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문

Search Result 761,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개 후두 점막에서 분비세포의 분포와 점액 당단백질의 조성

  • 유우정;박영학;김민식;조승호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6.04a
    • /
    • pp.87-87
    • /
    • 1996
  • 상기도 점막의 분비세포와 이로부터 분비되는 점액은 각 부위에 따라 형태학적, 기능적 특성이 다르다. 특히 후두의 성대부위는 발성시 고속의 마찰진동이 있게 되어 성대상피를 보호하기 위한 윤활제 역할의 점액이 필요하다. 점탄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점액당단백질 분비세포의 조성비율과 밀도를 알기 위해서 개 10마리의 후두, 기관, 상악동, 비강점막을 채취하여 periodic acid-Schiff, alcian blue 1.0, alcian blue 2.5, high iron diamine-alcin blue염색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후두점막에서 선포의 밀도는 성문부의 후두실 상부에서 가장 높았다. 2. 후두점막에서 점액세포의 조성은 성문상부에서 가장 높았고, 장액세포의 조성은 성문부에서 가장 높았다. 3. 황화점액의 조성비는 성문부가 성문상부, 성문하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후두의 세 부위와 기관에서 상악동과 비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타액점액의 조성비는 성문부에서 성문하부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성문부는 성문상부에 비해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5. 상기도의 각 부위에서 당단백질의 조성비는 모든 부위에서 중성점액이 가장 높았고 산성점액중 성문부에서는 황화점액이 타액점액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문하부, 상악동, 비강에서는 타액점액이 황화점액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성문부에서 나타나는 높은 장액세포의 비율과 점액당단백질 조성의 특징이 성문부 점액의 성대운동에 대한 윤활작용에 적합한 생리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ROSS-LINKED COLLAGEN IMPLANT INJECTION AND REHABILITATION OF GLOTTIC INCOMPETENCE (Cross-linked collagen 주입에 의한 성문폐쇄부전의 개선)

  • 이정구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3.12a
    • /
    • pp.18-18
    • /
    • 1993
  • 성문폐쇄부전의 개선을 위해 후두내에 주입하여온 여러 재료 중 현재에는 teflon만이 가장 흔히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teflon은 점막하와 가동성 성대 내에 주입할 수 없어 경도 성문 폐쇄부전의 미세 조정과 성대의 작은 결손에는 부적합하다. 성문폐쇄부전을 개선하기 위하여 9명의 환자에서 17회 cross-linked collagen을 주입한 결과 이 방법은 환자의 음성을 개선하고 성문폐쇄부전을 교정하는데 성공적이었다. (중략)

  • PDF

Aero-dynamic Study (공기역학적 검사)

  • 김영호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4.06a
    • /
    • pp.87-92
    • /
    • 1994
  • - 발성의 공기역학적 측면은 다음 4가지의 인자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a. 성문하부압(Subglottal pressure) b. 성문상부압(Supraglottal pressure), c. 성문저항(Glottal impedance) d. 성문부위의 공기 체적유속(Volume velocity of air of airflow at the glottis) (중략)

  • PDF

Text-In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Using Glottal Flow Waveform (성문파형을 이용한 문장독립 화자 인식기)

  • Yang Ki-Hyuk;Jeon Bumki;Baek SeongJoon;Kang Sang-Ki;Sung Koeng-M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57-6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성문파에서 화자특성 계수를 추출하여 화자 인식기에 적용하고자 한다. 공분산 방법으로 음성의 잔류신호를 추정하고 이를 적분하여 성문파를 얻어낸다. 하나의 성문파 구간을 성문닫힘순간 사이가 아닌 잔류신호의 오차가 최대가 되는 순간 사이로 잡았다. 구해진 성문파를 M개의 데이터로 다시 샘플링하여 특성 벡터로 삼고 VQ기반 인식기를 사용하여 인식률을 측정하였다. 4초의 test data와 30차의 특성벡터를 사용한 경우 남성의 경우 평균 $96.08\%$, 여성에 대하여 $93.61\%$의 평균 인식률을 얻었다.

  • PDF

Vascularized clavicle을 이용한 기관재건술

  • 정동학;김영모;조정일;윤정선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7.04a
    • /
    • pp.117-117
    • /
    • 1997
  • 성문하 협착과 기관 협착이 동반된 경우 이를 치유할 몇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저자들은 성문하와 기관협착이 동반된 27세 남자환자에서 기관 및 성문하 협착부 전면을 제거후 쇄골에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이 붙은채로 쇄골의 절반을 절제하여 수질부위를 제거후 협부점막을 부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Vascularized clavicle을 성문하와 기관의 전면부 재건에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Glottal Closure Interval Extrapolation Technique Based Pitch modification (성문 닫힘 구간 가변에 의한 피치 변경)

  • 강동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231-234
    • /
    • 1998
  • 시간영역에서 유성음의 피치를 조절하기 위해 한피치구간의 신호 중에서 성문이 닫힌 구간의 특성을 추정한 파라미터로 성문 닫힌 구간의 신호에 연속하여 선형적으로 연장 또는 축소하므로써 고 음질을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게 피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PSOLA 기법에서와 같은 window의 적용이나 신호의 겹침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므로 보다 명료한 합성음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Treatment of Laryngeal Web (Laryngeal web의 치료)

  • 조중환;유태현;박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7.06a
    • /
    • pp.7.2-7
    • /
    • 1977
  • Laryngeal web was first reported by Fleischmann in 1822, and it causes upper airway obstruction and abnormalities of phonation. Congenital webs result from an arrest of development of the larynx around the tenth week of fetal life. Acquired webs may result from cicatrical strictures of infectious lesion, traumatic and postoperative wounds. The most common site of webbing is glottic, followed by subglottic and supraglottic.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simultaneous glottic and supraglottic laryngeal webs probably due to tuberculous lesions in 28 aged male who was treated by endolaryngeal microsurgery.

  • PDF

Radiation Therapy for T2N0 Glottic Cancer (T2N0 병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

  • Kim, Jae-Chu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4 no.4
    • /
    • pp.217-222
    • /
    • 2006
  • $\underline{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results of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and the prognostic factors that affect survival rates for T2N0 glottic cancer patients. $\underline{Materials\;and\;Methods}$: Thirty patients with T2N0 glottic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at our institution between September 1986 and June 2004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patients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as having squamous cell carcinoma and were staged as AJCC T2N0. The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39 to 79 (median 62) years and all were male. A total dose of $66{\sim}70\;Gy$ (median 66 Gy) was delivered with a 6-MV linear accelerator in $6.5{\sim}7$ week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63 months. $\underline{Results}$: The actuarial disease-free survival rate for the entire group of the patients was 79% at 5 years. The five-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for patients without and with subglottic extension were 90% and 56%, respectively (p=0.03). However, anterior commissure involvement, supraglottic extension, and impaired cord mobil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The five-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for patients with and without concurrent chemotherapy were 86% and 69%, respectively (p=0.47). $\underline{Conclusion}$: Subglottic extension can be considered a poor prognostic factor for T2N0 glottic cancer.