc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mptom and depress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depression. Symptom showe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scores through resilience as a mediating variabl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relieve symptom in COPD patients, and to develop appropriate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s to reduce their depression.

남성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삶의 질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Quality of Life in Mal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이해정;지영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9-320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ed factors of quality of life (QOL) amo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Patients diagnosed with COPD (N=230) were recruited from four hospitals in Kyeong-Nam province, from March 2 to November 30, 2010. The data collection instruments were the Short Form 36, perceived dyspnea measure by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COPD and Asthma Sleep Impact Scale, COPD Self-efficacy Scale,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were used.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data collection instruments Pulmonary function was tes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Results: The mean QOL of this study was 68.24. Using a multivariate approach, the significant correlates of QOL were depression (${\beta}$=-.37), dyspnea (${\beta}$=-.28), self-efficacy (${\beta}$=.20), and a sufficient degree of household income (${\beta}$=.16). These variables explained 49% of variance in QOL.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aspects are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QOL of the patients. Screening and minimizing depression could be effective strategies in enhancing QOL of patients with COPD and further investigation to reduce depression could warrant the improvement of QOL in patients with COPD.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김나현;박진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9-16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A sample of 108 Patients diagnosed with COPD was recruited from out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April in 2016 using the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the 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 and the COPD Self-efficacy scale.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HRQOL was 47.56 in patients with COPD.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yspnea phase (${\beta}$=.34, p<.001) and presence or absence of oxygen (${\beta}$=.20, p=.009), anxiety (${\beta}$=.29, p<.001), $FEV_1$ % predicted (${\beta}$=-.15, p=.01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tients' HRQOL.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dyspnea phase and anxiety among psychological factors were the most powerful factors that explain the HRQOL of COPD patients when the demographic and disease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Identification of quality of life-related factors should be used to inform targeted interventions, in order to improve HRQOL and help patients' cope.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자가관리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Self-Care for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전정자;김애경;최상옥;애정희;최미경;장선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16
    • /
    • 2003
  •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the self-care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in Korea. Method: Self-care scale was developed based on the self-care activities patients had to carry out in order to manage their COPD. The original scale contained 34 items rated along a five-point Likert scale and was reviewed by 18 professional nurses and 10 Korean patients with COPD for content validity. Subsequently, patients with COPD were asked to complete this 23-item scale and further tests were done with the 125 useable responses. Result: Factor analysis identified eight factors-'maintaining a clean air way', 'taking medication', 'support from family', 'preventing infection', 'managing symptoms', 'breathing exercising', and 'taking in nutrition'.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tal scale was Cronbach's α=0.7226. These eight factors explained 60.8% of total variance. There was correlation among Korean Self-Care Scale score, administration level, and knowledge level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to patients'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s. Conclusion: The 23 item questionnaire positively identified 8 areas defined important for COPD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see how these can be integrated into patient education.

N-Acetylcysteine이 호중구의 Superoxide, Chemotaxis 및 혈장과 호중구의 Glutathion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etylcysteine on the Supetoxide Release, Chemotaxis from the Neutrophils and Glutathione Level of Plasma and Neutrophils)

  • 송정섭;이숙영;문화식;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475-483
    • /
    • 1994
  • 연구배경 : N-acetylcysteine(ACE)은 임상에서는 객담용해제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시험관내 실험 또는 동물실험에서 ACE는 염증세포에서의 산소유리기를 감소시키고, 세포내 강력한 항산화기능을 갖고있는 glutathione(GSH)의 합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졌다. 저자들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게 통상 투여용량인 매일 600mg씩 1주일간 ACE를 투여했을때 말초혈액내 호중구의 superoxide 분비, chemotaxis 등의 기능에 변화가 오는지 또는 혈장의 GSH 농도가 증가되는지를 살펴보고 동시에 시험관내 실험으로 정상인의 호중구에 ACE를 가했을때 ACE의 농도에 따라 superoxide나 GSH의 양에 변화가 오는지를 관찰하였다. 방법 : ACE 투여 전, 후에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호중구를 분리하여 PMA로 자극하거나 안했을때의 superoxide 분비를 분광광도계로, luminol-enhanced chemiluminescence를 luminometer로, 혈장의 GSH 농도를 분광광도계로 각각 측정하였다. 한편 정상인의 호중구를 분리하여 $10^{-2}-10^{-5}$ mole의 ACE와 혼합배양시의 superoxide, chemiluminescence 및 GSH를 각각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 ACE를 투여하기 전, 후의 말초혈액내 호중구의 superoxide 분비는 $1.97{\pm}1.75nM/1.4{\times}10^6\;cells/15min$, $2.75{\pm}2.14nM$이었고 PMA로 자극하였을때는 $67.52{\pm}13.41nM$, $67.99{\pm}13.54\;nM$로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호중구의 chemiluminescence도 ACE 투여전, 후에 $2.64{\pm}2.29mV$, $2.91{\pm}3.58mV$이었고 PMA로 자극하였을때는 $40.76{\pm}30.09mV$, $37.33{\pm}30.03mV$로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호중구의 chemotaxis를 chemotactic index로 비교하였을때 ACE투여전, 후에 $55.71{\pm}16.34$, $59.68{\pm}11.57$이었고 혈장의 GSH는 $0.37{\pm}0.17nM/4{\times}10^5cells$, $0.39{\pm}0.18nM$로서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정상인의 호중구를 분리하여 $10^{-5}-10^{-2}$ mole의 ACE와 동시배양하며 PMA로 자극하였을때 superoxide는 ACE를 가하지 않은 대조군에서의 $56.54nM/1.4{\times}10^6\;cells/15min$에 비해 ACE의 $10^{-2}$ mole에서 37.0nM로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ACE의 농도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r=-0.269, p<0.05). 호중구의 GSH 농도는 대조군의 $0.27nM/4{\times}10^5\;cells$에 비하여 ACE의 $10^{-3}$ mole에서 0.35nM, $10^{-2}$ mole 에서 1.15 nM로서 유의하게 증가하여 ACE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다(r=0.72, p<0.01). 결론 : ACE를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게 매일 600mg씩 1주일간 투여하였을때 말초혈액내 호중구의 superoxide 분비, chemotaxis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혈장의 glutathione 농도에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정상인의 호중구를 분리하여 ACE와 같이 배양한 실험에서 ACE는 농도에 비례하여 호중구의 superoxide 분비를 억제하였고 GSH를 증가시켰다. 이상으로 미루어 ACE는 염증세포에서의 superoxide 분비를 억제하고 GSH를 증가시킴으로서 oxidant-antioxidant 간의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ARDS, 폐기종, 간질성폐질환등의 치료에 이용될수 있을것으로 생각되나 폐기종을 포함한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치료에 이용되기 위해서는 ACE의 혈중농도 또는 폐포세척액내의 농도를 충분히 증가시키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